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복합외상 경험이 역기능적 분노표현 양식에 미치는 영향: 침습적 반추와 내면화된 수치심의 차별적 매개효과

The Influence of a Complex Trauma Experience on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The Differential Mediating Effects of Intrusive Rumination and Internalized Shame

초록

본 연구는 복합외상 경험이 역기능적 분노표현 양식인 분노표출과 분노억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침습적 반추와 내면화된 수치심의 차별적인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대구, 경북에 소재한 중학교, 고등학교, 청소년지원센터, 꿈드림 센터, Wee 센터, 보호관찰소, 소년원 등에서 연구대상자를 표집하였고, 청소년 313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238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자료로 사용하였으며,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SPSS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측정도구는 외상 경험 척도, 상태-특성 분노표현 척도, 사건관련 반추 척도, 내면화된 수치심 척도를 사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복합외상 경험은 침습적 반추, 내면화된 수치심, 분노표출, 분노억제 모두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복합외상 경험이 분노표출에 미치는 영향에서 침습적 반추의 매개효과는 있었으나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는 없었다. 셋째, 복합외상 경험이 분노억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는 있었으나 침습적 반추의 매개효과는 없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그리고 추후 연구에 대한 함의를 논의하였다.

keywords
복합외상 경험, 역기능적 분노표현 양식, 침습적 반추, 내면화된 수치심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 complex traumatic experience on anger expression and anger suppression in adolescents and to investigate the differential mediating effects of intrusive rumination and internalized shame. For this purpose, 313 participants were sampled from middle schools, high schools, youth support centers, dream local management centers, Wee centers, probation centers, and juvenile schools located in Daegu and Gyeongbuk provinces. SPSS PROCESS MACRO was us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The instruments used included the trauma experience scale, state - trait anger expression scale, event - related rumination scale, and internalized shame scale.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omplex traumatic experience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intrusive rumination, internalized shame, anger expression, and anger suppression. Second, the effect of complex trauma on anger expression was mediated by intrusive rumination, but it was not mediated by internalized shame. Third, internalized shame mediated the effect of complex trauma experience on anger suppression, but intrusive rumination had no mediating effect.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keywords
complex trauma, dysfunction anger expression, intrusive rumination, internalized shame
투고일Submission Date
2017-10-17
수정일Revised Date
2017-11-21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17-12-14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