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013-0799
  • E-ISSN2586-2073
  • KCI

학교도서관업무지원시스템(DLS)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Digital Library System for School Library

정보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P)1013-0799; (E)2586-2073
2017, v.34 no.1, pp.31-50
https://doi.org/10.3743/KOSIM.2017.34.1.031
변우열 (공주대학교)
이미화 (공주대학교)

초록

본 연구에서는 2001년 개발을 시작으로 학교도서관의 자료 관리를 해결하고, 자료의 공동 활용을 위한 데이터 구축을 지원해 온 DLS의 근본적인 문제점을 조사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 DLS 전문위원 9명을 대상으로 자료선정, 자료등록, 대출반납, 장서점검, 통계, 이용자검색의 6가지 영역에서 DLS의 사용현황과 문제점을 조사하고 이를 해결할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자료선정 측면에서는 수서시스템 도입 및 온라인 희망도서 구입신청 기능 추가가 필요하다. 자료등록 측면에서는 데이터 품질 관리 향상과 검색기능 향상을 위한 색인어의 체계적 입력 및 어휘통제가 필요하다. 대출반납 측면에서는 대출속도 향상이, 장서점검 측면에서는 폐기자료의 복원 기능이, 통계 측면에서는 정확한 통계자료 생성이 필요하다. 이용자검색에서는 검색속도 향상 및 이용자 인터페이스 기능 향상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앞으로 DLS 시스템 개선에 많은 기여를 할 것이며 이에 따라 DLS 이용도 향상될 것이다.

keywords
Digital Library System, DLS, system improvement, school libraries, 학교도서관업무지원시스템, 시스템 개선방안, 기능개선, 학교도서관

Abstract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problems and the improvement plan of Digital Library System (DLS) which has solved the library management and has supported the data building for resource sharing in school libraries since 2001. The 9 DLS committees were interviewed about the current situation of DLS use and the problems of DLS system in the 6 areas of acquisition, cataloging, circulation and discharge, inventory, library statistics, and searching interface as the research methods. Based on the interviews, the improvement plans were suggested as followed. In acquisition, it was to need the acquisition system development and online purchase for users. In cataloging, the improvement of data quality management, and indexes and vocabularies control for upgrade of searching function were needed. The advanced circulation speed in circulation, the restoration of discarded data in inventory and the exact statistic data in library statistics were need to improve the DLS. This study would contribute to the betterment of DLS and increase the use of DLS.

keywords
Digital Library System, DLS, system improvement, school libraries, 학교도서관업무지원시스템, 시스템 개선방안, 기능개선, 학교도서관

참고문헌

1.

노진영. (2014). 학교도서관 DLS의 목록입력 규칙 개정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5(2), 5-23. http://dx.doi.org/10.14699/kbiblia.2014.25.2.005.

2.

이병기. (2004). 학습객체 개념을 이용한 학교도서관 정보시스템(DLS)의 메타데이터 요소 확장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8(4), 85-104.

3.

이병기. (2005). 디지털자료실지원센터(DLS)의 이용자 집단간 만족도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2(3), 129-145.

4.

이병기. (2009). 교육적 맥락을 고려한 학교도서관 목록 정보의 확장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0(4), 85-100.

5.

이승아. (2010). 학교도서관업무지원시스템(DLS)의만족도분석. 사회과학담론과 정책, 3(1), 123-145.

6.

최인숙. (2004). 디지털자료실지원센터 종합목록 데이터 품질평가 및 관리 방안.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8(3), 119-139.

7.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6). DLS시스템 확장을 위한 연계방안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