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multilevel mediating effect of ego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among teacher burnout, students' school adjustment and academic burnout.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elementary school homeroom teachers (N=840 and their students(N=1,825).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ego resilience, multilevel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employ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high level of teacher burnout was connected to low level of students' school adjustment and high level of students' academic burnout. In addition, students' ego resilience mediated the path from teacher burnout to students' school adjustment/academic burnout.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to enhance students' school adjustment and to reduce students' academic burnout.
강유경, 한유경 (2015). 초등학생의 학업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연구. 교육학연구, 53(3), 61-88.
강병재, 백영숙 (2013). 어린이집 교사의 심리적 소진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과의 관계에서 교수 창의성과 교수 효능감의 매개효과, 어린이미디어연구, 12(1), 145-168.
강진아 (2010).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심리적 소진이 학생의 학교생활적응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권정은 (2011). 초등학교 6학년 담임교사의 소진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권태우, 조규판 (2015). 학업적 자기효능감, 가족의 응집성 및 적응성, 학급풍토가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7), 205-225.
김상미, 정익중, 임보람 (2011). 청소년의 인터넷 사용유형이 학교부적응과 학업성적을 매개로 우울과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학교사회복지, 20, 175-195.
김성실 (2015).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 학업소진, 자아탄력성과의 관계.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소라 (2010). 초등학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의 타당화.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수진 (2011). 아동이 지각한 아버지의 의사소통유형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수진 (2013). 아동의 학업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 의 조절효과. 가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수진, 김혜숙 (2011). 아동이 지각한 아버지의 의사소통유형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초등상담연구, 10(2), 203-221.
김아영 (2002). 자기결정성 이론에 따른 학습동기 유형 분류체계의 타당성. 교육심리연구, 16(4), 169-187.
김아영 (2002). 학업동기 척도 표준화 연구. 교육평가연구, 15(1), 157-184.
김정휘 (1991).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정신·신체적 증상 또는 탈진과의 관계.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김현주 (2015). 초등학생이 지각한 교사 학생관계와 학생의 자아탄력성 및 학교 적응 연구. 초등교육학연구, 22(1), 49-71.
김형렬, 이세영, 이이령, 김학한, 이원영 (2016). 교사 직무스트레스 및 건강실태 조사.
김혜선 (2004).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의 자아효능감과 심리적 소진과의 관계.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나은지 (2017). 아동이 지각한 담임교사의 의사소통과 친구 간 갈등해결전략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경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문은영 (2016). 유아교사의 심리적 소진과 행복감이 유아의 교육기관 적응능력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박상희 (2010). 초등학생의 자아탄력성, 실패내성, 학교적응관계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박선미 (2014). 종단, 다층 및 범주형 자료의 매개효과 분석방법.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박순진 (2008). 개인의 인지적 종료 욕구와 부정적 기분 조절 기대치가 초등학교 교사 소진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박시연 (2016). 고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소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박영숙, 유순화, 한귀녀, 정애리 (2007). 교사의 직무만족도와 학생의 교사태도에 대한 지각이 초등학생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초등교육연구, 20(3), 449-467.
박은영 (2011). 아동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18(6), 1-27.
박은희 (1996). 자아탄력성(Ego-Resiliency), 지능 및 학업성취도와의 관계연구.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박지수 (2010). 초등학교 5학년 아동의 공감능력과 교우관계 및 자기조절 능력과의 관계.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방수산 (2008). 초등학생의 자아탄력성, 사회적지지 및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대구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선화경 (2017). 교사의 자율성 지지가 아동의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을 매개변인으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성순옥, 박미단, 김영희 (2013). 청소년의 학교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0 (8), 49-70.
신혜영 (2005).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효능감이 교사 행동의 질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6(5), 105-121.
심숙영 (1991). 통제할 수 없는 스트레스 상황에 대한 아동의 대처책략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양정호, 엄미경 (2015). 창조적 미래인재 양성을 위한 정책방향과 과제. KDI 한국개발연구원 중장기 경제발전 전략 정책세미나 발표자료. 세종시: 한국개발연구.
오영미, 허일범 (2016). 초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청소년상담연구, 24(2), 59-74.
유정이 (2002). 교육환경의 위험요소와 사회적 지지가 초등학교 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초등교육, 15(2), 315-328.
윤다혜 (2015). 초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나영, 국지윤, 김영옥 (2014).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정서노동의 매개효과. 한국영유아보육학, 89, 341-359.
이병희 (2011). 학년 초기 초등학생의 자아탄력성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교사신뢰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2(5), 1779-1791.
이윤주 (2004). 초등학생의 자아탄력성과 부모갈등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상급생을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5(2), 435- 449.
이윤주 (2008). 중학생의 자살위험요인에 대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 상담학연구, 9(2), 659-673.
