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권호 목록

우울증상의 지속에 영향을 주는 인지 및 행동요인들 : 3개월간 추적연구
김은정(연세대학교 심리학과) ; 오경자(연세대학교 심리학과) pp.1-1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우울증상의 지속에 영향을 주는 인지 및 행동요인들을 확인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3개월간 추적조사를 실시한 것이다. 첫번째 가설은 Beck의 우울증에 관한 인지적 모델에 기초한 것이며, 두번째 가설은 Ingram의 자기 촛점화 주의와 우울증에 관한 이론 및 Nolen-Hoeksema의 우울감정에 대한 반응양식가설에 관한 것이다. 907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우울척도(BDI), 역기능 태도 척도(DAS), 자동적 사고 질문지(ATQ), 자의식 척도(SCS) 그리고 우울감정에 대한 반응양식 척도(RSQ)를 실시하였다. 이들 중 중등도 이상(BDI 16점 이상)의 우울증상을 주증상으로 경험하고 있는 학생들을 대상(124명)으로 동일한 설문조사를 3개월 후에 추적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95명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우울한 기분에 의해 활성화된 역기능적 태도와 자동적 사고는 함께 3개월 후의 우울수준을 예측해 주었으나, 1차조사시의 우울수준을 통제한 후에는 이 두 인지적 변인의 영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자기 촛점화 주의와 반추적인 행동은 함께 3개월 후의 우울수준을 예측해 주었으나, 자기 촛점화 주의의 독립적인 영향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반추적인 행동의 매개 효과가 유의하였으며 반추적인 행동과 1차조사시의 우울수준의 상호작용 효과도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전통적인 인지적 모델에서 강조되는 부정적 인지요인의 영향력에 비해 우울감정에 대한 반추행동과 같은 행동요인들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강함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우울증상의 지속 및 재발을 예방하는데 있어서 행동적이고 현상학적인 요인의 중요성을 시사해 주었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was a 3 months follow-up study to examine two hypotheses concerning persistence of depressive symptoms. The two hypotheses were based on Beck's Cognitive Theory of Depression, Ingram's Theory of Self-Focused Attention and Depression and Nolen-Hoeksema's Response Style Theory of Depression. The first hypothesis was that dysfunctional belief activated by depressive mood and automatic thought would influence persistence of depressive symptoms. The second hypothesis was that self-focused attention activated by depressive mood and ruminative response would influence persistence of depressive symptoms. 907 college students were given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Dysfunctional Attitude Scale (DAS), Automatic Thought Questionnaire (ATQ), Self-Consciousness Scale (SCS), Response Style Questionnaire (RSQ). Of the 907 students, 171 with BDI score above 16 were interviewed individually in order to rule out those subjects for whom depression did not seem to be the primary symptom. The final group of 124 students were found to meet the criteria and the same battery of measures were mailed out to them 3 months after the initial assessment. 95 subjects returned the completed questionnaires and the following analyses were based on their dat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Dysfunctional attitude activated by depressive mood and automatic thought jointly predicted the level of depression 3 months later and after controlling for the initial level of depression, the effects of the two cognitive variables were not significant. Self-focused attention and ruminative response style jointly predicted the level of depression 3 months later. But self-focused attention by itself did not affect depressive symptoms concurrently or 3 months later. Ruminative response style at the initial assessment and its interaction with initial depression predicted depression at 3 months' follow-up. The results suggested that ruminative response style has priority to cognitive factors such as dysfunctional attitude and automatic thought in predicting persistence of depression.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ed the importance of behavioral and phenomenological factors such as ruminative response style as well as cognitive factors emphasized in the traditional cognitive approaches to depression. Implications of the resent findings for programs to prevent persistence or relapse of depression were discussed.

