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Detail

Home > Article Detail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Comparative Research on The Explanatory Diagram of Korean Musical‒Instruments in Joseon Dynasty

Korean Studies Quarterly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19, v.42 no.2, pp.239-296
https://doi.org/10.25024/ksq.42.2.201906.239
OH JIHAE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조선시대 관찬서(官撰書) 『세종실록・오례』(1451)・『국조오례의서례』(1474)・『악학궤범』(1493)・『춘관통고』(1788)・『대한예전』(1898)・『증보문헌비고』(1770‒1908)에 나타난 악기도설(樂器圖說)을 편찬시기 순으로 악기의 종류와 분류, 해설, 도상 등을 비교하여 특징과 각 문헌간의 관계 도출하였다. 첫째, 문헌의 성격에 따른 악기 목록 구성에 차이가 있고, 각 문헌의 편찬시기에 따라 악기 종류의 가감(加減)이 발생되었다. 의례서와 악서의 이전 도설들은 ‘악기’를 악현에 배치된 ‘모든 의물(儀物)’로 인식하였던 반면, 유서류 『증보문헌비고』는 ‘악기’를 ‘음악을 연주하는 기구’의 개체로 인식한 새로운 구성을 보여준다. 둘째, 『세종실록・오례』의 해설을 기초로 『국조오례의서례』에서 해설이 완성되었고, 『국조오례의서례』의 해설은 『악학궤범』・『춘관통고』・『대한예전』까지 전용(全用)되었다. 다만, 『악학궤범』은 추가적으로 악기 만드는 법 및 연주법에 관한 내용을 새로 집필하였고, 『증보문헌비고』는 『국조오례의서례』에 더불어 『악학궤범』의 내용까지 전용(全用)하고, 그 외에 한국문헌들을 인용해 추가 집필한 것이다. 악기의 해설은 초기 중국문헌 인용문에 의존한 집필에서 후기로 갈수록 실용적인 정보와 한국문헌 인용으로 증보(增補)되는 양상을 보인다. 해설 검토 과정에서는 현재 원문서비스가 제공되는 장서각 『대한예전』 사본(寫本)의 착간으로 인한 악기해설 오류를 정정하였고, 『증보문헌비고』가 인용한 『악학궤범』이 임진란(壬辰亂) 후판본(後板本)임을 확인하였다. 셋째, 『세종실록・오례』 및 『국조오례의서례』에는 각기 당대의 악기 제도가 반영된 그림이 나타났다. 『악학궤범』은 독자적으로 도면(圖面) 성격의 그림이 나타났고, 『춘관통고』가 『악학궤범』 그림의 영향을 받았다. 『대한예전』은 『국조오례의서례』의 도록(圖錄)을 모사(模寫)하는 과정에서 도설(圖說)의 역기능이 나타났다. 요컨대, 조선시대 관찬(官撰) 악기도설(樂器圖說)의 고찰을 통해 각 문헌들의 특징과 문헌들 간의 관계가 검토되었다. 이 연구를 토대로 개별 도설 및 도설에 나타난 악기들에 대한 많은 부분의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조선 악기 문헌을 해독하는 관점을 되짚는 연구의 좋은 계기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keywords
국악기(Korean musical‒instruments), 악기도설(an explanatory diagram of musical‒instruments), 악기해설(instrument explanatory), 악기그림(instrument diagram), 국악기분류(Classification of Korean musical instruments), 국악문헌 (Literatur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악학궤범 (Akhak kwebŏm)


Reference

1

『악서(6책‒12책)』(한국음악학자료총서 제9집). 국립국악원, 1982.

2

『악서(13책‒19책)』(한국음악학자료총서 제10집). 국립국악원, 1982.

3

『영조판 악학궤범』(한국음악학자료총서 제26집). 국립국악원, 1988.

4

『진연의궤』(한국음악학자료총서, 제30집). 국립국악원, 1992.

5

『삼국사기악지・고려사악지・증보문헌비고악고』(한국음악학자료총서 제27집). 국립국악원, 1988.

6

김종수 역주, 『증보문헌비고 악고 上』(한국음악학학술총서 제3집). 국립국악원, 1994.

7

김종수 역주, 『증보문헌비고 악고 下』(한국음악학학술총서 제3집). 국립국악원, 1994.

8

이혜구 역주, 『신역 악학궤범』(한국음악학학술총서 제5집). 국립국악원, 2000.

9

이혜구 역주, 『국역 악학궤범』. 민족문화추진회, 1980.

10

국립국악원, 『악학궤범(영인본)』. 국립국악원, 2011.

11

김소희, 「『문헌통고』 경적고의 서지학적 가치에 관한 재고」. 『서지학보』 제33집, 2009, 89‒121쪽.

12

김영운, 「가야금의 유래와 구조」. 『국악원논문집』 제9권, 국립국악원, 1997, 3‒29쪽.

13

김종수, 「세종대 아악(雅樂) 정비와 진양(陳暘)의 『악서(樂書)』」. 『온지논총』 15호, 2006, 89‒125쪽.

14

로버트 프로바인 저, 정영진 역, 「『악학궤범』 권6의 편찬과정 소고」. 『음악과민족』 권12호, 1996, 279‒285쪽.

15

송방송, 「『악학궤범』의 문헌적 연구: 인용기사를 중심으로」. 『민족문화연구』 권16호, 1982, 1‒65쪽.

16

송지원, 「18세기 조선 음악지식 集成의 방식」. 『한국문화』 제57집, 2012, 127‒151쪽.

17

송지원, 「음악학 사료로서의 국가전례서 읽기: 『국조오례의』・『국조오례서례』를중심으로」. 『동양음악』 권44호, 2018, 73‒104쪽.

18

송지원, 『정조의 음악정책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3.

19

이숙희, 「『악학궤범』 소재 악기편성의 종류와 성격」. 『국악원논문집』 권15호, 국립국악원, 2003, 95‒136쪽.

20

임미선, 「대한제국기의 음악-대한제국기 궁중음악: 「대한예전」을 중심으로」. 『한국음악사학보』 제45집, 2010, 67‒105쪽.

21

정구복, 「『문헌비고』의 자료적 성격과 사학사적 의미」. 『진단학보』 제106집, 2008, 167‒190쪽.

22

정화순, 「조선전기 문헌에서의 국악기 분류법에 대한 검토」. 『온지논총』 권15호, 2006, 359‒400쪽.

23

송지원, 「『악학궤범』 「향부악기도설」의 원전에 대한 추고」. 『온지논총』 권16호, 2007, 335‒361쪽.

24

송지원, 『한국 방향의 구성 음과 편차의 변천에 관하여」. 『국악원논문집』 제26집, 2012, 325‒355쪽.

25

주재근, 「일제강점기 국악기에 관한 인식」. 『한국악기학』 제2호, 2004, 113‒152쪽.

26

국사편찬위원회 조선왕조실록(sillok.history.go.kr).

27

장서각 디지털 아카이브(http://jsgimage.aks.ac.kr/).

상단으로 이동

Korean Studies Quarter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