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메뉴

임상장면에서 사병 탐지에 대한 심리학적 고찰

The Psychological Review of Detecting for Malingering in Clinical Setting

초록

본 연구는 임상 장면에서 종종 발생하며, 사회적으로도 중요한 이슈인 사병(malingering)의 양상 및 이를 탐지할 수 있는 심리학적 평가 도구를 개관하는데 목적이 있다. 사병은 각종 유인을 얻기 위해 정서적, 심리적 문제를 과장 보고하거나 조작하여 허위로 증상을 드러내는 경우를 의미한다. 임상 현장에서 정신과적 증상을 과장 호소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신체 및 인지 기능 장해를 과장 보고하는 경우도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경우 금전적 대가 등의 사회적 위험을 야기할 수 있어, 임상가의 객관적인 평가가 매우 중요한데, 증가되는 사례에 비해 국내에서는 사병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부족하다. 본고에서는 사병 탐지를 위한 심리평가에 대해 그간 진행된 여러 연구들을 고찰해 보았다. 사병에 대한 평가를 크게 자기 보고식 검사와 신경 심리 검사 및 사병 탐지를 위해 고안된 검사, 그 외의 방법들로 구분하였고, 각 도구들에 따라 사병을 평가할 수 있는 척도, 변별 지표나 해석적 고려 사항 등이 달라짐을 확인하였다. 사병을 탐지하기 위해서는 환자의 임상적 특성에 맞게 도구들을 적절히 선택함과 동시에 단일 점수만에 의존하기보다는 평가 결과와 임상 양상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하겠다. 더불어 사병에 대한 평가에서 심리적, 신체적 문제의 공존 가능성을 염두에 두어 신중할 필요성을 언급하였다.

keywords
사병, 꾀병, 심리 평가, 탐지, 부정 가장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specific patterns in which "malingering", which a serious social problem that often takes place in clinical setting, and to investigate which psychological tools may be effective in detecting mental disorders. "Malingering" refers to the behaviors of fabricating or exaggerating one's emotional or psychological problems for a variety of gains. Increased cases of feigning cognitive impairment and psychotic symptoms can put a society in great danger; therefore, cautious and precise evaluation of these cases is necessary. However, there has been limited systematic research regarding this issue in Korea. Evaluation methods of "malingering" include self-report assessment, neuro-psychological evaluation, tools developed solely detecting malingering and others. We confirmed various indices and considerations according to the tool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pecific evaluation tools of "malingering" and how these methods are used in the actual clinical settings. However, according to this, and other various studies, it is more imperative to consider the clinical features and overall comprehensive material of assessment rather than focusing on the patterns of behavior displayed from conducting only one test by a single index score. The study also suggests that it is important to select a specific tool appropriate for each patient's clinical characteristics or situation to accurately diagnose "malingering". Lastly, this study emphasizes on the need to evaluate "malingering" with more careful, noting the coexistence of actual psychological, and physical problems.

keywords
malingering, feigning, psychological assessment, detection, clinical, faking bad
투고일Submission Date
2016-07-01
수정일Revised Date
2016-09-10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16-11-07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