정신분열증 환자의 자동과정 장애 - 범주효과가 자동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
표근영(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안창일(고려대학교 심리학과) pp.20-36
초록보기
초록

정신분열증 환자의 주의과정의 결함에 관한 많은 연구들을 자동과정과 통제과정의 관점에서 고찰해보면 정신분열증 환자들은 통제과정이 손상되어 있으며 자동과정은 비교적 정상적이라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그리나 본 연구에 의하면 정신 분열증 환자의 자동과정은 결코 정상적이지 못하다. 이들은 정상인들이 자동과정에 의해 수행하는 과제를 통제과정에 의해 수행하고 있었다. 이는 표면적으로 나타나는 정신분열증 환자의 통제과정의 장애가 실은 자동과정의 장애에 기인된 부차적인 현상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automatic processing deficits in schizophrenic patients. Thre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development of automatic processes in schizophrenic patients and the normal on a modification of a multiple-frame search task developed by Schneider and Shiffrin(1977). On this task the category differences between the target letters or digits and distractors were vari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questioned prevalent assumptions that schizophrenic deficits of information processing were evident in tasks that performed with controlled processes and absent in tasks involving automatic processes. However, the results suggested that schizophrenic patients are not capable of developing automatic processes. Schizophrenics performed between-category tasks with controlled processes, whereas normal subjects did with automatic processes. This suggests that their controlled processing deficits showed in other cognitive tasks might be due to the automatic processing deficits. It is suggested that inefficient perceptual organization might be the cause of impaired automatic processing abilities.

성격특성, 백색소음에 대한 심장혈관계 반응성 그리고 A형 행동패턴간의 관계
이인혜(강원대학교 심리학과) pp.37-5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성격특성, 백색소음에 대한 심장혈관계 반응성 그리고 A형 행동패턴간의 관계성을 밝혀보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성격특성은 신경증적 경향성, 외향성, 정신병적 경향성, 충동성이었고, A형 행동패턴은 성격요인이 아닌 특징적인 행동(반응)으로 간주되었다. 피험자는 311명의 남녀 대학생들로 이들에게 Eysenck성격검사, Barratt충동성 검사, Framingham A형 행동패턴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기저선 조건과 백색소음이라는 물리적 스트레스 조건하에서 피험자들의 이완기 및 수축기 혈압과 심박반응을 개별적으로 측정하였다. 자료는 t검증, 중다회귀분석 그리고 공변량 구조분석의 통계적 방법을 사용하여 처리하였다. 결과는 기저선에 비해 스트레스조건에서 이완기 혈압과 심박측정치의 증가가 확인되었고, 여자는 남자보다 신경증적 경향성이 높았으며 여자는 심박측정치에서 그리고 남자는 혈압측정치에서 더 반응적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남자는 여자보다 A형 행동패턴 측정치가 높았다. 중다회귀분석과 공변량 구조분석의 결과, 심장혈관계 반응성과 A형 행동패턴에 관련이 있는 성격특성은 신경증적 경향성과 무계획 및 인지 충동성으로 나타났고 이 세 성격변인으로 구성된 성격구조와 심장혈관계 반응성, 그리고 A형 행동패턴이 하나의 구조로 통합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was to clarify a relationship of personality, the cardiovascular reactivity to white noise and Type A Behavior Pattern. Personality factors studied were neuroticism(N), extraversion(E), psychoticism(P) and impulsivity(Imp.), while Type A Behavior Pattern(TABP) was regard as a behavior(response) style not as a personality factor in this study. Subjects were 311 male and female undergraduates. Eysenck Personality Questionaire, Barrette Impulsivity Scale and Framingham Type A Behavior Scale were administered to all subjects. Measures of the cardiovascular responses (diastolic pressure, systolic pressure and heart rate) of all subjects under the physical stress of 100db white noise were compared to resting condition(baseline) in connection to their personality factors and behavioral styles. Data were analysed by means of the statistical methods such as t-test, multiple regression and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 a) Significantly higher N and HR were observed in females as compard with males. Males revealed higher SBP and TABP than females. b) Personality factors associating with both the measures of the cardiovascular reactivity and TABP were N, nonplanning Imp, and cognitive Imp. All the measures of DBP, SBP, and HR, however, were unrelated to TABP. c) The result of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suggested that the structures of personality including factors such as N, nonplanning Imp, and cognitive Imp, the cardiovascular reactivity including the variabality on DBP, SBP, HR measures, and TABP were interrelated. In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a model integrating the three structures will enable to explain a bio-psychological process of individual behavior.