이은자, 송정아 (2017). 청소년의 학업중단 경험연구 - H청소년대안센터 학업중단 청소년을 대상으로. 상담학연구, 18(5), 213- 237.
이제호 (2017). 초등학교 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및 영향요인 분석.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희영, 정민상 (2007). 비합리적 신념이 교사 소진에 미치는 영향. 수산해양교육학회, 19(3), 467-477.
장성화, 최은희, 이주연 (2016). 초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이 학교생활적응과 일상생활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아동교육, 25(2), 353-364.
정민상 (2007). 교사의 소진과 비합리적 신념의 관계. 부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정선아, 이고운 (2016). 국내 아동청소년 자아탄력성 중재의 효과 연구: 메타분석. 정신간호학회지, 25(3), 237-248.
정여원, 김정아 (2015). 자아탄력성에 대한 개념분석. 한국성인간호학회지, 27(6), 644- 655.
정연홍, 유형근 (2016). 교사의 심리적 소진 측정도구 개발. 아시아교육연구, 17(3), 303- 326.
정익중, 이정은, 이상균 (2011). 지역아동센터 야간보호교사의 소진과 이직이 아동의 학교적응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사회복지학, 37, 137-163.
정현태, 임우섭, 김용주 (2017). 고등학생이 지각한 가족관계, 담임교사의 의사소통, 자아탄력성과 학교생활적응 간의 구조관계. 미래교육학연구, 30(1), 1-23.
조성화 (2013). 초등학생의 완벽주의 성향과 학업소진의 관계: 자아탄력성과 스트레스 대처행동의 매개효과. 대구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조아선 (2009). 아동이 지각하는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교사 지도력과 아동의 학교적응행동 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조주연, 김명소 (2013). 초등학생의 학업소진 및 학업열의에 관한 남녀 차이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8(4), 477-497.
조환이 (2015). 초등학교교사의 소진(Burn out)에 관한 연구: 개인자원과 직무자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차진훈 (2016). 학교교사 소진 관련 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채호숙 (2008). 초등학생의 자아탄력성, 학업적 실패내성,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최성순 (2014). 초등 고학년의 자아존중감, 자기결정성동기, 자아탄력성과 학교 적응의 관계.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최인재, 모상현 (2012).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지원방안 연구 Ⅱ: 조사결과 자료집. 서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최현주 (2017). 학급풍토와 학업소진 간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효과. 한국청소년연구, 28(4), 33-75.
최현주, 정윤미, 김지원, 이상민 (2015). 위계선형모형(HLM)을 적용한 초등학생의 학생-교사애착, 학급풍토, 학교행복감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29(3), 129-149.
편무경 (2012). 초등 영재학생의 학업적 완벽주의와 학업소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과 메타-인지전략의 매개효과. 인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한광현 (2008) 교사의 자원과 대처전략 그리고 소진의 관계. 경영교육논총, 49, 327-349.
한은아 (2010). 부모의 양육태도와 부모 소진 및 초등학생 학업소진과의 관계.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허난설 (2015). 근거 이론을 활용한 초등교사 소진 및 대처 과정에 대한 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32(4), 73-101.
한정아 (2013). 초등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촉진적 의사소통과 학교행복감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홍주리 (2011). 초등학생이 지각한 학급풍토 및 학급건강성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Bakker A. B., & Schaufeli W. B. (2000). Burnout contagion processes among teacher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30, 2289-2308
Bakker, A. B., Demerouti, E., & Schaufeli,W. B. (2003). The socially induced burnout model. In S. P. Shohov (Ed.), Advances in psychology research (Vol. 25, pp. 13-30). New York: Nova Science Publishers.
Bakker, A., Emmerik, H. V. and Euwema, M. (2006) Crossover of Burnout and Engagement in Work Teams. Work and Occupations, 33, 464-489.
Bask, M., & Salmela-Aro, K. (2013). Burned out to drop out: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burnout and school dropout. European Journal of Psychology of Education, 28, 511-528.
Birch, S. H., & Ladd, G. W. (1997).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children’s early school adjustment.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35, 61-80.
Block, J. (1982). Assimilation, accommodation, and the dynamics of personality development. Child Development, 53(1), 281-291.
Block, J., & Kremen, A, M. (1996). IQ and Ego-resiliency: Conceptual and empirical connections and separate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2), 349-361.
Block, J. H., & Block, J. (1980). The role of ego-control and ego-resiliency in the organization of behavior. In W. A. Collins (Ed.), Minnesota symposia on child psychology (pp.39-101). Hillsdale, NJ; Erlbaum.
Bronfenbrenner, U. (1989). Ecological systems theory. In R. Vasta (Ed.), Annals of Child Development: Vol. 6 Six Theories of Child Development: Revised Formulations and Current Issues (pp. 187-249). Greenwich, CT: JAI Press.
