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정신장애인의 고용 여부가 장애수용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ment Status and Disability Acceptance in Adults with Mental Illnesses

초록

본 연구는 전국의 만 20세 ~ 만 67세 사이의 성인 정신장애인 524명을 대상으로(F = 205, Mage = 38.67), 고용 여부와 장애수용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알아보았다. 장애인고용패널조사(PSED) 2차 웨이브 4차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Hayes(2022)의 SPSS PROCESS Macro 4번 모델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자기효능감이 고용 여부와 장애수용의 관계를 유의하게 매개하였다. 고용 여부가 장애수용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해당 결과는 정신장애인이 고용과 자기효능감을 통해 이상적인 회복에 가까워지도록 하는 제도적 지원의 확장과 구체화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keywords
정신장애, 고용, 직업재활, 자기효능감, 장애수용, mental illness, employment, vocational rehabilitation, self-efficacy, disability acceptance

Abstract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and illust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ment status, self-efficacy, and disability acceptance in community-dwelling adults with mental illnesses aged 20-67 years. Method: The fourth dataset of the second wave of the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PSED) was analyzed using Hayes (2022) SPSS PROCESS Macro (model 4). Results: Self-efficacy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ment status and disability acceptance, whereas the direct effect of employment status on disability acceptance was not significant. Conclusion: The employment status of adults with mental illnesses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self-efficacy and predictive of disability acceptance.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for governments to establish social resources to support vocational recovery, emphasizing the strengthening of self-efficacy.

keywords
정신장애, 고용, 직업재활, 자기효능감, 장애수용, mental illness, employment, vocational rehabilitation, self-efficacy, disability acceptance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