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Detail

Home > Article Detail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Changes in North Korea’s United Front and the Officers Policy of the North Korean People’s Army Headquarters, 1947

Korean Studies Quarterly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18, v.41 no.4, pp.301-326
https://doi.org/10.25024/ksq.41.4.201812.301
Kim, Seon-ho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1947년은 북한의 국가건설과정에서 가장 큰 변화가 있던 한해였다. 북한정치세력은 해방 직후에 친일파와 민족반역자를 제외하고 전체 민족의 통일전선을 추구하였다. 그러나 북조선로동당은 1946년에 개최된 미·소공동위원회 이후부터 인민민주주의혁명을 반대하는 세력에 대한 투쟁을 선언하였다. 하지만 1946년 말에 추진한 당증수여사업이 좌경적으로 진행되자, 1947년부터 숙청사업을 재검토하고 숙청의 폭을 축소하였다. 집단군총사령부는 1947년 5월 17일에 창설되었고, 총사령관은 김일성의 측근인 최용건이 맡았다. 집단군총사령부에 새로 충원된 간부들은 모두 소련군사령부와 북한정치세력이 신뢰할 수 있는 사람들이었다. 노동당은 부일협력자를 창군과정에 참여시킨 뒤에 1947년 3월에 제2차 미·소공동위원회를 앞두고 이들을 축출하였다. 북한정치세력은 한반도문제 해결을 앞두고 반혁명세력을 배제하고 북조선로동당의 지도적 위치를 강화하였다. 집단군총사령부의 내부숙청은 노동당의 숙청사업과 달리 반제투쟁과 반봉건투쟁을 넘어서 타 당원에게까지 확대되었다. 북한의 군대는 1947년 동안 노동당에 비해 반제·반봉건투쟁을 더 철저하고 지속적으로 전개하였다. 북한정치세력은 한반도에서 독립국가 건설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자 노동자·농민·사무원을 끌어들여 인위적으로 계급을 재편하였다. 그들은 가장 먼저 집단군총사령부를 친노동당적 성향으로 개조함으로써 인민민주주의혁명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무력적 기반을 구축하였다.

keywords
조선인민군(Korean People’s Army), 북조선인민위원회(North Korean People’s Committee), 북조선인민회의(North Korean People’s Assembly), 보안간부훈련대대부(Security Officer Training Headquarters), 친일파(Pro‒Japanese group), 미소공동위원회(Joint American‒Soviet Commission), 토지개혁(Land reform), 북조선노동당(North Korean Workers’ Party), 조선민주당(Korean Democratic Party), 천도교청우당(North Korean Cheondogyo Youth Party)


Reference

1

『근로자』 제12호. 로동신문사, 1949년 6월 30일.

2

『北朝鮮法令集』. 北朝鮮人民委員會 司法局, 1947.

3

국사편찬위원회 편, 『북한관계사료집』1·5·7·8·9·13·30·42권. 국사편찬위원회, 1982·1987·1989·1990·1992·1998·2004.

4

金日成, 『金日成 重要報告集: 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 樹立의 길』. 民主朝鮮出版社, 1947년 1월 1일.

5

김동화 외, 『연변당사 사건과 인물』. 연변인민출판사, 1988.

6

김석형, 『김석형구술자료집: 나는 조선로동당원이오!』. 선인, 2001.

7

김일성, 『김일성전집』 2권. 조선로동당출판사, 1992.

8

북조선인민보안국, 『北朝鮮保安事業總結報告』. 북조선인민보안국, 1946년 11월 19일, NARA, RG 242, SA 2010, Box 미상, Item 150,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노획문서.

9

북조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北朝鮮人民會議 第一次 會議 會議錄』. 勞動新聞社, 1947.

10

延邊朝鮮族自治州檔案館 編, 『延邊大事記』. 延邊大學出版社, 1990.

11

전현수 역, 『북조선주재 소련민정청 3개년사업 총결보고』 1권(정치편).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2006.

12

중국조선민족발자취총서편집위원회 편, 『결전』. 민족출판사, 1991.

13

최해암, 『조선의용군 제1지대사』. 료녕민족출판사, 1992.

14

한림대 아시아문화연구소 편, 『駐韓美軍北韓情報要約』 2. 한림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1989.

15

한상구, 「팔로군 출신 방호산 사단 정치보위부 최태환의 증언」. 『역사비평』 1988년 가을호, 1988.

16

G‒2, HQ, FECOM, History of the North Korean Army. HQ, FECOM, 1952. 7. 31.

17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6·25전쟁사』 1.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04.

18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 『한국전쟁사1: 해방과 건군』.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 1967.

19

김광운, 『북한정치사연구』 1. 선인, 2003.

20

백기인, 『建軍史』.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02.

21

사회과학원 력사연구소, 『조선전사』 24권.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81.

22

서동만, 『북조선사회주의체제성립사』. 선인, 2005.

23

柴田政義, 『東歐政治經濟史』. 인간사랑, 1990.

24

엄영식, 『탈출: 죽어서야 찾은 자유』. 야스미디어, 2005.

25

장준익, 『북한인민군대사』. 서문당, 1991.

26

장학봉 외, 『북조선을 만든 고려인이야기』. 경인문화사, 2006.

27

정설송 엮음, 『중국인민해방군가의 작곡가 정률성①: 그의 삶』. 형상사, 1992.

28

佐佐木春隆 著, 姜昶求 譯, 『韓國戰秘史』 中卷. 兵學社, 1977.

29

주영복, 『내가 겪은 조선전쟁』 1. 고려원, 1990.

30

중앙일보특별취재반 편, 『祕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상. 중앙일보사, 1992.

31

최태환·박혜강, 『젊은 혁명가의 초상』. 공동체, 1989.

3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편, 『내가 겪은 한국전쟁과 박정희정부』. 선인, 2004.

33

기광서, 「북한 무력 형성과 북소관계」. 『中蘇硏究』 28권 3호, 2004, 215‒235쪽.

34

김광수, 「조선인민군의 창설과 발전, 1945‒1990」. 『북한군사문제의 재조명』, 한울아카데미, 2006, 63‒78쪽.

35

김광운, 「전쟁 이전 북한인민군의 창설과정」.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편, 『한국전쟁의 새로운 연구』 1,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01, 3‒53쪽.

36

김선호, 「해방 직후 조선민주당의 창당과 변화」. 『역사와현실』 61호, 2006, 279‒311쪽.

37

김선호, 「해방 이후 북·중군사협력관계의 형성과 ‘혁명’의 경계」. 『軍史』 102호, 2017, 115‒150쪽.

38

김용현, 「북한인민군대의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 1‒82쪽.

39

최완규, 「조선인민군의 형성과 발전」. 『북한체제의 수립과정』,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1991, 139‒176쪽.

상단으로 이동

Korean Studies Quarter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