Compas, B. E., Connor-Smith, J. K., Saltzman, H., Thomsen, A. H., & Wadsworth, M. E. (2001). Coping with stress during childhood and adolescence: Problems. Psychological Bulletin, 127(1), Jan 2001, 87-127
Farber, B. A. (1991). The Jossey-Bass education series. Crisis in education: Stress and burnout in the American teacher. San Francisco: Jossey-Bass.
Garmezy, N. (1983). Stressor in childhood. In N. Garmezy., & Rutter, M (Eds.), Stress, coping, and development in children (pp.170-198). New York; MacGraw-Hill.
González-Morales, M., Peiró, J. M., Rodríguez, I., and Bliese, P. D. (2012). Perceived collective burnout: A multilevel explanation of burnout. Anxiety, Stress, & Coping, 25, 43-61.
Harvey, J., & Delfabbro, P. H. (2004). Psychological resilience in disadvantaged youth: A critical overview. Australian Psychologist, 39(1), 3-13.
Howes, C., & Stewart, P. (1987). Child's play with adults, toys, and peers: An examination of family and child care influences. Developmental Psychology, 23, 423-430.
Kamtsios, S. (2012). Sources of stress and stages of change for stress management in school age children: Proposals for points of intervention. Scientific Journal of Pure and Applied Sciences, 1, 133-143.
Klohnen, E. C. (1996). Conceptual analysis and measurement of the construct of ego-resilienc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5), 1067-1079.
Maslach, C., & Jackson, S. E. (1981). Maslach Burnout Inventory Manual,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Maslach, C., & Jackson, S. E. (1986). The Maslach Burnout Inventory (2nd ed.).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Maslach, C., & Leiter, M. P. (1997). The truth about burnout: How organizations cause personal stress and what to do about it. San Francisco, Calif: Jossey-Bass.
Maslach, C., Schaufeli, W. B., & Leiter, M. P. (2001). Job burnout.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2, 397-422.
Masten, A. S. (2001). Ordinary magic: Resilience processes in development. American Psychologist, 56(3), 227-238
Nelson, S. E., & Dishion, T. J. (2004). From boys to men: Predicting adult adaptation from middle childhood sociometric status.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16, 441-459.
Palmer, P. (1997). Courage to teach: Exploring the inner landscape of a teacher's life. San Francisco: Jossey-Bass Publishers.
Pals, J. L. (1999). Identity consolidation in early adulthood: Relations with ego-resiliency, the context of marriage, and personality change. Journal of Personality, 67, 295-329
Preacher, K. J., Zhang, Z., & Zyphur, M. J. (2011). Alternative methods for assessing mediation in multilevel data: The advantages of multilevel SE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18, 161-182.
Preacher, K. J., Zyphur, M. J., & Zhang, Z. (2010). A general multilevel SEM framework for assessing multilevel mediation. Psychological Methods, 15, 209-233.
Rees, G., Andresen, S., & Bradshaw, J. R. (2016). Children's Views on Their Lives and Well-being in 16 Countries: A report on the Children's Worlds survey of children aged eight years old 2013-15. Research Report. Jacobs Foundation.
Rountree B. H. (1984). Psychological burnout in task groups. Journal of Health and Human Resources Administration 7, 235-248.
Rutter, M. (1987). Psychological resilience and protective mechanisms.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57, 316-331.
Salmela-Aro, K., Savolainen, H., & Holopainen, L. (2009). Depressive Symptoms and School Burnout During Adolescence: Evidence from Two Cross-lagged Longitudinal Studies. Journal of Youth Adolescence, 38, 1316-1327.
Schwab, R. L., Jackson, S. E., & Schuler, R. S. (1986). Educator burnout: Sources and consequences. Educational Research Quarterly, 10(3), 14-30.
Shin, H. J., Puig, A., Lee, J., Lee, J. H., & Lee, S. M. (2011). Cultural validation of the maslach burnout inventory for Korean students. Asian Pacific Education Review, 12(4), 633-639.
Siegel, D. J. (1999). The developing mind: How relationships and the brain interact to shape who we are. New York: Guilford Press.
Smeekens, S., Riksen-Walraven, J. M. A., & Van Bakel, H. J. A. (2007). Cortisol reactions in five-year-olds to parent-child interaction: The moderating role of ego-resiliency.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48(7), 649-656.
Steiner, K. D. (2017). A Qualitative analysis of primary school teachers' burnout patterns. The New Educational Review, 48(2), 179-189.
Swanson, J., Valiente, C., Lemery-Chalfant, K., & O'Brien, T. C. (2011). Predicting early adolescents' academic achievement, social competence, and physical health from parenting, ego resilience, and engagement coping. Journal of Early Adolescence, 31(4), 548-576.
Zettergren, P., Bergman, L. R., & Wängby, M. (2006). Girls’ stable peer status and their adulthood adjustment: A longitudinal study from age 10 to age 43.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30(4), 315-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