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The study was designed to develop and examine the effects of group coaching program to overcome academic procrastination based on the transtheoretical model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e program consisted of eight processes of change including the consciousness-raising, emotional arousal, self-reevaluation, commitment, reward, countering, environment control, helping relationships. and confidence enhancement. The program consisted of a total of eight sessions including 90 minutes per session and the final program was completed after a preliminary experiment on 19 middle school students.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program was implemented to 54 middle school students who were assigned 16 for the experiment group, 16 for the comparison group, and 22 for the control group. While the experiment group participated in the group coaching program based on the transtheoretical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the comparison group participated in the time management program. The control group did not participate in any program. The experiment, comparison, and control group were tested in pre, post, and follow-up(1 month, 3 months) in order to decisional balance of academic procrastination control, self-efficacy of academic procrastination control, stages of change in academic procrastination control, academic procrastin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e program effect analysis was conducted on 41 individuals, 13 in the experiment group, 13 in the comparison group and 15 in the control group, except for 13 who scored low academic procrastination in the pre-test. One-way ANOVA analysis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homogeneity of the three groups, and then mixed ANOVA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interaction between time interval and group.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time interval and group was significant in cons recognition of academic procrastination control, self-efficacy of academic procrastination control, stages of change in academic procrastination control, academic procrastination. Thus, the group coaching program to overcome academic procrastination based on the transtheoretical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has been shown to be effective in modifying overcoming academic procrastin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Also, it was confirmed that the coaching effectiveness was maintain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강보은, 김정섭 (2012). 학습전략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기조절학습과 시간 관리에 미치는 효과. 사고개발, 8(2), 1-21.
강은비 (2013). 성격 요인과 학업지연 간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조절효과: 성실성과 신경증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공정현, 하영미 (2013). 금연 변화단계를 적용한 전화 상담과 문자메시지 제공 프로그램이 심근경색증 외래환자의 금연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과학회, 43(4), 557-567.
교육부 (2018). 자유학기제. http://www.ggomggi. go.kr에서 2017. 12. 15 자료 얻음. go.kr/ page/new/notice/introduce/page_new
김대현, 김현주 (2003). 입학초기 중학생의 삶. 한국교육과정학회, 21(4), 1-24.
김동원 (2008). 중학생을 위한 학업상담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학업스트레스와 학업동기를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김미한 (2006). 재가 여성 노인의 운동 행위 변화에 적용한 범이론모형 구성 요소간의 관계.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김보현, 김택호 (2014). 통합변화모델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흡여청소년의 금연행위에 미치는 영향. 미술치료연구, 21(3), 541-564.
김상희, 류미경, 천성문, 전은주 (2009). 미룸예방 집단상담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자기조절학습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인문학논총, 14(1), 295-316.
김선호 (2011). 고혈압 노인을 위한 범이론모형 기반의 운동행위강화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김수란 (2015). 중학생 대상 학업조력활동을 위한 요구분석. 교육심리연구, 29(4), 795- 816.
김순옥 (2011). 범이론모형을 적용한 고혈압환자 약물순응 중재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김순용, 김소인, 전영자, 이평숙, 이숙자, 박은숙, 장성옥 (2000). 한국노인의 운동행위 변화단계의 예측모형 구축: 범이론적 모델을 기반으로. 한국간호과학지, 30(2), 366 -379.
김아영 (2008). 한국 청소년의 학업동기 발달.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4(1), 111-134.
김영우, 김종두 (2016). 자유학기제 시행에 따른 중학생 진로교육의 효과와 문제점. 한국엔터네인먼트산업학회지, 10(6), 313-321.
김윤희 (2007). 범이론적 모형을 적용한 보건소 금연상담프로그램의 효과.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김은영 (2007). 초․중․고등학생의 자기결정 동기와 자기조절학습간의 관계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은주 (2011). 기능적 완벽성 촉진 프로그램이 습관적 지연행동과 자기결정 행동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은지 (2012). 시간관리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학업지연행동과 의지통제에 미치는 효과.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정희 (2000). 습관적 지연 극복을 위한 집단훈련의 효과검증.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태성, 김완수 (2008). 운동 행위 변화단계별 중재 프로그램이 비만 청소년의 비만도, 혈액성분, 건강 체력,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인문과학연구, 32, 41-57.
도은영 (2004). 범이론과 여가모형을 적용한 절주프로그램이 문제음주행위와 인지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명혜원, 이상민, 양나연, 이지혜 (2016).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학업지연행동의 관계에서 도움요청의 조절효과 검증: 중학생을 대상으로. 청소년상담연구, 24(2), 201-219.
