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Detail

Home > Article Detail
  • P-ISSN 2671-8197
  • E-ISSN 2733-936X

The Interpretation for Korean Hanja Names of Objects in Yu Hui’s Mulmyeonggo

Korean Studies Quarterly / Korean Studies Quarterly, (P)2671-8197; (E)2733-936X
2024, v.47 no.1, pp.91-130
Bong Jwa KIM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유희(柳僖, 1773~1837)의 저술 『물명고(物名考)』에서 소개한 우리나라 한자물명을 중심으로 근거 제시 방식과 수록 형태, 해석의 양상을 분석한 것이다. 『물명고』에는 우리나라 물명이 다양한 방식으로 수록되어 있는데, 개별 물명에 대한 주해에서 우리나라와 관련된 어구를 직접적으로 명시한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물명의 근거는 ‘東俗(동속)’, ‘我國(아국)’, ‘新羅(신라)’, ‘耽羅島(탐라도)’ 등 우리나라를 가리키는 어구, ‘東醫(동의)’, ‘譯語(역어)’, ‘詩諺解(시언해)’ 등 우리나라 서적의 명칭, ‘李晩永(이만영)’, ‘徐四佳(서사가)’, ‘李芝峯(이지봉)’ 등 우리나라 학자의 이름을 인용하는 방식으로 제시되었다. 다만 이 가운데에는 중국 문헌에 용례가 보이면서 우리나라 물명의 근거가 명확하지 않은 한자물명도 일부 포함되어 있는데, 사례별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우리나라 물명은 큰 글자로 표기된 ‘표제어’와 ‘유의어’, 작은 글자로 서술된 ‘주해’의 형태로 수록되었는데, 해당 물명의 중요도 또는 보편성을 반영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우리나라 한자물명에 대한 해석은 주로 우리나라 서적에 수록된 물명에 대한 비판적인 견해를 드러내면서 서술되었고, 특히 초목류 관련 물명에 대한 해석이 많다. 그리고 중국의 물명과는 다른 우리나라 한자물명을 고증하고, 기존 물명의 분류에 대해 고민하는 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 『물명고』에 수록된 한자물명들은 주로 중국의 서적을 근거로 하여 기술한 것이 많지만, 중국과는 다른 우리나라 자연물의 특징을 비교하여 우리나라의 물명들을 고증하고 가능한 한 많이 수록하고자 했던 유희의 의지를 읽을 수 있다.

keywords
Yu Hui, Mulmyeonggo, thesaurus of names for things, collection of Hanja vocabulary classification, Hanja names, Korean names, 유희, 물명고, 물명사전, 한자어휘분류집, 한자물명, 한글물명


상단으로 이동

Korean Studies Quarter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