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한국심리학회지:학교

권호 목록

초등학생의 스트레스와 내재화문제의 관계에서 인지변인과 부정적 대처방략의 매개효과
한태희(고전초등학교) ; 홍상황(진주교육대학교 교육학과) pp.1-2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스트레스와 내재화문제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변인을 밝히고, 이러한 변인들에 의한 매개경로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전 연구들에서 스트레스와 내재화문제를 매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진 인지변인, 낮은 사회적 지지, 부정적 대처방략 변인과의 상관을 알아보고 단계적 회귀분석 하여, 그 결과를 근거로 여러 구조방정식모형을 설정하여 검증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초등학생 5~6학년에게 스트레스 질문지, 귀인양식, 지각된 자기유능감, 인지오류 및 내재화문제를 평가하기 위한 질문지를 실시하여 548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단계적 회귀분석 결과 스트레스, 인지오류와 낮은 자기유능감 및 소극적 대처는 내재화문제에 대해 49.5%의 설명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서, 인지변인과 소극적 대처변인을 매개변인으로 투입한 다양한 모형을 설정하여 그 적합도를 비교검증 하였다. 그 결과 소극적 대처와 인지변인은 스트레스와 내재화문제 간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작용을 하고 아동이 경험한 스트레스는 인지오류와 유능감지각 수준을 낮추며 그 결과로서 소극적 대처방략을 선택하게 되면 내재화문제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스트레스로 인하여 우울, 불안, 위축, 두려움, 신체화 증상 등과 같은 내재화 문제를 겪고 있는 초등학생에게 인지변인과 부정적 대처방략을 탐색하여 이를 교정해 주는 교육적 활동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variables that mediate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s stress and internalizing problems and find out the mediating pathways of theses variables. For these purposes the correlations between cognitive variables, social support, and coping strategy variables which is known to moderate or mediate between stress and internalizing problems were computed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Several structural equation model based on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hypothesized and tested. The 5th, 6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completed questionnaire of stress, attribution style, perceived self-competency, cognitive error, and behavior problems. 548 student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Results of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stress, cognitive error, and passive coping explained 49.5% variance of internalizing problems. Based on this result, models that assume cognitive variable and passive coping as the mediating variables were hypothesized and the indices for evaluating the fit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were compared. In results, negative cognitive variable and passive coping were the partial mediator in the relation between stress and internalizing problems and the stress children experience decreases cognitive error and the level of perceived competency. These results suggest when child complains internalizing problems such as, depression, anxiety, fear, somatic symptom, negative cognitive variable and coping strategy should be explored and educative actions that remedy the negative cognitive variable and coping strategy are needed.

집단 따돌림에 대한 동조성향과 심리적 특성과의 관계 연구
전주연(연세대학교 심리학과) ; 이은경(연세대학교 심리학과) ; 유나현(연세대학교 심리학과) ; 이기학(연세대학교 심리학과) pp.23-3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집단따돌림에 대한 동조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청소년들의 개인심리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 지역 총 204명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동조성, 생활스트레스,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및 도덕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도덕성이 집단따돌림에 대한 동조성향을 가장 잘 예측하는 것이 밝혀졌고 생활스트레스 중 학업스트레스가 유의미하게 집단따돌림에 대한 동조성향을 설명하는 변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은 집단따돌림에 대한 동조성향을 설명해주지 못했다. 이를 통해 집단따돌림에 대한 동조성향과 자아감은 관련이 크지 않음을 알 수 있었고 따라서 동조성향이 있는 학생들에 대한 개입이 자아감이 아닌 스트레스와 도덕성에 보다 중점을 두고 이루어져야 함을 논의하였다. 집단따돌림 현상에서 동조하는 학생들이 차지하는 비중을 고려할 때 향후 연구의 필요성이 제안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stress, self-efficacy, self-esteem, and moral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who show a high level of conformity. A survey containing questions about conformity, stress, self-efficacy, self-esteem, and morality was administered to a sample of 204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Gyung-gi Province area. The results showed that morality and academic stress were strong predictors of conformity in group bullying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On the contrary,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on self-efficacy and self-esteem. Based on the results, a further study should be investigated with a focus on stress and morality of the students who are more likely to conform with bullies since little relationship was found on self-characteristics.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conformity in group bullying, the needs for a future study are suggested.

