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본 연구에서는 정서적 고통 감내력과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걱정 증상에 미치는 영향에서 경험회피가 매개하는지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326명에게 정서적 고통 감내력,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경험회피, 걱정 증상을 평가하는 설문지를 실시했다.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결과, 정서적 고통 감내력 및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걱정 증상간 관계는 경험회피에 의해 완전 매개 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이러한 효과 크기에서, 정서적 고통 감내력이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보다 강한 간접효과 및 직접효과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걱정 증상에 대한 정서적 고통 감내력과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의 고유한 영향력을 재확인함과 동시에, 범불안장애에 수용 기반 개입이 효과적일 수 있음을 제언한다. 특히, 생각, 감정, 신체 감각 등 경험에 대한 수용에 있어, 감정에 대한 수용이 생각에 대한 수용보다 걱정 증상에 더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role of experiential avoidance (EA) on the relationships among distress tolerance for negative emotional states (DT), intolerance of uncertainty (IU) and worry symptoms. A total of 326 university students who completed an assessment battery consisting of DT, IU, EA, worry symptoms were included for this analysis.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to test the mediation effect of EA. The results showed that EA fully mediated the influence of DT and IU on worry symptoms. Moreover, indirect and direct effect of DT was stronger than that of IU. These findings once again confirmed the unique influence of emotional distress tolerance and the lack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on worry symptoms. Furthermore, these findings suggest how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Acceptance-based intervention is more effective. Especially, experiential acceptance on thoughts, emotions, physical sensations and so on, suggests that an acceptance on emotion are more effective to worry symptoms than acceptance on though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