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19세기 사족 여성의 빈곤 경험과 대처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poverty experience of the noble women and how they cope with the poverty in the late Chosun

여성문학연구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14, v.0 no.32, pp.46-74
황수연 (홍익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19세기에는 중앙 정계 진출의 제한, 남녀 차별 상속으로 인한 재산의 감소, 부세 정책의 심화 등으로 빈곤한 사족이 증가했다. 집안 살림을 주관한 사족 여성은 빈곤을 경험하게 되며 이에 대처하고 극복하기 위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사족 여성들은 의존적이고 한시적인 방편으로 친정의 원조를 받거나 빚을 지어 빈곤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보다 많은 사족 여성들은 길쌈, 누에치기, 밭 가꾸기, 고리대금업 등 생업을 마련하고 생산적 경제 활동을 통해 장기적이고 적극적으로 빈곤에 대처하였다. 여성의 빈곤은 규범과 결합되어 서술되는 경향이 있다. 유교적 규범은 빈곤한 사족 여성에게도 예외 없이 요구되었고 효도, 배려, 나눔, 보살핌 등의 윤리적 행위와 관련되어 기록되었다. 가족 내의 권력관계와 규범 등과 관련된 비물질적 요인들로 인해 여성은 남성과 빈곤을 다르게 그리고 불평등하게 경험하였다. 사족 여성의 경제적 활동과 기여는 사적으로 인정을 받았고 그에 대한 가정에서의 위상이 높아졌을 것이라 짐작된다. 조선후기 사회경제적 변화는 근대로 가면서 더욱 심화되었고 가족과 신분의 해체 등 가정의 위기를 초래하며 또 다른 모습으로 여성의 빈곤을 야기하게 된다.

keywords
the 19th century, the noble women, the poverty, economic activities, modern times, practical economic view, 19세기, 사족 여성, 빈곤. 경제활동, 실용적 경제관, 근대

Abstract

The poor noble men increased because of limit of entering the main political area and the diminishment of properties by the differential inheritance according to the son and daughter , and their income and the heavy tax. The noble women received help from their parents home or have dept others to cope with the poverty as the defendant and temporary solution, They did the economic activities to make a living as the positive and the long term solution. Most of the noble women did the economic activities like the weave, silk farming, cultivating, loan-sharking to overcome the poverty basically. The poverty experience of the noble women was described with the moral standard like the filial duty, regard, care, donation. The nonmaterial elements like the power relation and the moral standard in the family caused influence the unequal of the poverty experience of the noble women . Women’s economic contribute in domestic get recognition privately and their position must be high. The socio-economic change in the late Chosun escalated in modern times and brought different women’s poverty by causing the family in crisis like the family disorganization and the dissolution of social class.

keywords
the 19th century, the noble women, the poverty, economic activities, modern times, practical economic view, 19세기, 사족 여성, 빈곤. 경제활동, 실용적 경제관, 근대

참고문헌

1.

홍학희 외, 역주, 19세기ㆍ20세기 초 여성생활사 자료집 1~9권, 2013. 보고사.

2.

김경미, 17세기 여성생활사 자료집 1권, 2006. 보고사.

3.

권구, 내정편(內政篇) , 옛날물건.

4.

조병덕, 「肅齋集」, 한국문집총간 311.

5.

독립신문, www.,mediagaon.or.kr.

6.

김건태, 조선시대 양반가의 농업경영 , 역사비평사, 2004, 159〜221쪽.

7.

김경미, 家와 여성 , 여이연, 2012, 32〜42쪽.

8.

김성희, 한국 여성의 가사 노동과 경제 활동의 역사 , 신정, 2002, 1〜128쪽.

9.

정채원, 숨겨진 빈곤 , 푸른 사상사, 2010, 1〜202쪽.

10.

정진영, 조선시대 향촌사회사 , 한길사, 1999, 525〜562쪽.

11.

캐론린 라마자노글루/김정선 옮김, 페미니즘, 무엇이 문제인가 , 문예출판사, 1997, 157〜186쪽.

12.

강혜선, 「조선후기 사족 여성의 경제활동과 문학적 형상화 양상」,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24집,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2, 189〜217쪽.

13.

김경미, 「조선후기 여성의 노동과 경제활동-18〜19세기 양반 여성을 중심으로」, 한국여성학회 28권 4호, 2012, 85〜117쪽.

14.

김석회, 「조선후기 향촌사족층 여성의 삶과 시집살이 서사-<망실안인윤씨행장>, <삼한습유>. <복선화음가>의 경우」,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6집,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3, 49〜78쪽.

15.

김현미, 「19세기 조선 학자의 딸/선비의 아내로 산다는 것-화서 이항로의2녀 벽진 이씨의 삶」, 한국문화연구 20권, 이화여대 한국문화연구원, 2011, 75〜98쪽.

16.

최승희, 「조선후기 고문서를 통해 본 고리대의 실태」, 한국문화 19집, 서울대학교규장각한국학연구원, 1997, 89〜127쪽.

17.

황수연, 「17세기 사족 여성의 생활과 문화」,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6집,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3, 161〜192쪽.

18.

황수연, 「조선시대 규훈서에 나타난 여성에 대한 기대와 경계」, 열상고전연구 32집, 열상고전연구회, 2010, 143〜172쪽.

여성문학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