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Detail

Home > Article Detail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Violence in the March 1st Movement and its Implications: The Imaginary of ‘Revolutionary Violence’ as Anti-violence

Korean Studies Quarterly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18, v.41 no.4, pp.67-104
https://doi.org/10.25024/ksq.41.4.201812.67
Kim, Yeong-Beom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This paper clarifies and argues that the March 1st Movement of 1919 in colonial Korea showed a violent face from the very beginning besides peaceful one which has been the conventional notion of that movement for a long time. At the same time, it criticizes and opposes recent claims that the movement evolved from a nonviolent to violent one. Violent and bloody demonstrations staged by the Korean peasantry, who took the frontline of the movement armed with primitive instruments, eventually transformed themselves from instant and resistant to planned and aggressive ones. This resulted in bringing about a rapid change not only in the Japanese imperialist policy but also in the direction of the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led by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in Shanghai. In response, grassroots people in Korea promptly acted in concert by taking up anti-Japanese violent activities. Also, the secret society Euiyoldan executed the assassination-and-destruction movement with the aim of terminating the Japanese violent rule. Inspired by these moves, Shin Chae-ho implored a general uprising to overthrow Japanese imperialism and proposed to build an ideal New Korea. He asserted that such an uprising should be realized only by joining the popular vigor which had been demonstrated during the March 1st Movement with violence which was, in his view, yet to be sufficiently manifested. The successive adoption and dissemination of this notion by Korean independence fighters in China resulted in founding two revolutionary armies and driving grassroots people’s revolts. After all, the grassroots violence displayed in the March 1st Movement became the womb and origin of revolutionary violence by passing through the filter of Euiyoldan’s resistant violence. Moreover, this revolutionary violence can be regarded as a new source of meaning of the ideal-typical ‘anti-violence,’ in that it was supposed to disappear by itself immediately after annihilating the systemic violence of Japanese colonialism and laying the foundation of peace in Asia.

keywords
3, 1 운동(March 1st Movement), 혁명적 폭력(revolutionary violence), 민중적 폭력(grassroots violence), 반폭력(Anti-violence), 신채호(申采浩, Shin Chae-ho), 의열단(義烈團, Euiyoldan)


Reference

1

《獨立(新聞)》(上海版)

2

《東亞日報》

3

《每日新報》

4

《光復》

5

《朝鮮義勇隊》

6

《朝鮮義勇隊通訊》

7

《韓靑》

8

『中國新聞 韓國獨立運動記事集』 Ⅰ.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8.

9

慶尙南道警察部, 『高等警察關係摘錄』. 1936.

10

국사편찬위원회, 『韓國獨立運動史』 2. 정음문화사, 1968.

11

국사편찬위원회,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8·19. 2006·2007.

12

國會圖書館 編, 『韓國民族運動史料』 3·1 運動篇 其一·其三. 1977·1979.

13

단재 신채호 전집 편찬위원회 편, 『단재 신채호 전집』 제1‒제9권.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8.

14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 자료집』 제5집. 1972.

15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 제2·3권: 3·1 운동사 상·하. 1971.

16

朴殷植 저, 김도형 역, 『한국독립운동지혈사』. 소명출판, 2008.

17

윤소영 편역, 『日本新聞 韓國獨立運動記事集』 Ⅰ·Ⅱ.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9.

18

姜德相 編, 『現代史資料』 26. 東京: みすず書房, 1967.

19

金正明 編, 『朝鮮獨立運動』 Ⅰ. 東京: 原書房, 1967.

20

「大韓獨立宣言書」. 吉林, 1919.

21

「大韓獨立宣言書」. 河東, 1919.

22

「韓國3·1節22週紀念大會敬告中國同胞書」. 重慶, 1941.

23

權南善 외 8인, 「同胞에 檄하노라!!」. 忠武, 1919.

24

旅粵韓人全體, 「大韓民國獨立宣言第六週紀念辭」. 廣州, 1925.

25

김영범, 『의열투쟁 Ⅰ: 1920년대』.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9.

26

김영범, 『한국 근대민족운동과 의열단』. 창작과비평사, 1997.

27

김정인·이정은, 『국내 3·1 운동 Ⅰ: 중부·북부』.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9.

28

김종엽, 『연대와 열광: 에밀 뒤르켐의 현대성 비판 연구』. 창비, 1998.

29

金鎭鳳, 『3·1 運動史 硏究』. 국학자료원, 2000.

30

슬라보예 지젝 저, 이현우 외 역, 『폭력이란 무엇인가: 폭력에 대한 6가지 삐딱한 성찰』. 난장, 2011.

31

愼鏞廈, 『3·1 運動과 獨立運動의 社會史』.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1.

32

에티엔 발리바르 저, 진태원 역, 『폭력과 시민다움: 반폭력의 정치를 위하여』. 난장, 2012.

33

요한 갈퉁 저, 이재봉 외 역, 『평화적 수단에 의한 평화』. 들녘, 2000.

34

尹炳奭·愼鏞廈·安秉直 편, 『韓國近代史論』 Ⅱ. 지식산업사, 1977.

35

이정은, 『3·1 독립운동의 지방시위에 관한 연구』. 국학자료원, 2009.

36

자크 데리다 저, 진태원 역, 『법의 힘』. 문학과지성사, 2004.

