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한국심리학회지:학교

메뉴

권호 목록

아동용 교우관계문제검사의 개발과 타당화
정혜원(진주 남강초등학교) ; 김종미(진주교육대학교) ; 홍상황(진주교육대학교) pp.1-25 https://doi.org/10.16983/kjsp.2008.5.1.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교 4~6학년 학생들이 또래나 교우 관계에서 경험하는 여러 가지 문제를 종합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교우관계문제검사를 개발하고 그 신뢰도와 타당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형 대인관계문제검사 원형척도(KIIP-C)와 기존의 아동의 또래관계를 다룬 여러 검사문항과 본 연구에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또래관계에 생기는 어려움이나 문제를 조사한 결과를 근거로 예비문항을 작성하여, 초등학생(N=220)에게 실시한 후 최종 64문항을 선정하였다. 최종 선정한 문항을 초등학교 4~6학년 학생(N=1,046)에게 실시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8개 하위척도의 내적 합치도는 .70~.94의 범위(중앙치는 .75), 반분신뢰도는 .67~.83의 범위(중앙치는 .75),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69~.88의 범위(중앙치는 .81)이었다. 그리고 8척도점수의 상호상관을 구하고 개인 편차점수를 요인분석하여 원형속성을 확인하고 여러 타당도지표와의 상관을 구한 결과 수렴타당도와 변별타당도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with the aims of developing a comprehensive inventory of peer relation problems, which is based on the Korean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s Circumplex scales (KlIP-C). It also aims to examin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inventory, and provide a preliminary norms. For the current study, inventory items were culled from the following sources: the Korean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s Circumplex scales (KlIP-C), various current scales dealing with peer relations of children, and a survey of children's peer relation problems. The preliminary items for each scale were administered to 220 fourth through sixth graders. The resulting skewness of distribution, kurtosis, mean and standard deviation, item-total correlation, internal consistency, and meanings of the items were comprehensively considered in selecting the final 64 items. In order to check on reliability, internal consistency, convergence and discrimination reliability of the final items and scale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046 fourth through sixth graders currently attending four elementary schools. The study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Internal consistency of the inventory of peer relation problems showed the range between .70-.94 (median value of .75), split-half reliability between .67-.83 (median value of .75), and test-retest reliability between .69-.88 (median value of .81). Inter-correlation of 8 scale scores and factor analysis results of individual ipsative scores showed that the circumplex property of inventory of peer relation problems is appropriate. Regarding correlations between various existing indices and scales related to peer relation problems, both convergence reliability and discrimination reliability were found to be fair. When the scale scores for the inventory of peer relation problems compared according to the factors of gender and grade, the primary effects of gender and grade were statistically meaningful whereas effects of interaction between gender and grade were not. This study can be considered meaningful in that it constructed an inventory for a comprehensive evaluation of peer relation problems specific for children(from fourth to sixth grade) and provided preliminary norms.

중학생 학교적응 척도의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한 타당화 연구
이규미(아주대학교) ; 김명식(전주대학교) pp.27-40 https://doi.org/10.16983/kjsp.2008.5.1.2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이규미(2005)가 중학생의 학교적응 구성개념에 관한 연구를 통해 추출해낸 중학생 학교적응 척도를 남녀 중학생 634명(남: 479명, 여: 15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본 중학생 학교적응 척도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구성타당도가 검증되었고, 준거점수와의 상관분석 결과 준거관련타당도가 검증되었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모형의 적합도가 검증되었고(CFI=.993, NNFI=.985), 모형의 간명성이 보통 수준으로 나타나(RMSEA=.085) 본 중학생 학교적응 척도의 구성타당도가 최종적으로 검증되었다. 연구 결과 중학생 학교적응 척도가 학교공부(학업유능감, 학업가치), 학교친구(긍정적인 친구관계, 친구와의 상호협조성), 학교교사(교사에 대한 호감, 교사에 대한 친밀감), 학교생활(질서와 규칙준수, 학교생활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등 4가지 하위 영역으로 구성된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학교적응 척도는 우울척도(CES-D)와 생활스트레스 척도와 의미 있는 부적 상관을 보여 준거관련 타당도가 확인되었다. 또한 학교적응 척도의 하위영역별 신뢰도(내적 합치도)는 학교공부 .83, 학교친구 .87, 학교교사 .90, 학교생활 .85, 전체문항 .93로 ‘보통’ 이상의 신뢰도가 검증되었다. 본 척도의 활용과 제한점에 대해 논의 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is to testify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school adjustment scale (Lee, 2005) for 634 middle school students (boy: 479, girl: 155) and criterion-related validity by simple correlation analysis of school adjustment scale with life-stress scale and depression scale (CES-D).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confirmed the fittness of the factor structure of the school adjustment scale for middle school students as ‘medicore fit’ (CFI=.993, NNFI=.985, RMSEA=.085). It was testified for its concept to be composed of 4 dimensions, schoolwork(study competence and value), school friends (friend relationship and cooperation), school teacher(teacher preference and intimacy), and school life(order & rule compliance and positive attitude to school life). Second, it was correlated significantly negatively with life stress scale and depression scale (CES-D), discriminant validity supported. The reliablility (Cronbach α) of schoolwork (.83), school friends (.87), school teacher (.90), school life (.85), and total items (.93) in school adjustment scale was moderate or goo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부모애착과 자아개념, 자기효능감 및 친구관계 간의 모형검증
박원모(한국학교상담연구소) ; 천성문(경성대학교) pp.41-59 https://doi.org/10.16983/kjsp.2008.5.1.4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애착과 자아개념, 자기효능감 및 친구관계 간의 관계를 규명하려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하여 울산광역시 4개구에 소재한 초등학교 6학년 523명을 대상으로 부모에 대한 애착, 자아개념, 자기효능감, 친구관계 질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애착은 자아개념과 정적인 상관을 나타내었다. 둘째, 부모애착은 자기효능감과 정적인 상관을 나타내었다. 셋째, 부애착은 친구관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자기효능감과 자아개념을 매개하여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모애착의 경우에는 친구관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고 자기효능감과 자아개념을 매개하여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아버지와의 애착관계 역시 어머니 못지않게 중요하며, 특히 친구관계에서는 아버지와의 애착이 어머니와의 애착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로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기술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test the role of self-concept and self-efficacy as mediators in the parent attachment and peer relationship among the 6th grade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And then this study investigates structural model(which is divided into two: attachment to father and attachment to mother) and describes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different variables which affect peer relationship. This study tests the role of self-concept and self-efficacy as mediators in parent attachment and peer relationship with 294 boys and 229 girls who are in the 6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The results of this structural equation models are following: First Self-efficacy work as mediators between attachment to father and peer relationship, and between attachment to mother and peer relationship. Second Self-concept work as mediators between attachment to father and peer relationship, but self-concept doesn't work as mediators between attachment to father and peer relationship.