신판 MMPI 검사-재검사 신뢰도
조현섭(성 안드레아병원) ; 오상우(원광대학교 의과대학) pp.54-6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1992년 6월부터 8월까지 심리학개론을 수강하는 대학생 87명(연구 1)과 정신과 입원환자 96명(연구 2)을 대상으로 신판 MMPI(566문항)의 검사-재검사 신뢰도와 임상척도의 high-point code, low-point code, two-point code 및 three-point code의 안정성을 알아보았다. 검사-재검사 신뢰도의 경우 대학생집단은 .56에서 .88까지의 범위에 속하는 정적상관을 보였고 정신과 입원환자집단의 경우에는 .38에서 .81까지의 범위에 속하는 정적상관을 보여서 정신과 입원환자 집단의 Mf(F) 척도(.38)를 제외하고는 두 집단의 모든 척도가 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 결과들은 이전의 연구결과들에 비하여 더 높은 상관을 보였다. 또한 신판 MMPI 임상척도의 high-point code, low-point code, two-point code 및 three-point code의 안정성의 경우, 대학생집단은 각각 30.9%, 66.0%, 40.1% 및 6.9%의 일치율을 보였고 정신과 입원환자집단은 각각 50.4%, 40.8%, 37.6% 및 7.3%의 일치율을 보였는데, 이 결과도 이전의 연구 결과들에 비하여 높은 일치율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신판 MMPI가 구판 MMPI에 비하여 더 신뢰롭고 더 안정적이다는 것을 시사해 주고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 대한 논의점이 제시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new MMPI test-retest reliability and the stability of new MMPI high-point code, low-point code, two-point code, and three-point code types. Subjects were 96 psychiatric patients and 87 undergraduate students who took psychology introduction course from June to August in 1992. In the case of test-retest reliability, the student group was ranged from .56 to .88 and the psychiatric patient group was distributed from .38 to .81.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at every scales of both groups were in 1% level except Mf(F) scale(.38) of psychiatric patient group. This research results showed a high correlation comparing with the previous researches. In the case of the stability of new MMPI high-point code, low-point code, two-point code, and three-point code types, undergraduate student group was 30.9%, 66.0%, 40.1%, and 6.9% agreement rate, and the agreement rate of psychiatric patient group was 50.4%, 40.8%, 37.6%, and 7.3% respectively. This research results showed a high agreement rate comparing with the previous researches. Therefore, these research results suggested that new MMPI be more reliable than old MMPI. The implication of the study was discussed.

지능검사로서의 Raven Progressive Matrices 검사의 타당도연구 : Standard Progressive Matrices 검사를 중심으로
전덕임(충북대학교 심리학과) ; 강연욱(충북대학교 심리학과) pp.65-8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Raven Progressive Matrices검사의 한국판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Standard Progressive Matrices검사(SPM)를 실시하여 지능검사로서의 SPM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405명의 대학생(남자 202명, 여자 203명)에게 지필검사형식의 SPM을 실시하였고, 그들 중 100명에게 KWIS를 함께 실시하였다. 이들의 SPM점수의 평균은 52.5(S.D.= 4.0)였고, 남녀의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으며, 신뢰도는 내적일치도가 .73이었고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62였다. SPM의 구성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5개의 소검사점수를 변인으로 하여 요인분석을 한 결과 SPM은 단일요인으로 구성되어 있음이 밝혀졌고 그 요인은 전체변량의 39.2%를 설명하였다. 지능검사로서의 SPM의 공인타당도를 검토하기 위하여 SPM과 KWIS와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SPM은 전체 IQ와 동작성 IQ 및 언어성 IQ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음이 밝혀짐으로써 지능검사로서의 SPM의 타탕성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언어성 IQ와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지닌 어휘문제가 SPM과는 거의 상관관계가 없다는 사실은 SPM을 이용하여 전체지능수준을 추정하려 한다면 어휘능력이 SPM과 함께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문항반응 이론에 의거하여 SPM의 문항들을 분석한 결과, SPM의 다수의 문항들이 쉬운 문항범위에 속하였고 추측도도 다소 높게 나왔으나 문항변별력은 대체로 적절한 수준에 속하였다. 이상과 같은 결과들은 SPM이 지능의 한 척도로서 신뢰롭고 타당한 검사임을 입증하고 있으나, 다양한 연령층의 정상인들과 환자들에 대한 후속연구를 통해서 본 연구의 결과가 다시 검증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reliability and the validity of the Raven Progressive Matrices Test as an intelligence test in Koreans. The booklet form of the Standard Progressive Matrices (SPM) was administered to 405 college students (202 males, 203 females). Among them, 100 volunteers were also tested with the KWIS. The mean of the SPM scores was 52.5(s.d.