본 연구는 영유아 도서의 자료조직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J시에 소재한 8개 시립도서관 영유아실을 대상으로 자료조직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조사방법은 분석대상 도서관의 어린이실 담당 사서 8명, 영유아실을 방문한 부모 25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모든 도서관에서 KDC를 적용하여 분류하고 있었으나 배가는 분류체계와는 달리 출판사명의 자모순 배가를 실시하고 있었다. 이러한 출판사별 배가 방식은 사서 측면에서는 정리의 편리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으나 이용자들은 분류체계와 배가의 이원화로 인해 자료 검색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온라인검색목록시스템의 검색 결과에 도서 위치에 대한 정확하고 충분한 정보가 제공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1) KDC를 유지하되 배가 방식을 청구기호 순으로 전환하는 방안과 (2) 새로운 영유아용 분류표를 개발하는 두 가지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With a purpose of investigating the current status of resource organization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s resources, this study examined 8 municipal libraries in J city and suggested recommendations for improvements. To do that,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8 children’s librarians and 25 users, who were parents visiting the libraries. All libraries examined were using KDC to classify young children’s resources, but books were shelved by the alphabetic order of publishers’ names. This arrangement strategy was regarded very convenient in re-shelving materials from the perspective of librarians, but users had difficulties in finding books because of the separation of the classification system and the arrangement system. Also, the online public cataloging system did not provide accurate and sufficient information to locate a book.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wo ways for improvements: (1) classifying and arranging books by KDC, (2) developing a new classification system customized to infants and young children.
강경신. (2013). 공공도서관 영유아서비스를 위한 효율적인 장서개발 방안 연구.
국민독서문화진흥회. (2016). ‘2015 내 생애 첫 책’ 지원사업 시범사업 성료. http://m.newswire.co.kr/newsRead.php?no=819862.
권달영. (2008). 우리나라 어린이도서관 분류표의 비교분석연구.
김정현. (2004). 학교도서관을 위한 KDC 분류체계에 관한 연구 - 초등학생관련 문헌의 어휘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5(4), 171-191.
김정현. (2003). 학교도서관을 위한 한국십진분류법 분류항목 수정전개에 관한 연구 - 총류 및 문학류를 중심으로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7(3), 35-56.
김정현. (2007). 국내 어린이도서관의 분류표 현황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8(2), 315-335.
김천숙. (2005). 공공도서관의 그림책 분류에 관한 연구.
문지현. (2008). 어린이도서 분류법 개발 연구.
방혜욱. (2012). 공공도서관 영유아 프로그램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윤희정. (2011). 공공도서관 영유아서비스의 실태와 개선방안 연구 : 대구광역시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이윤선. (2002). 학교도서관을 위한 KDC 간략판 개발(300, 400, 800대)에 관한 연구.
이채령. (2012). 어린이도서관 자료조직 실태 연구 : 부산·울산·경남지역 어린이도서관을 중심으로.
임기수. (2012). 어린이도서관의 그림책 분류에 관한 연구.
정연경. (2009). 국내 어린이도서관의 한국십진분류법 적용 현황 및 이용자 요구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3(1), 5-26.
정진수. (2009). 어린이자료의 접근점 분석 - 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0(4), 101-113.
조지은. (2012).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를 위한 공공도서관 서비스 방안.
Foskett, A. C.. (1996). The subject approach to information:Library Association.
Hembree, J.. (2013). Ready! Set! Soar! Rearranging your fiction collection by genre. Knowledge Quest, 42(2), 62-65.
IFLA. (2015). Guidelines for children's library services. http://www.ifla.org/publications/guidelines-for-children-s-library-services.
IFLA. (2014). Guidelines for library services to babies and toddlers. http://www.ifla.org/publications/ifla-professional-reports-100.
Jackman, B.. (2014). Genre shelving: Why and how I made the leap. Library Media Connection, 32(5), 22-24.
Kaplan, T. B.. (2013). One size does not fit all: Creating a developmentally appropriate classification for your children's collections. Knowledge Quest, 42(2), 30-37.
Parrott, K.. (2013). Throwing Dewey overboard. Dewey Lite: A model for nonfiction reorganization. Children and Libraries: The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Library Service to Children, 11(3), 3-33.
Solomon, P.. (1997). Access to fiction for children: A user-based assessment of options and opportunities. Information Services & Use, 17(2-3), 139-1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