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본 연구의 목적은 이차적 분노사고와 대인관계 문제 및 신체화 증상과의 관계에서 분노표현 양상의 매개효과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차적 분노사고는 분노 상황에서의 대처 양상을 반영하는 주요한 인지적 요인으로서 타인비난/보복, 무력감 및 분노통제/건설적 대처라는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학생 309명을 대상으로 이차적 분노사고 척도, 한국판 상태-특성 분노표현 척도, 대인관계 문제 원형 척도, 간이 정신진단 검사 수정판, 한국판 Beck 우울 척도를 실시하였다. 중다회귀분석 결과, 분노표출은 타인비난/보복사고와 지배의 대인관계 문제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노억제는 무력감사고와 비독립성 및 (피)착취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무력감사고와 냉담, 사회적 위축 및 비주장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였다. 무력감사고와 신체화 증상의 관계에서 분노억제의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추가적인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특성분노와 분노억제가 신체화 증상을 예측하는 모형에 무력감사고를 포함시켰을 때 발생한 추가적인 설명량이 유의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결과의 의의 및 한계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anger expression style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condary anger-thoughts and negative consequences of anger, which were interpersonal problems and somatic symptoms. Secondary anger-thoughts are one of the major cognitive factors that reflect coping behaviors and patterns in anger situations, which are composed of 3 factors: derogation of others/revenge, helplessness, and anger-control/constructive coping. Three hundred and nine undergraduates completed the Secondary Anger-thought Scale,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Korean version,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s-Circumplex, Symptom Checklist-90-Revised, and Beck Depression Inventory-Korean vers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demonstrated that anger-out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derogation of others/revenge thoughts and 'autocratic' interpersonal problems. The relationship between helplessness thoughts and 'exploitable' interpersonal problems was fully mediated by anger-in. Anger-i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helplessness thoughts and 'cold', 'socially avoidant', and 'nonassertive' interpersonal problems. There were no mediating effect of anger-in between helplessness thoughts and somatic symptoms. Additional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however, revealed that when helplessness thoughts were added to the prior model in which trait anger and anger-in predicted somatic symptoms, the explained variation of somatic symptom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final section,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