=4.0). The sex difference was not found. The estimate of the test-retest reliability was .62 and the internal consistency (Cronbach's alpha) .73.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SPM was investigated by factor-analyzing the 5 set scores. A single factor that explained 39.2% of the variance was extracted from the 5 sets, indicating the high internal consistency of the SPM. The fact tha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SPM and KWIS's Full, Verbal, and Performance Scale IQs indicates that the SPM is a valid measure of intelligence. That the Vocabulary subtest having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Verbal Scale IQ was barely correlated with the SPM, however, suggests that both the SPM and the vocabulary scale should be considered together for assessing general intelligence(g). According to the item analysis based on the item response theory, it was found that the SPM consists of too many easy items and the average "guessing" was in the slightly high range, while the average "item discrimination" was in the moderate to high range. In surn, the present results indicate that the SPM is a reliable and valid measure of intelligence, although these results should be validated by the future studies that will be conducted to other aged normal and patient groups.

한국판 캘리포니아 언어학습검사 (K-CVLT) 제작을 위한 타당도 연구
김정기(포항공과대학교) ; 강연욱(충북대학교) pp.82-9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언어기억(verbal memory)을 측정하는 한국판 캘리포니아 언어학습검사(K-CVLT)의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전체연령집단과 환자집단에 대한 표준화에 앞서서 일차적으로 대학생집단을 대상으로 그 신뢰도와 타당도를 탐색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캘리포니아 언어학습검사(CVLT)는 기존의 기억검사들과는 달리 기억의 다양한 요소와 과정들을 연구하고 측정할 수 있도록 인지과정접근(cognitive process approach)의 입장에서 새로이 개발된 검사로서, 그 유용성과 타당도가 입증되어 현재 외국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기억검사이다. 본 연구자들은 이러한 CVLT의 기존 제작원리를 기본으로 하되 문화와 언어상의 차이를 고려하여 한국인에게 사용할 수 있는 K-CVLT를 새로이 제작하였다. 이같이 만들어진 K-CVLT를 서울, 청주, 포항의 남녀 대학생 150명에게 실시하여 언어성 기억점수(Verbal Memory Score)및 기억과 관련된 다양한 지표들에 대한 표준점수를 제공하는 대학생규준을 산출하였다. Spearman-Brown 반분신뢰도계수는 .92로서 K-CVLT의 신뢰도는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성타당도를 입증하기 위한 요인 분석결과, K-CVLT는 일반적 언어학습능력, 정/오반응변별력, 역행간섭효과, 순행간섭효과, 학습전략 및 학습속도의 6개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음이 밝혀졌는데, 이는 CVLT에 대한 선행연구결과와 일치하는 것으로써 K-CVLT가 CVLT와 같이 기억과 관련된 다양한 과정들에 대한 평가를 가능하게 하는 유용한 도구임을 입증하는 결과로 해석되었다. 후속 표준화 연구를 통해서 다양한 연령층과 환자들에 대한 규준표의 작성과 기타 타당도 연구가 이루어지면 K-CVLT는 임상신경심리학과 정신신경과학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explored the reliability and the validity of our newly constructed verbal memory test, the Korean version of the California Verbal Learning Test (K-CVLT). As a cognitive process approach to memory assessment, the CVLT differs from previous memory tests in that it measures various processes and paramemters of verbal memory in a single test. Despite its short history, the CVLTs validity has been confirmed in many studies involving various subject populations, and has been widely used in the U.S. and Europe. While following the basic principles of the CVLT, we constructed the K-CVLT considering the cultural and language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American people. We gave the K-CVLT to 150 college students in Seoul, Cheongju, and Pohang, and developed the college-student norms including the Verbal Memory Score(VMS) and the standard scores for various memory indices measured by K-CVLT. The estimate of split-half reliability using the Spearman-Brown formula was .92. The validity of the K-CVLT was investigated by factor-analyzing the 19 K-CVLT indices, yielding 