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메뉴

대학생의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내면화된 수치심이 발표불안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된 매개효과

Effects of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Internalized Shame on the Speech Anxiety of Undergraduates: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초록

이 연구는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발표불안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와 내면화된 수치심이 발표불안을 매개하는 경로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충청남도 소재의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남, 녀 211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측정도구는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척도, 내면화된 수치심 척도, 발표불안 척도,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SPSS 23.0과 SPSS Process Macro3.4를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내면화된 수치심, 발표불안, 부적응적 정서조절전략은 서로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적응적 정서조절전략은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내면화된 수치심, 발표불안과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부적응적 정서조절전략과는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둘째,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발표불안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이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하위 요인인 적응적 정서조절전략의 수준에 따라서 내면화된 수치심이 발표불안에 미치는 영향의 효과 크기가 달라지는 조절효과가 확인되었으나 부적응적 정서조절전략은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적으로 적응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되는 개입 방향, 한계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keywords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internalized shame, speech anxiety,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moderated mediation effect,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내면화된 수치심, 발표불안,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조절된 매개효과

Abstract

This study attemp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nalized sham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peech anxiety, as well as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in the path through which internalized shame mediates speech anxiety. To this end, a study was conducted with 223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in Chungnam Province. The measurement tools included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internalized shame, speech anxiety, and cognitive-emotional control strategy scale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analysi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using SPSS 23.0 and SPSS Process Macro 3.4.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internalized shame, speech anxiety, and maladaptive strategie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one another,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maladaptive strategies. Second, internalized shame was completely mediat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peech anxiety. Third, according to the level of adaptive strategy, which is a sub-factor of the cognitive-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the moderating effect of internalized shame on speech anxiety differed, but the maladaptive strategy showed no moderating effect. Finally,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the adaptive strategy was verified. Based on these results, intervention direc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keywords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internalized shame, speech anxiety,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moderated mediation effect,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내면화된 수치심, 발표불안,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조절된 매개효과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