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메뉴

완벽주의, 자기가치 수반성과 자기평가 간 불일치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Perfectionism and Self-Discrepancy between a Given Domain of Contingencies of Self-Worth and its Self-Evaluation in Depression

초록

본 연구에서는 완벽주의 특성, 자기가치 수반성과 실제 자기평가 간의 불일치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완벽주의 특성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자기가치 수반성과 자기평가 간 불일치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충남ㆍ충북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428명을 대상으로 완벽주의 특성, 자기가치 수반성, 자기평가, 그리고 우울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를 실시하였으며 이후 수집된 자료를 이용하여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완벽주의 특성, 자기가치 수반성과 자기평가 간 불일치 영역이 우울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완벽주의 특성 하위차원 중 자기지향 완벽주의와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는 우울과 정적 상관이 있었다. 또한 자기지향 완벽주의는 불일치 영역 중 우월성과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는 불일치 영역 중 우월성, 도덕성, 타인의 승인, 가족의 지지와 정적 상관을 보였다. 완벽주의와 우울의 관계에서 불일치 영역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기지향 완벽주의와 우울의 관계에서 불일치 영역 중 우월성이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와 우울의 관계에서는 불일치 영역 중 우월성, 타인의 승인, 가족의 지지가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부적응적인 완벽주의로 인해 우울을 겪고 있는 개인들을 치료하는데 있어 개인이 가치를 두는 영역을 확인하고 이런 영역에서의 불일치, 즉 불만족을 다룰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keywords
완벽주의 특성, 자기가치 수반성, 자기평가, 불일치, 우울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discrepancy between contingencies of self-worth and self-evaluation in the association between perfectionism and depression. A total of 428 undergraduate students in Chungnam and Chungbuk areas participated, and completed the self-report measures of the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 (MPS), the Contingencies of Self-Worth Scale (CSWS), the Self-Evaluation in domain-contingencies, and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II (BDI-II).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obel test for this data were condu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Self-oriented perfectionism and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depression. The self-oriented perfectionism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superiority discrepancy only. Moreover the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superiority discrepancy, virtue discrepancy, others' approval discrepancy, and family support discrepancy.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association between self-oriented perfectionism and depression was partially mediated by the superiority discrepancy. Additionally, superiority discrepancy, others' approval discrepancy, and family support discrepancy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association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depression.

keywords
perfectionism, contingencies of self-worth, self-evaluation, discrepancy, depression
투고일Submission Date
2016-06-17
수정일Revised Date
2016-08-05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16-10-26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