박영민 (2011). 자기결정성 학습동기가 자기주도적 학습과 학업 꾸물거림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박용휘 (2003). 초등학교 고학년용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진단척도의 타당화. 한국교육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박재현 (2001). 범이론적 변화모형의 타당도.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박재현, 강상조 (2001). 의사결정균형 검사에 의한 운동행동변화단계 평가.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3(2), 1-12.
박정영 (2010). 효과적인 그룹코칭 프로세스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코칭학회: 코칭연구, 3(1). 41-64.
박혜성 (2016). 동기강화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직장인들의 지연행동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배병훈 (2007). 자기 결정성과 학업 꾸물거림이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다변량 잠재 성장모형을 이용한 종단분석.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배병훈, 신희천 (2009). 자기결정성과 학업 꾸물거림이 학업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한 종단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1(3), 747-764.
백지은, 이승연 (2016).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중학생 자녀의 학업지연행동의 관계에서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실패공포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13(1), 99-122.
서남순 (2003). 변화단계별 운동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신체적 기능과 심리적 상태에 미치는 효과: 범이론적 모델 적용.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서은희 (2006). 학업지연행동 극복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송경자 (2012). 의지조절 프로그램이 학업지연행동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송미순, 김선호 (2011). 범이론모형 기반의 운동행위강화 프로그램이 고혈압 노인의 혈압 및 신체활동량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1(12), 364-377.
신명희, 박승호, 서은희 (2005). 자기조절학습과 지연행동과의 관계. 교육학연구, 43(4). 277-292.
신범철, 박재현 (2006). 중학생의 운동행동 변화단계와 의사결정균형과의 관계. 한국스포츠리서치, 17(2), 583-592.
오미향, 천성문 (1994).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요인 및 증상 분석과 그 감소를 위한 명상훈련의 효과. 인간이해, 15, 63-95.
윤연기, 김판희 (2016). 중학교 전환기 학습부진학생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 비교. 사고개발, 12(1), 69-86.
은혜경 (1999). 대학생 미루기 감소를 위한 인지-행동적 집단 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계명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이선영 (2016). 학업지연행동의 개인적, 환경적, 동기적 선행요인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이윤미 (2004). 중년여성의 운동행동변화단계에 따른 변화과정, 의사결정균형 및 자기효능감. 대한간호학회지, 34(2), 362-371.
이정민, 정혜원 (2017). 중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 변화궤적과 방과후학교 참여의 동시효과 및 지연효과 연구. 교육학연구, 55(1), 185-209.
이평숙, 장성옥 (2001a). 노인의 운동 의사결정 균형성 측정 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정신간호학회지, 10(1), 43-52.
이평숙, 장성옥 (2001b). 운동행위변화단계에 근거한 노인 운동 동기화 중재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연구. 대한간호학회자, 31(5), 818-833.
이향종 (2017). 중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부정적 자동적 사고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13), 295- 314.
이희경 (2005). 코칭입문. 서울: 교보문고
장성옥 (2004). 흡연유혹의 개념 개발. 대한간호학회지, 34(1), 160-171.
장성옥, 이평숙, 박은영 (2002). 노인의 운동실천단계와 관련변인과의 관계연구. 한국간호과학지, 32(5), 609-623.
장정임 (2017). 통합 상담모형에 기반한 대학생 도박중독 예방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제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조한익, 권혜연 (2011). 중학생을 위한 웹기반 학습상담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연구. 상담학연구, 12(5), 1857-1971.
최윤정 (2010). 초등학생용 학업적 꾸물거림 극복 프로그램 개발.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최준영 (2008). 고등학생 보충․야간자율학습과 학업스트레스, 주관적 만족감, 가출 및 자살충동간의 관계. 사회연구, 211-232.
탁진국, 임그린, 정재희 (2014). 행복증진을 위한 긍정심리기반 코칭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3(1), 139-166.
하영미, 유형근, 조용선 (2011). 초등학교 고학년의 학업지연행동 개선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교육교육, 27(3), 113-132.
하정화, 손주영 (2015). 자유학기제 시행에 따른 청소년체험활동 활성화방안. 부산여성가족개발원 연구보고서, 2015-05, 10-207.
함경애, 송부옥, 노진숙, 천성문 (2011). 남자 중학생을 위한 학업지연행동 극복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상담학연구, 12(3), 861- 879.