37

趙景達 저, 정다운 역, 『식민지기 조선의 지식인과 민중: 식민지 근대성론 비판』. 선인, 2012.

38

趙景達 저, 허영란 역, 『민중과 유토피아: 한국근대민중운동사』. 역사비평사, 2009.

39

조길태, 『인도 민족주의 운동사』. 신서원, 1993.

40

조르주 르페브르 저, 김기실 역, 『혁명적 군중』. 한그루, 1983.

41

조르주 소렐 저, 이용재 역, 『폭력에 대한 성찰』. 나남, 2008.

42

최준채 외 4인, 『고등학교 한국사』. 리베르스쿨, 2017.

43

프란츠 파농 저, 남경태 역, 『대지의 저주받은 사람들』. 그린비, 2010.

44

프레드릭 A. 매켄지 저, 신복룡 역주, 『한국의 독립운동』. 집문당, 1999.

45

한국역사연구회·역사문제연구소 엮음, 『3·1 민족해방운동 연구』. 청년사, 1989.

46

강만길, 「독립운동의 폭력노선과 비폭력노선」. 『외국문학』 제11호, 1986, 101‒115쪽.

47

권보드래, 「‘만세’의 유토피아: 3·1 운동에 있어 복국(復國)과 신세계」. 『한국학연구』(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제38집, 2015, 193‒226쪽.

48

김영범, 「19세기 民의 사회적 상상과 鄭鑑錄」. 『민중의 귀환, 기억의 호출』, 한국학술정보, 2010, 64‒94쪽.

49

김영범, 「신채호의 ‘조선혁명’의 길」. 『한국근현대사연구』 제18집, 2001, 39‒67쪽.

50

김영범, 「의열투쟁과 테러 및 테러리즘의 의미연관 문제」. 『사회와 역사』 제100집, 2013, 167‒201쪽.

51

김현, 「폭력 그리고 진리의 정치」. 『민주주의와 인권』 제14권 제2호, 2014, 5‒41쪽.

52

朴成壽, 「3·1 運動에서의 暴力과 非暴力」. 尹炳奭·愼鏞廈·安秉直 編, 『韓國近代史論』 Ⅱ. 지식산업사, 1977, 123‒139쪽.

53

박종린, 「해방 직후 사회주의자들의 3·1운동 인식」. 『서울과 역사』 제99호, 2018, 127‒151쪽.

54

발터 벤야민, 최성만 옮김, 「폭력비판을 위하여」. 『역사의 개념에 대하여 (외)』, 길, 2008, 77‒117쪽.

55

서관모, 「반폭력의 문제설정에 대하여」. 『마르크스주의 연구』 제15권 1호, 2018, 14‒46쪽.

56

신용하, 「3·1 독립운동의 쟁점」. 『한국 항일독립운동사연구』, 경인문화사, 2006, 121‒141쪽.

57

愼鏞廈, 「3·1 獨立運動 勃發의 經緯」. 尹炳奭·愼鏞廈·安秉直 편, 『韓國近代史論』 Ⅱ, 지식산업사, 1977, 39‒112쪽.

58

이윤상, 「평안도 지방의 3·1 운동」. 한국역사연구회·역사문제연구소 엮음, 『3·1 민족해방운동 연구』, 청년사, 1989, 258‒305쪽.

59

이윤상·이지원·정연태, 「3·1 운동의 전개양상과 참가계층」. 한국역사연구회·역사문제연구소 엮음, 『3·1 민족해방운동 연구』, 청년사, 1989, 229‒257쪽.

60

이정은, 「안성군 원곡·양성의 3·1 운동」. 『한국독립운동사연구』 제1집, 1987, 151‒178쪽.

61

이정은, 「창녕군 영산의 3·1 운동」. 『한국독립운동사연구』 제2집, 1988, 139‒166쪽.

62

이종민, 「1910년대 경성 주민들의 ‘죄’와 ‘벌’: 경범죄 통제를 중심으로」. 『서울학연구』 17권 1호, 2001, 95‒130쪽.

63

이지원, 「경기도 지방의 3·1 운동」. 한국역사연구회·역사문제연구소 엮음, 『3·1 민족해방운동 연구』, 청년사, 1989, 306‒347쪽.

64

정연태, 「경남 지방의 3·1 운동」. 한국역사연구회·역사문제연구소 엮음, 『3·1 민족해방운동 연구』, 청년사, 1989, 348‒393쪽.

65

趙東杰, 「말기 의병전쟁과 3·1 운동의 관계」. 『대한제국의 의병전쟁』, 역사공간, 2010, 265‒281쪽.

66

진태원, 「극단적 폭력과 시민다움」. 『철학연구』 제118집, 2017, 79‒109쪽.

67

千寬宇, 「民衆運動으로 본 3·1 運動」. 尹炳奭·愼鏞廈·安秉直 편, 『韓國近代史論』 Ⅱ, 청년사, 1989, 113‒122쪽.

68

홍종욱, 「북한 역사학의 3·1 운동 인식」. 『서울과 역사』 제99호, 2018, 153‒203쪽.

69

原口由夫, 「三·一運動彈壓事例の硏究: 警務局日次報告の批判的檢討を中心にして」, 『朝鮮史硏究會 論文集』 제23집, 1986, 215‒243쪽.

상단으로 이동

Korean Studies Quarter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