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본 연구는 복합 외상 경험이 있는 만 19세 이상 39세 이하의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감각기반 기억표상과 복합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간의 관계가 침습적 기억과 경험회피에 의해 순차매 개되는지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정서적, 신체적, 성적 폭력 영역에서 경험 횟수가 2회 이 상’있다고 응답한 참가자 314명의 자료를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감각 기반 기억표상은 복합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또한 감각기반 기 억표상은 침습적 기억과 경험회피의 순차 매개를 통해 복합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에 간접적 으로도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대표적인 외상 관련 기억문제인 감각기반 기억표상이 외상 후 증상으로 이어지는 경로에서 침습적 기억과 경험회피를 통합적으로 확인했음에 의의가 있 다. 또한 단순 외상 경험자가 아닌 복합 외상 경험자들을 대상으로 복합 외상 후 스트레스 증 상을 연구함으로써 기억 문제에 대한 기존의 이해를 넓히고, 이들에게 유용한 치료적 시사점 을 제공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whether intrusive memory and experiential avoidance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nsation-based memory representation and complex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in adults aged 19 to 39 who have experienced complex trauma. Data from 314 participants who reported emotional, physical, and sexual violence on two or more occasions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indicated that sensation-based memory representation directly influenced complex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nd indirectly affected these stress symptoms through the sequential mediation of intrusive memory and experiential avoidance. This study confirms that intrusive memory and experiential avoidance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nsation-based memory representation and post-traumatic symptoms. By focusing on complex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this research enhances our understanding of memory-related issues and offers valuable therapeutic insights for individuals with complex post-traumatic stress. Lastly,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사별 이후의 비정상적 애도인 지속 비애를 측정하는 한국판 외상성 비애 척도(Korean Version of Traumatic Grief Inventory-Self Report Plus [K-TGI-SR+])를 타당화하는 것 이다. 이를 위해 사별 경험 후 1년이 경과한 국내 성인 남녀 449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 하고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K-TGI-SR+의 내적일치도가 높았으며, 2요인 모델이 적합하였다. 또한 K-TGI-SR+는 PTSD, 우울, 불안, 죽음 불안과의 상 관이 유의하여 수렴타당도가 적절하였다. ROC 분석 결과 임상 수준의 지속 비애 증상이 있 는 집단(prolonged grief disorder [PGD])을 99% 정확하게 변별하는 절단점을 확인했다. 마지막으 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 및 추후 연구에 대한 제안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validate the Korean Version of the Traumatic Grief Inventory-Self Report Plus (K-TGI-SR+), a scale designed to measure prolonged grief, which represents abnormal mourning after bereavement. Data were collected from 449 adult men and women in Korea one year after their bereavement experience. Bot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K-TGI-SR+ demonstrated high internal consistency, and a two-factor model was found to be appropriate. Additionally, convergent validity was adequate, as indicated by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PTSD, depression, anxiety, and death anxiety. ROC analysis precisely distinguished between groups with clinical levels of prolonged grief symptoms (Prolonged Grief Disorder; PGD) and those without (Non-PGD) with 99% accuracy, determining the cutoff value. Lastly,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COVID-19 팬데믹 동안 이례적으로 증가한 업무량 및 감염에 대한 공포와 위협 등으로 인해, 의료인력, 특히 간호사들은 상당한 심리적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본 연구는 팬데 믹 동안 간호사들의 정신건강 상태가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과 외상 후 성장 측면에서 어떻 게 분류되는지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통해 살펴보고, 이들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과 예측 변인 들을 탐색하였다. 분석 결과, 6개 잠재집단(상대적 무반응 집단, 부적응 집단, 투쟁 및 비효과 적 대처 집단, 성장 및 안정화 집단, 성장 및 투쟁 과정 집단, 투쟁 및 대처 실패 집단)으로 분류되는 것이 가장 적합하였고, 각 집단이 서로 다른 특징을 보인다는 점이 MANOVA와 잠 재프로파일 회귀모형으로 지지되었다. 또한 잠재집단에 따라 소진 수준에 유의한 차이가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의도적 반추,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부적응적 인지 적 정서조절전략, 그리고 친구의 지지에 따라 참가자의 잠재집단 분류가 유의하게 달라졌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팬데믹 동안 의료진의 고통과 성장의 경험 양상을 확인하였고, 잠재프 로파일에 따라 심리개입의 초점이 달라질 필요가 있음이 시사되었다.
The unprecedented COVID-19 pandemic placed significant psychological strain on healthcare workers, especially nurses, due to increased workloads and fears of infection. This study used latent profile analysis to classify nurses’ mental health during the pandemic in terms of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nd posttraumatic growth. It also examined the impact on burnout and related predictive variables. Participants were categorized into six latent groups: the relative non-response group, maladaptive group, struggling and ineffective coping group, growth and stabilization groups, growth and struggling group, and struggling and failed coping group. These classifications we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factors such as deliberate rumination, adaptive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and friend support. Notably, burnout levels varied significantly across the latent groups. The findings suggest that nurses could experience both psychological distress and growth simultaneously during the pandemic, highlighting the need for tailored psychological interventions based on different latent profiles.
본 연구는 초기 부적응도식이 비자살적 자해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그 관계에서 감정표현불능증과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정신질환의 진단 및 통계편람 DSM-5에 서 비자살적 자해로 인한 입원율이 가장 높다고 보고되었고, 그동안 국내에서 연구가 부족했던 나이대에 해당하는 초기 성인기의 만 19~29세 국내 대학생 31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 과, 각 변인들은 모두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고, 초기 부적응도식과 비자살적 자해의 관계에서 감정표현 불능증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순차적 이중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즉, 초기 부적응도식이 비자살적 자해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감정표현불능증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 조절전략을 거친 순차적 경로를 통해서도 비자살적 자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초기 부적응도식으로 인해 유발된 정서적 고통을 감정표현불능증의 수준이 높은 사람은 자신의 부정정서 를 인식하고 표현하지 못함으로써 적절히 해소하지 못하고, 부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사용해 비 자살적 자해를 시도할 수 있다는 세밀한 경로를 파악한 것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reveal the effect of early maladaptive schemas on non-suicidal self-injury and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alexithymia an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maladaptive schema and non-suicidal self-injury. A total of 310 undergraduate students in their 20s, identified as having the highest rate of hospital admissions due to non-suicidal self-injury according to DSM-5 criteria, completed self-report survey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Each variabl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others. Additionally, alexithymia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were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sequential double mediation effect between early maladaptive schema and non-suicidal self-injury. These result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recognizing that individuals with high levels of alexithymia, stemming from early maladaptive schema, struggle to identify and express negative emotions and are unable to regulate these emotions, often resorting to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