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본 연구는 복합 외상 경험이 있는 만 19세 이상 39세 이하의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감각기반 기억표상과 복합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간의 관계가 침습적 기억과 경험회피에 의해 순차매 개되는지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정서적, 신체적, 성적 폭력 영역에서 경험 횟수가 2회 이 상’있다고 응답한 참가자 314명의 자료를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감각 기반 기억표상은 복합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또한 감각기반 기 억표상은 침습적 기억과 경험회피의 순차 매개를 통해 복합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에 간접적 으로도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대표적인 외상 관련 기억문제인 감각기반 기억표상이 외상 후 증상으로 이어지는 경로에서 침습적 기억과 경험회피를 통합적으로 확인했음에 의의가 있 다. 또한 단순 외상 경험자가 아닌 복합 외상 경험자들을 대상으로 복합 외상 후 스트레스 증 상을 연구함으로써 기억 문제에 대한 기존의 이해를 넓히고, 이들에게 유용한 치료적 시사점 을 제공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whether intrusive memory and experiential avoidance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nsation-based memory representation and complex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in adults aged 19 to 39 who have experienced complex trauma. Data from 314 participants who reported emotional, physical, and sexual violence on two or more occasions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indicated that sensation-based memory representation directly influenced complex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nd indirectly affected these stress symptoms through the sequential mediation of intrusive memory and experiential avoidance. This study confirms that intrusive memory and experiential avoidance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nsation-based memory representation and post-traumatic symptoms. By focusing on complex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this research enhances our understanding of memory-related issues and offers valuable therapeutic insights for individuals with complex post-traumatic stress. Lastly,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