허은영, 유현실 (2012). 서울시 중학생의 학습부진에 대한 방과후 학습활동 및 심리적 변인의 영향. 학습장애연구, 9(3), 37-52.
현주, 차정은, 김태은 (2006). 학교급별 목표지향성이 자기효능감과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교육심리연구, 20(2), 443-465.
Abdullah, F., & Su, T. T. (2013). Applying the transtheoretical model to evaluate the effect of a call-recall program in enhancing pap smear practice: a cluster randomized trial. Preventive Medicine, 57, S84-S86.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191-215.
Bunton, R., Baldwin, S., Flynn, D., & Whitelaw, S. (2000). The 'stages of change' model in health promotion: science and ideology. Critical Public Health, 10(1), 55-70.
Fuller, C., & Taylor, P. (2008). A toolkit of motivational skills: Encouraging and supporting change in individuals. (2nd eds). John Wiley & Sons Ltd. 동기강화기술입문 2판. (신성만, 이상훈, 이아람 역, 2013). 서울: 시그마프레스.
Huang, C. M., Wu, H. L., Huang, S. H., Chien, L. Y., & Guo, J. L. (2013). Transtheoretical model-based passive smoking prevention programme among pregnant women and mothers of young children. European Journal of Public Health, 23(5), 777-782.
Karintrakul, S., & Angkatavanich, J. (2017).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an individualized nutrition counseling program matched with a transtheoretical model for overweight and obese females in Thailand.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11(4), 319-326
Lee, E (2005). The relationship of motivation and flow experience to academic procrastination in university students. The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166(1), 5-14.
Lundahl. B., & Burke. B. L. (2009). The effectiveness and applicability motivational interviewing: a practice-friendly review of four meta analyses.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65(11), 1232-1245.
Marcus, B. H., Selby, V. C., Niaura, R. S., & Rossi, J. S (1992). Self-efficacy and the stages of exercise behavior change. Research Quarterly for Exercise and Sport, 63(1), 60-66.
Miller, W. R., & Rollnick, S. (2002). 동기강화상담: 변화 준비시키기. (신성만, 권정옥, 손명자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Oxford learner's dictionary. (1993). Oxford University Press.
Prochaska, J. O., & DiClemente, C. C. (1982). Transteoretical therapy: toward a more integrative model of change. Psychotherapy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19(3), 276-288.
Prochaska, J. O., & DiClemente, C. C. (1983). Stages and processes of self-change of smoking: toward an integrative model of change.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1(3), 390-395.
Prochaska, J. O., DiClemente, C. C., & Norcross, J. C. (1992). In search of how people change: applications to addictive behaviors. American Psychologist, 47(9), 1102-1114.
Prochaska, J. O., Norcross, J. C., & DiClemente, C. C. (1994). Changing for good. New York: Morrow.
Rolo, Crisina & Gould, Daniel (2007). An Intervention for fostering hope. International Coaching Psychology Review. 2(1). 44-61.
Rothblum, E. D., Solomon, L. J., & Murakami, J. (1986). Affective, cognitive, and behavioral differences between high and low procrastinator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3, 387-394.
Scher, S. J., & Osterman, N. M. (2002). Procrastination, conscientiousness, anxiety, and goals: exploring the measurement and correlates of procrastination among school-aged children. Psychology in the Schools, 39(4), 385-398.
Senecal, C., Lavoie, K., & Koestner, R. (1997). Trait and situational factors in procrastination: an interactional model. Journal of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12(4), 889-903.
Solomon, L. J., & Murakami, J. (1986). Affective, cognitive, and behavioral differences between high and low procrastinator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3, 38Rothblum, 7-394.
Solomon, L. J., & Rothblum, E. D. (1984). Academic procrastination: frequency and cognitive-bebavioral correlate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1(4), 503-509.
Steel, P. (2007). The nature of procrastination: a meta-analytic and theoretical review of quintessential self-regulatory failure. Psychological bulletin, 133(1), 65-94.
Tice, D. M., & Baumeister, R. F. (1997). Longitudinal study of procrastination, performance, stress, and health: the costs and benefits of dawdling. Psychological Science, 8(6), 454-458.
Van Eerde, W. (2003). A meta-analytically derived nomological network of procrastination.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5, 1401- 1418.
Velicer, W. F., DiClimente, C. C., Rossi, J. S., & Prochaska, J. O. (1990). Relapse situations and self-efficacy: an integrative model. Addictive Behavior, 15, 271-2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