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옛한글 코드의 변천사

A Study on Changes in the Old Hangul Code

한국학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18, v.41 no.4, pp.213-238
https://doi.org/10.25024/ksq.41.4.201812.213
양왕성 (한글과컴퓨터)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Abstract

현재 우리가 쓰는 대부분의 IT 기기에서 한글은 매우 효율적인 입출력 구조를 가지고 있어, 크게 불편함을 느끼지 않는다. 반면 옛한글은 아직 실용적인 수준으로는 미흡하며, 많은 기기들이 옛한글 규격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시간이 더 필요한 상황이다. 옛한글을 지원하기 위한 규격은 1980년대부터 있어 왔고, 몇 차례의 큰 변화를 겪으며 옛한글 코드도 국제문자코드에까지 반영되었다. 한글코드들에서 옛한글을 지원하기 위한 어떤 노력들이 있었는지 살펴보고, 최근의 옛한글코드에 대한 표준 규격과 올바른 이용에 대해서도 살펴본다. 앞으로 많은 기기들이 옛한글코드를 지원하여, 옛한글들도 현대한글 만큼이나 혼란 없이 자연스럽게 쓸 수 있는 환경이 되길 기대한다.

keywords
유니코드(Unicode), 옛한글(old Hangul), 현대한글(modern Hangul), 옛한글코드(old Hangul code), 현대한글코드(modern Hangul code), 조합형 한글 자모(conjoining Hangul Jamo characters), 한글 완성형 글자마디(precomposed modern Hangul syllables)


참고문헌

1

김병선, 『컴퓨터 자판 옛자모 배열 연구』. 국립국어연구원, 1993.

2

김흥규, 『한글 옛글자의 컴퓨터 처리 효율화 방안과 이에 대한 고시조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개발 연구』. 한국어전산학회, 1992.

3

정우봉, 『21세기 세종계획 문자코드 표준화 연구』. 국립국어원, 2006.

4

홍윤표, 『한글 코드에 관한 연구』. 국립국어연구원, 1995.

5

이승재, 『한국어 정보 자료의 구축과 활용 방안 연구』. 서강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3.

6

KSC 5601‒1992 정보교환용 부호계, 2바이트 조합형 부호계, 1992

7

삼보컴퓨터, 『한글 비디오 보드(고어) 사용설명서』. 1991

8

양왕성, 「옛한글 코드와 표준코드」. 훈민정음학회(강연자료), 2018.

9

유니코드, www.unicode.org/charchart/, Unicode 11.0 Character Code Charts.

10

한글과컴퓨터, 「글 사용자 메뉴얼」. 1993.

상단으로 이동

한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