가족의사소통, 합리적 진로의사결정, 진로결정 효능감의 관계모형 검증
박진채(전남대학교 교육학과) ; 홍경자(전남대학교 교육학과) pp.37-5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고등학교 학생이 지각한 가족의사소통과 합리적 진로의사결정 및 진로결정효능감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가족의사소통을 예언변인으로, 진로결정효능감을 결과변인으로, 그리고 합리적 진로의사결정을 매개변인으로 설정한 관계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자는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지역에 소재한 2개의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 410명과 3개의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 299명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계 고등학생 집단과 실업계 고등학생 집단의 측정변인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다변량분산분석을 실행하였다. 그리고 변인들간의 관계모형을 탐색하기 위해서 AMOS를 이용한 공변량구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계 고등학생들이 지각한 가족의사소통, 합리적 진로의사결정 및 진로결정 효능감 수준이 실업계 고등학생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체 집단의 경우 지각된 가족의사소통이 합리적 진로의사결정과 진로결정효능감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합리적 진로의사결정은 가족의사소통과 진로결정효능감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반계 고등학생 집단에서는 가족의사소통이 합리적 진로의사결정과 진로결정효능감에 정적인 직접 효과를 보였고, 합리적 진로의사결정은 지각된 가족의사소통과 진로결정효능감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실업계 고등학생 집단에서는 지각된 가족의사소통이 진로의사결정과 진로결정효능감에 직접적인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였고, 합리적 진로의사결정만이 진로결정효능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진로지도에 대한 시사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개진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high school students' perceived family communication, their rational career decision-making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 relational model was verified by setting high school students' perceived family communication as a predictor, their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s a criterion variable, and their rational career decision-making as a mediator. The subject were 709 high school students from two general high schools(N=410) and three industrial high schools(N=299) located in Gwang-ju city and Jeonnam Province.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scores in perceived family communication, rational career decision-making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dustrial high school students' scores. In perceived family communication, the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industrial highschool students in 5 subscales such as respect, genuineness, confrontation, self-disclosure, and understanding and concreteness. I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earn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industrial high school students in two subscales such as information gathering and planning, but not in self-evaluation, goal selection and problem solving. Second, in both groups, their perceived family communication affected positively on their rational career decision-making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However, their rational career decision-making had a partial role as a mediator. Third, perceived family communication affected positively on their rational career decision-making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 the group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but not in the group of industrial high school students. In the latter, only rational career decision-making affected positively on their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Based on the results, some suggestions were made for future research.

