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심리서비스에 대한 대국민 설문조사

Public survey on psychological services

초록

본 조사는 국내에 부재한 심리서비스 관련 법안에 대한 국민의 인식을 살펴보고, 심리서비스 관련 법안의필요성을 밝히고 나아가 임상심리학회의 역할을 밝히고자 수행되었다. 조사는 전국 만 19세 이상의 성인을대상으로 2022년 8월 20일부터 9월 5일까지 온라인으로 이루어졌으며, 조사에 참여한 총 표본 수는 710명이었다. 조사내용은 ‘심리서비스 이용실태’, ‘심리서비스 이용 경험에 따른 욕구’, ‘심리서비스 제도에 대한인식’ 3개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조사결과, 전체 응답자 710명 중 338명이 심리서비스 이용 경험이 있었으며, 나머지 372명은 심리서비스 이용 경험이 없다고 응답하였다. 전체 응답자의 대다수에서 향후 심리서비스를 이용할 의향이 있다(75.8%)고 응답했으며, 심리서비스 기관을 선택하는 경로는 주로 ‘지인의 소개’를통해서였고, ‘인터넷 검색’, ‘기관 연계’, ‘지역 대학에 문의’ 등의 응답 순이었다. 심리서비스 기관을 선택하는 기준은 ‘보유 자격증’을 가장 먼저 꼽았고, ‘서비스 내용’, ‘비용’, ‘근접성’ 순이었다. 특히 20대는 ‘서비스 비용’을 가장 크게 고려하였으며, 20대의 경우 경제적 자립이 다른 연령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을수 있어 ‘서비스 비용’이 심리서비스 기관 선택에 가장 크게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상담자의 능력’을 심리서비스 선택 시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응답했으며, ‘상담자의 자격’, ‘상담자의 경력’, ‘상담비용’ 순으로 반응했다. 심리서비스 유경험자의 경우는 ‘상담자의 능력’을 더 중요하게 여겼으며, ‘상담자의 자격’도 심리서비스 이용 경험이 없는 경우 보다 더 크게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인력이 갖추어야 할 자질과 자격에 ‘전문성’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했으며, ‘내담자를 존중하는 태도’, ‘비밀유지’, ‘도덕성’ 순으로 높았다. 심리서비스 관련 전문자격 취득 시 심리학을 전공해야 한다는 것에 ‘찬성한다’는 의견은 93.0%로 매우 높았고, 이는 전 연령대에서 동일하게 나타났다.

keywords
psychological service, counseling, psychotherapy, psychology, Korean Clinical Psychology Association, 심리서비스, 심리상담, 심리치료, 심리학, 한국임상심리학회

Abstract

This surve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public’s perception of psychological service-related bills that are not in Korea, to clarify the need for psychological service-related bills, and to further clarify the role of the Clinical Psychological Association. The survey was conducted online from August 20 to September 5, 2022, targeting adults aged 19 or older across the country, with a total of 710 respondents participating. The survey consisted of three areas: “Use of psychological services,” “need based on experience of using psychological services,” and “awareness of the psychological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338 out of the 710 respondents had prior experience with psychological services, while the remaining 372 indicated no such experience. Many respondents said that they were willing to use psychological services in the future (75.8%), and the primary avenues for selecting psychological service providers were “recommendation from acquaintances,” followed by “internet searches,” “institutional connections,” and “contacting local universities.” The criteria for selecting a psychological service institution were primarily centered on the “possession of certificate,” followed by “service offerings,” “cost.” In particular, those in their 20s considered “service cost” the most, and those in their 20s may have a relatively low economic independence compared to other age groups, indicating that “service cost” has the greatest impact on the choice of psychological service institutions. “Counselor’s ability”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when choosing psychological services, followed by “counselor’s qualifications,” “counselor’s experience,” and “counselor fees.” In the case of those with experience in psychological services, the “ability of counselors” was considered more important, and the “qualification of counselors” was also considered more than those who had no experience in using psychological services. Many respondents believed that “professionalism” was the most important thing for individuals seeking qualifications in the field of psychological services, and it was high in the order of “a respectful attitude toward clients,” “commitment to confidentiality,” and “morality.” Notably, 93.0% of the respondents agreed that a major in psychology should be a prerequisite for acquiring professional qualifications related to psychological services, and this consensus held true across all age groups.

keywords
psychological service, counseling, psychotherapy, psychology, Korean Clinical Psychology Association, 심리서비스, 심리상담, 심리치료, 심리학, 한국임상심리학회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