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The Role of Gender difference and Interpersonal Problem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 Narcissism and on Middle School Students' SNS Addiction Tendency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path of internal narcissism toward SNS addiction tendency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study intended to test the hypothesis that internal narcissism personality would lead to the SNS addiction tendency through interpersonal problems and that the internal narcissism effect on the interpersonal problems can depend on Gender difference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40 middle school students (95 male and 145 female students) in Gwangju area. The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SPSS Macro PROCESS Model were us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interpersonal problems mediation efffect between inner narcissism and SNS addiction tendency of middle school students.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Gender difference moderatiing effect between internal narcissism, and interpersonal problems relationship. according to gender differenc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gender difference and interpersonal problems between internal narcissism personality and SNS addiction tendency relationship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Recently, social networking has become a serious problem in our society and it shows the highest rate of addiction in early middle school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factors of inner narcissism and interpersonal problems on the SNS addiction tendency, focusing on the gender differences in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provide basic data to prevent adolescent SNS addiction problems have.

keywords
gender difference, interpersonal problems, internal narcissism, SNS addiction tendency, moderated mediation effect
Submission Date
2019-10-31
Revised Date
2020-04-27
Accepted Date
2020-04-28

Reference

1.

강은정, 장성숙 (2007). 자기애와 내현적 대인반은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9(4) 913-932.

2.

강선희, 정남운 (2002). 내현적 자기애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4(4), 705-723.

3.

강지혜 (2014). 남녀 중학생의 대인불안과 자기제시동기가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보연 (2012). 고등학생의 인터넷 게임 중독 및 스마트폰 중독과 수면부족 및 스트레스와의 관계. 삼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김선미, 서경현 (2015). 내현적 자기애와 SNS 중독경향성 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0(3), 587-603.

6.

김영숙 (2017). 청소년의 또래애착과 SNS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원희 (2006). 청소년들의 인터넷 중독이 대인불안에 미치는 영향분석.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대한민국 정책브리핑(2019.2.25.)http://www.korea.kr/news/pressReleaseView.

9.

류경희, 홍혜영 (2014). 중학생의 외현적, 내현적 자기애와 스마트폰 중독간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21(8), 157-183.

10.

박승혜, 이승연(2019) 성별에 따른 대학생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성향, 사회불안,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 대인관계 지향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32(1), 105-126.

11.

박웅기 (2013). 청소년의 SNS 중독에 관한 탐색적 연구. 언론과학연구, 13(4), 305-342.

12.

박현주 (2018)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사회적 자기효능감, 성인애착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변시영, 조한익 (2011). 정서경혐과 정서표현성 및 이용동기가 인터넷 중독․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인간이해 32(1) 119- 1330.

14.

백승혜, 현명호 (2008). 내현적, 외현적 자기애성향자의 적대감, 분노경험수준, 및 분노표현양식.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7(4), 1001-1017.

15.

서수균, 권석만 (2002). 자존감 및 자기애 성향과 공격성의 관계.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1(4), 809-826.

16.

서원진. 김미리혜, 김정호, 조인성 (2015). 외로움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0(4), 497-512.

17.

오윤경 (2012). SNS 중독경향성과 외로움, 우울, 대인관계, 사회적지지의 관계.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유현욱, 홍혜영 (2015). 중학생의 또래애착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자존감과 자존감 안정성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7(4), 977-999.

19.

에듀동아 (2018. 3. 20)http://edu.donga.com/?p=article&ps=view&at_no=20180320102748376058

20.

이계정, 정남운 (2007). 내현적 자기애 성격성향과 인터넷 보상경험이 인터넷 과다사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9(1), 55-69.

21.

이영은, 박현주, 허창구 (2016). 내현적·외현적 자기애와 SNS 중독경향성: 대인관계문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및성격, 30(1), 63-80.

22.

이은지 (2015).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SNS중독경향성과의 관계: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 검증. 순천향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이정화, 김호영, 강정숙 (2017). 외로움이 SNS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성별에 따른 대인관계 지향성의 조절효과. 한국임상심리학회지, 36(2), 154-164.

24.

