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국내 문화유산기관에서 디지털 콘텐츠의 효과적인 접근과 활용을 도모하고 이용자 참여를 활성화할 수 있는 소셜 태깅의 활용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정보기술을 활용한 아카이브의 성과를 바탕으로 국내외 아카이브의 기술 적용 현황을 파악하고, 소셜 태깅이 적용된 국내외 디지털 아카이브의 사례연구를 통해 소셜 태킹의 활용 현황과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용자 참여 단계 유형을 재구성하여 소셜 태깅을 통한 참여 단계 모델을 제시하고, 디지털 아카이브에서 이용자의 참여와 콘텐츠의 기여도를 중심으로 표현, 커뮤니케이션, 협업에 따른 소셜 태깅의 활용 방안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framework for promoting active engagement of users in digital archives through social tagging. It analyzed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involved with digital archives, and the user participation and engagement through social media. The analysis explored the aspects of social tagging in terms of communication, sharing and collaboration in digital archives. Based on the analysis and reviews, it developed the model of social tagging for user participation and interaction in digital archives. The study proposed the application of open and game platforms for promoting active engagement of users in digital archives through social tagging.
권지은. (2013). 인터랙티브 스페이스에서의 사용자 참여 단계 모델 개발. 디지털디자인학연구, 13(4), 247-256.
김성원. (2013). 이용자관점에서의 도서관 2.0 서비스 활용현황과 활성화 방안 - 폭소노미 서비스를 중심으로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4(2), 269-288.
김성희. (2009). 디지털화 문화유산 태그의 패턴 및 특성 분석.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0(3), 171-185.
김지영. (2013). 패션 미디어에 나타난 상호작용 사례 연구: 쇼스튜디오(Showstudio)의 패션프로젝트를 중심으로. 패션 비즈니스, 17(5), 101-119. http://dx.doi.org/10.12940/jfb.2013.17.5.101.
김현희. (2010). 태그 질의 확장 기능에 기반한 비디오 검색 시스템의 효율성에 대한 실험적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4(4), 75-94.
김현희. (2010). 구조화된 소셜 메타데이터를 활용한 이미지 자료의 시맨틱 검색에 관한 실험적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4(1), 117-135.
문화체육관광부. (2016). 2016년 문화정보화 백서:한국문화정보원.
박혜원. (2013). 미술관 및 박물관에서의 소셜미디어 활용 프레임웍에 대한 연구. 정보사회와 미디어, (25), 43-77.
오의경. (2012). 트위터를 활용한 공공도서관 서비스 활성화 방안 연구.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43(2), 133-150. http://dx.doi.org/10.1633/JIM.2012.43.2.133.
유동환. (2013). 디지털 문화유산 연구의 현황과 전망. 문화콘텐츠연구, 3, 95-121.
이란주. (2011). 국내 대학도서관 블로그의 현황 및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2(3), 57-73.
최연진. (2013). 공공도서관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4(4), 319-340. http://dx.doi.org/10.14699/kbiblia.2013.24.4.319.
최희수. (2015). 인문지식 기반 창작자원 서비스 활성화 방안 - 스토리테마파크의 사례를 중심으로 -. 인문콘텐츠, (36), 39-56.
한국문화정보센터. (2013). 국가유물 정보화 전략 계획 수립 연구. 한국문화정보센터.
한국콘텐츠진흥원. (2013). 문화기술(CT) 동향 I. 문화기술, 32, 54-55.
한희정. (2016). 국내 무형문화유산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및 활용을 위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7(2), 95-134. http://dx.doi.org/10.14699/kbiblia.2016.27.2.095.
허소임. (2017). 온라인 미술관에서 미술작품과 태그의 협력 태깅 관계 시각화 - 경기도 미술관 소장품 태그를 중심으로 -. 디자인융복합연구(구.인포디자인이슈), 16(1), 237-256.
홍성추. (2003). 디지털 아카이브 시스템. 방송공학학회지, 8(2), 84-104.
Chae, G.. (2011). Rethinking museum management by exploring the potential of social tagging systems in online art museums. International Journal of the Inclusive Museum, 3(3), 131-140. http://dx.doi.org/10.18848/1835-2014/cgp/v03i03/44341.
Paul Conway. (2015). Digital transformations and the archival nature of surrogates. Archival Science, 15(1), 51-69. http://dx.doi.org/10.1007/s10502-014-9219-z.
Chern Li Liew. (2016). Participatory Culture in Memory Institutions: of Diversity, Ethics and Trust?. D-Lib Magazine, 22(7/8), -. http://dx.doi.org/10.1045/july2016-liew.
Manzo, C.. (2015). By the people, for the people: Assessing the value of crowdsourced, usergenerated metadata. Digital Humanities Quarterly, 9(1), 1-16.
Caimei Lu. (2010). User tags versus expert-assigned subject terms: A comparison of LibraryThing tags and Library of Congress Subject Headings.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36(6), 763-779. http://dx.doi.org/10.1177/0165551510386173.
Martha Kellogg Smith. (2006). VIEWER TAGGING IN ART MUSEUMS: COMPARISONS TO CONCEPTS AND VOCABULARIES OF ART MUSEUM VISITORS. Advances in Classification Research Online, 17(1), 1-19. http://dx.doi.org/10.7152/acro.v17i1.12492.
J. Trant. (2006). Exploring the potential for social tagging and folksonomy in art museums: Proof of concept. New Review of Hypermedia and Multimedia, 12(1), 83-105. http://dx.doi.org/10.1080/136145606008029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