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한국판 외상성 비애 척도(K-TGI-SR+)의 타당화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Traumatic Grief Inventory Self-Report Plus (K-TGI-SR+)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사별 이후의 비정상적 애도인 지속 비애를 측정하는 한국판 외상성 비애 척도(Korean Version of Traumatic Grief Inventory-Self Report Plus [K-TGI-SR+])를 타당화하는 것 이다. 이를 위해 사별 경험 후 1년이 경과한 국내 성인 남녀 449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 하고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K-TGI-SR+의 내적일치도가 높았으며, 2요인 모델이 적합하였다. 또한 K-TGI-SR+는 PTSD, 우울, 불안, 죽음 불안과의 상 관이 유의하여 수렴타당도가 적절하였다. ROC 분석 결과 임상 수준의 지속 비애 증상이 있 는 집단(prolonged grief disorder [PGD])을 99% 정확하게 변별하는 절단점을 확인했다. 마지막으 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 및 추후 연구에 대한 제안을 논의하였다.

keywords
grief, prolonged grief, traumatic grief inventory, cut-off value, PGD, 애도, 지속 비애, 외상성 비애 척도, 절단점, PGD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validate the Korean Version of the Traumatic Grief Inventory-Self Report Plus (K-TGI-SR+), a scale designed to measure prolonged grief, which represents abnormal mourning after bereavement. Data were collected from 449 adult men and women in Korea one year after their bereavement experience. Bot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K-TGI-SR+ demonstrated high internal consistency, and a two-factor model was found to be appropriate. Additionally, convergent validity was adequate, as indicated by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PTSD, depression, anxiety, and death anxiety. ROC analysis precisely distinguished between groups with clinical levels of prolonged grief symptoms (Prolonged Grief Disorder; PGD) and those without (Non-PGD) with 99% accuracy, determining the cutoff value. Lastly,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keywords
grief, prolonged grief, traumatic grief inventory, cut-off value, PGD, 애도, 지속 비애, 외상성 비애 척도, 절단점, PGD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