6 factors of general verbal learning ability, response discriminability, retroactive interference effect, proactive interference effect, learning strategy, and learning rate. The present results indicate that the K-CVLT is a useful tool for qualitatively assessing various verbal memory processes, strategies, and errors. We believe that the K-CVLT will be of considerable value to many fields such as clinical neuropsychology, experimental cognitive psychology, and neuroscience, when the present study is followed by additional normative and validity studies involving various age- and clinical-subject groups.

누가 왼손잡이인가?: 한국인들의 손잡이(HANDEDNESS) 평가
강연욱(충북대학교 심리학과) pp.97-11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손잡이에 관해서는 매우 "보수적인" 나라인 우리나라의 대학생들과 "자유로운" 나라인 미국의 대학생들과의 비교를 통해서 한국인에게 적절한 손잡이의 분류체계와 평가기준을 발견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858명의 한국 대학생들과 502명의 미국대학생에게 Oldfield 손잡이검사를 실시하였다. 군집분석에 의해서 각 집단을 분류한 결과 한국대학생집단과 미국대학생집단에서 모두 각각 "오른손잡이", "비일관적인 왼손잡이", "일관적인 왼손잡이"로 불릴 수 있는 3집단이 발견되었으나 판별분석을 통해서 밝혀진 각 집단의 세부적인 특성은 서로 달랐다. 즉, 미국대학생집단의 비일관적인 왼손잡이들은 글씨는 왼손으로 쓰지만 공은 오른손으로 던지는 Peters & Servos(1989)의 ILH·CLH분류체계를 지지하는 결과를 보였으나 한국대학생집단의 경우에는 같은 특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한국대학생집단의 비일관적 왼손잡이들은 공을 던지거나 칼이나 가위를 사용할 때는 왼손을 사용하지만 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릴 때, 또는 음식을 먹을 때는 오른손을 사용하였다. 따라서 한국인의 경우 왼손잡이와 오른손잡이를 구분하는 기준이 되는 것은 서구의 자유로운 나라들에서 그 기준으로 사용되고 있는 글씨 쓰는 손이나 밥을 먹는 손이 아니라 공을 던지는 손 또는 칼이나 가위를 사용하는 손이라는 점이 이 연구에서 밝혀졌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회적-문화적 영향으로 손잡이의 표현형이 변화될 수 있으며, 한국과 같은 보수적인 나라에 적절한 손잡이의 분류체계와 기준은 자유로운 나라들에서 타당하다고 인정된 것들과는 다르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find an appropriate classification system of handedness in Koreans. The 10-item Edinburgh Inventory was administered to 858 Korean college students and 502 American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three criteria(writing hand, self-classification, hand preference score), there were significantly lower percentages of left-handers among Koreans than Americans. Especially, the virtual absence of left-hand writers in the Korean sample suggests that, in Korea even more than in other conservative cultures, writing hand would be a poor indicator of overall handedness. Cluster analyses revealed three distinct subgroups of handedness for each sample: Right-handers, inconsistent left-handers, consistent left-handers. For Americans, the dissociation between writing hand and throwing hand was found in the inconsistent left-hander group as Peters & Servos(1989) found in their ILH group. The same dissociation, however, was not found in the Korean sample. For Koreans, the inconsistent left-handers used their right-hand for writing and eating, and left-hand for throwing and other skilled behaviors, while the consistent left- handers consistently used their left-hand not only for throwing and other skilled behaviors but also for eating and writ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consistent and the consistent left-handers found in the Korean sample reflects the dextral pressure on handedness in Korea. If we call this inconsistent left-handers "compliant" left-handers whose preferred hand was partly modified by dextral pressure, we can call the consistent left-handers "stubborn" left-handers who did not or could not change, regardless of the strong social pressure. Discriminant analysis also showed that, for Koreans, "knife", "throw", and "scissors" were the best items for distinguishing the left-handers from the right-handers, whereas "write" , "draw" , and "spoon" were the best items for the Americans. This results provide another substantial evidence that the expression of handedness can be modified by social-cultural influences.