중, 고등학교 교사가 지각한 학교상담 실태와 학교심리학 서비스의 필요성
신현숙(전남대학교 교육학과) ; 김인아(전남대학교 교육학과) ; 류정희(전남대학교 교육학과) pp.53-77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학교 장면에서 심리서비스를 제공하는 학교심리학, 학교상담, 학교사회사업, 학교정신보건사업의 특징을 비교·고찰하고, 현재 우리나라 중·고등학교에서 실시되고 있는 학생상담의 실태를 파악하고, 학교심리학 서비스의 필요성에 대한 중·고등학교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서울특별시, 광주광역시, 경기도, 전라남도에 있는 중·고등학교 교사 250명을 대상으로 지필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학업/학교부적응, 대인관계, 비행, 가족, 진로, 성, 정신건강, 생활습관, 성격의 아홉 가지 학생문제들을 상담하는 학교인력, 학생상담공간, 학생상담활동, 지역사회 전문기관과의 연계 등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또한 학교심리학 서비스를 평가, 개입/예방, 자문, 프로그램 개발/연구의 네 영역으로 구분하고, 이들 영역에 해당하는 17가지 학교심리학 서비스의 필요성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자료분석은 빈도분석과 t-검정으로 실시되었다. 그 결과, 현재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학생상담의 활동은 주로 담임교사가 전담하고 있으며, 학교 외부 지역사회 전문 기관이나 전문 인력과의 연계 활동은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 교사는 학생상담활동들 가운데 주로 학생개인상담, 진로지도, 부모를 대상으로 한 개별조언을 많이 하였다. 학교심리학 서비스의 필요성에 대한 교사의 인식 수준은 높았으며, 특히 비행문제, 진로문제, 정서문제, 예방교육, 학교부적응 문제에 대한 개입 활동의 요구가 높았다. 우리나라 학교 장면에서 심리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학교상담, 학교사회사업, 학교정신보건의 서비스 전달모형과 전문가 역할에 비추어 본 연구의 결과를 논의하였고, 향후 우리나라 학교 체계 안에 학교심리학 서비스를 도입할 때 고려해야 할 점들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ree-fold. Firs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view the characteristics of school psychology with reference to the models of school counseling, school social work, and school-based mental health services. Seco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current status of school counseling. Third, it was to examine teachers' perceptions of the necessity for school psychological services. Paper-pencil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250 junior and senior high school teachers in Seoul, Gwangju, Kyonggi-Do, and Chollanam-Do. Teachers were asked who was in charge of counseling each of the 9 student problems (i.e., learning/school maladjustment, interpersonal relations, delinquency, family, career, sex, mental health, life habits, personality) in their school, and how frequently they provided 10 school counseling services(5 direct, 5 indirect). In addition, they were asked whether each of the 17 school psychological services in the 4 domains (i.e., assesment, intervention/prevention, consultation, program development/research) would be necessary for students' adjustment and healthy development. Th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es and t-tests. The results showed that, in more than 70% of the participating schools, classroom teachers are in charge of all of the 9 student problems, and that, despite teachers' need, school-community links are insufficient. Individual counseling, group guidance, and consultation with parents on an individual basis were found to be teachers' major counseling activities. Teachers considered all of the 17 school psychological services to be necessary. In particular, the level of perceived necessity for interventions with delinquency, career problems, emotional problems and school maladjustment problems and for prevention services was higher than that of other school psychological services. In conclusion,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the professional identity of school psychology and clarifying the roles of school psychologists in Korea was discussed with reference to service delivery models in school counseling, school social work, and school-based mental health services.

학교-기반의 사회적 기술 훈련 프로그램이 수줍음 아동의 사회적 기술, 불안, 우울,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이현숙(한국청소년상담원) ; 정현희(계명대학교) pp.79-100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학교-기반의 사회적 기술 훈련 프로그램이 수줍음 아동의 사회적 기술, 불안, 우울,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먼저 LeCroy가 초등학생을 위해 개발한 사회적 기술 훈련 프로그램을 번안하여 우리나라 아동들의 특성에 맞게 재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은 대구시 소재의 'I'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5, 6학년 아동들 13명을 대상으로 매 회기 60분간 주 2회기씩 4주에 걸쳐 실시되었다. 연구에 참가한 아동들은 수줍음척도 검사에서 높은 수줍음에 속하는 43점 이상을 받은 128명 가운데서 선발되었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실시 전과 실시 후, 그리고 프로그램 종결로부터 2개월 후에 사회적 기술, 불안, 우울, 자아존중감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의 처리는 집단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한 공변량분석(ANCOVA)과 집단내의 시기별 변화를 알아보기 위한 반복측정 t검증(paired t-test)이 적용되었다. 분석 결과, 본 연구에서 실시한 학교-기반의 사회적 기술 훈련 프로그램은 수줍음 아동의 사회적 기술의 증진, 불안과 우울의 감소, 자아존중감의 증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효과도 8주 후까지 비교적 안정적으로 지속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 on the social skills, anxiety, depression and self-esteem of shy children. For this purpose, the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 developed by LeCory and modified by the present investigator was used.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3 elementary school students attending 'I'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Daegu. These children were selected among 128 children who obtained above 43 points on the RCBS scale. Their grade ranged from 5th to 6th.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e two conditions: social skills training group condition and control group condition. The program was administered by the present investigator twice a week for four weeks. The length of each session was 60 minutes. For effective administration of the program, leader's manual and children's workbook were develop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program, participants were asked to composed the questionnaire before, after, and 2 months after the program.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4 scale measuring social skills, anxiety, depression and self-esteem. The effects of the program were analyzed by paired t-test and ANCOVA. Results showed that the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 had significant effects on social skills, anxiety, depression and self-esteem of shy children, and that the effects were maintained upto 2 month after the program.

한국심리학회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