사회기술 및 또래관계가 또래 괴롭힘에 미치는 영향 -자기존중감과 문제행동에 대한 자기평가를 매개변인으로-
이경아(연세대학교) pp.61-80 https://doi.org/10.16983/kjsp.2008.5.1.6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기술 및 또래관계의 질이 또래 괴롭힘에 미치는 영향을 자기평가가 매개하는지를 이론적 모형 검증을 통해 확인하려는 것이었다. 서울 및 경기지역의 남녀 중학생 960명을 대상으로, 또래 괴롭힘, 사회기술, 또래관계의 질, 또래로부터의 수용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또한 자기존중감 및 문제행동에 대한 자기평가를 자기평가변인으로 정의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또래로부터의 수용여부는 또래 보고를 통해 측정하였으며, 그 외 척도들은 모두 자기 보고를 통해 측정하였다. 자기평가가 사회기술 및 또래관계의 질과 또래 괴롭힘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확인하고자 전체집단에 대해 자기평가의 완전매개 모형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사회기술로부터 자기평가에 이르는 경로와 또래관계 질로부터 자기평가에 이르는 경로 및 자기평가로부터 또래 괴롭힘에 이르는 모든 경로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체집단에 대한 자기평가의 완전매개모형은 적합도 기준에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χ2(df=39, N=960)=242.125, p=.000; GFI=.959; NFI=.952; TLI=.943; CFI=.959; RMSEA=.074). 본 연구에서 가정한 자기평가의 매개모형은 청소년들의 또래 괴롭힘 현상을 이해하는데 경제적이고, 양호한 모형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의 시사점과 제한점 그리고 후속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valu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kill, the quality of peer relationship and peer victimization. 960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y were asked to complete the questionnaire about peer victimization, social skill, the quality of peer relationship, peer acceptance, self-evaluation which means self-esteem and self evaluation of problem behaviors. .Data was obtained in the form of self-reports, except the peer acceptance scale collected from peer nomination process. Data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ethod. The results showed, as predicted, the pathway from social skill, the quality of peer relationship via self-evaluation to peer victimization showed significantly good model fit(χ2(df=39, N=960)=242.125, p=.000; GFI=.959; NFI=.952; TLI=.943; CFI=.959; RMSEA=.074).. Complete mediating model of self-evaluation is parsimonious and good model in understanding adolescents peer victimization.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with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진로선택 변인에 기초한 군집유형 간 비교 연구
유나현(연세대학교) ; 이기학(연세대학교) pp.81-95 https://doi.org/10.16983/kjsp.2008.5.1.8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진로선택 변인들이 어떤 양상을 띠며 존재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진로결정에 도움을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대학생을 대상으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포부, 진로장애, 직업가치로 구성된 설문을 실시하고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평균 집단’, ‘미발달 집단’, ‘내적몰입 집단’의 세 개의 군집이 최종적으로 도출되었다. 평균집단의 경우 진로선택 관련변인들의 점수가 모두 평균 수준으로 안정적으로 나타났고 미발달 집단은 자기 이해가 부족한 것으로 해석되었다. 내적몰입 집단은 장애 지각 수준이 낮은 특성을 지닌 것으로 보였다. 군집의 분포 양상은 성별과 학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각 군집의 특성에 대한 해석과 함께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examined cluster types of career related variables to understand typology of career choice process among college students. Participants were 582 undergraduate students in South Korea and they completed a packet of questionnaires on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career aspiration, career barriers, and work value. After cluster analysis, three clusters were derived; they were named as mean group, undeveloped group, and internal oriented group. Based on these findings,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한국심리학회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