이지영 (2015).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정서조절곤란 및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의 매개효과.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이인숙 (2002). 대학생의 자기애 성향과 대인불안 및 방어성간의 관계.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이창식 (2018). 중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또래애착 및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장혜진 (2015). 대학생이 지각하는 내․외향성과 대인관계만족도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인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정소영, 김종남 (2014). 개관논문: 대학생용 SNS 중독경향성 척도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9(1), 147-166.

29.

조성현, 서경현 (2013). SNS 중독경향성 관련 요인 탐색: 내현적 자기애, 자기제시 동기 및 소외감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8(1), 239-250

30.

조준희 (2017). 내현적 자기애가 대학생의 SNS 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성별에 따른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의 매개효과.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중앙일보 (2018. 5. 12)https://news.joins.com/article/22616312

32.

조다현 (2013). SNS 중독경향성과 병리적 자기애, 정서 표현성, 친구 지향성,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관계: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진하영, 권은정, 권지은, 황순택 (2010). 성격장애성향의 대인관계 문제: 자기-타인지각 비교. 인간이해, 31(2), 211-230.

34.

홍상황, 박은영, 김영환, 권정혜, 조용래, & 진유경 (2002). 한국형 대인관계문제검사 원형척도의 단축형(KIIP-SC) 구성.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1(4), 923-940.

35.

최현석, 하정철 (2011). 대학생의 인터넷중독 유발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2(3) 437-448.

36.

홍서윤 (2014).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 성향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21(12), 73-95.

37.

Akthtar, S., and Thomson, J. A. (1982). Overview: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39, 12-20.

38.

Buffardi, L. E., & Campbell, W. K. (2008). Narcissism and social networking web site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34(10), 1303-1314.

39.

Buist, K. L., Deković, M., Meeus, W., & van Aken, M. A. (2004). The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early adolescent attachment and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ur. Journal of adolescence, 27(3), 251-266.

40.

Hendin, H. M., & Cheek, J. M. (1997). Assessing hypersensitive narcissism: A reexamination of Murray's Narcism Scale.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31(4), 588-599.

41.

Kim, H. K., & Davis, K. E. (2009). Toward a comprehensive theory of problematic Internet use: Evaluating the role of self-esteem, anxiety, flow, and the self-rated importance of Internet activitie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5(2), 490-500.

42.

Kuss, D. J., & Griffiths, M. D. (2011). Online social networking and addiction-a review of the psychological literature.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8(9), 3528-3552.

43.

Lee-Won, R. J., Herzog, L., & Park, S. G. (2015). Hooked on Facebook: the role of social anxiety and need for social assurance in problematic use of Facebook. Cyberpsychology, Behavior, and Social Networking, 18(10), 567-574.

44.

Leary, T. (1957). Interpersonal diagnosis of personality; a functional theory and methodology for personality evaluation. New York: Ronald Press.

45.

Mehdizadeh, S. (2010). Self-presentation 2.0: Narcissism and self-esteem on Facebook. Cyberpsychology, behavior, and social networking, 13(4), 357-364.

46.

Petrie, H., & Gunn, D. (1998). Internet" addiction": The effects of sex, age, depression, and introversion. In British psychological society London conference (Vol. 15, p. 1998).

47.

Horowitz, L. M. (1996). The study of interpersonal problems: A Leary legacy. Journal of Personality Assesment, 66(2), 283-300

48.

Horney (2006). 신경증적 갈등에 대한 카렌 호나이의 정신분석. [OurInner Conflicts]. (이희경, 윤인, 이해라, 조한익 역). 서울: 한국 심리치료 연구소.(원전은 1983에 출판)

49.

Hayes, F. A. (2013).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 New York, NY: The Guilford Press

50.

Preacher, K. J. Rucker, D., & Hayes, F. A.(2007). Addressing Moderated Mediation Hypotheses: Theory, Methods, and Prescriptions. Multivariate Behavioral Research, 42(1).

51.

Finch, J. F., & West, S. G. (1997) The Investigation of Personality Structure: Statistical Models.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31, 439-485.

52.

Andreassen, (2015). Online Social Network Site Addiction: A Comprehensive Review. Current Addiction Reports, 2(2), 175-184.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