다차원적 대처 척도의 개발
전겸구(대구대학교) ; 김교헌(충남대학교) ; 조신웅(국립목포병원) ; 노명래(순천향대학교) ; 손정락(전북대학교) pp.114-13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개인적, 사회적, 종교적 대처를 포함하는 다차원적 대처 척도의 개발을 시도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3개의 독립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초기에 척도 문항의 선발은 대처에 관한 선험적 모델과, 국내와 국외에서 발표된 대표적인 대처 척도 문항과, 대처에 관한 개방식 질문지 자료 등을 이용하여 작성하였다. 연구 1에서는 230명의 성인에게 122문항으로 구성된 예비 척도를 실시한 결과 36문항으로 구성된 9가지 대처 방식이 신뢰롭고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적절한 문항의 선택은 요인 분석과 내적일치도의 결과에 기초하였다. 연구 2에서는 345명의 대학생에게 90문항으로 구성된 척도를 실시한 결과, 39문항으로 구성된 10가지의 대처 방식이 신뢰롭고 타당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연구 3에서는 811명의 대학생에게 105문항으로 구성된 척도를 실시한 결과 64문항으로 구성된 15가지의 대처 방식이 신뢰롭고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3개의 연구를 통해서 의미있게 나타난 대처 방식은 다음과 같다: (개인적 대처 원), 적극적 대처, 소극적 철수, 정서 표출, 적극적 망각, 고집, 긍정적 해석, 긍정적 비교, 동화, 체념, 자제, 자기 비판, 정서적 진정; (사회적 대처 자원), 문제 해결적 지원 추구, 정서적 지원 추구; (종교적 대처 자원), 종교적 추구. 끝으로 연구 결과를 스트레스와 대처라는 맥락에서 논의를 한 후, 추후 연구를 위한 시사점이 제시되었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develop a multidimensional coping scales, encompassing personal, social, and religious coping. For this purpose, there independent studies were conducted. The initial item pool was generated from both theoretical and empirical approach: a control theoretical model on coping, a variety of domestic and foreign coping scales, and an open questionnaire on stress and coping. In Study 1, participants were 230 adult population, and the item selection was made from 122 initial item pool into 36 items covering 9 coping styles. The examination of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 scale was utilized by factor analysis and Cronbach alpha's. In study 2, the participants were 345 college students. Item selection was made from 90 items into 39 items for 10 coping styles. In study 3, employing another 811 college students as participants, the initial pool of 105 items were narrowed down into 15 coping styles consisting of 64 items. Eventually, the final version of a multidimensional coping scale is composed of personal, social, and religious coping resources: (Personal Coping Resources), active coping, passive withdrawal, emotional expression, active forgetting, perseverance, positive interpretation, positive comparision, accommodation, fatalism, self-criticism, emotional pacification; (Social Coping Resources), problem-solving social support seeking, emotional social support seeking; (Religious Coping Resources), religious seeking. Finally, the present findings were discussed within the context of stress and coping, and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suggested.

스트레스와 대처의 다차원적 관계 분석 (I) : 대학생 집단
전겸구(대구대학교) ; 김교헌(충남대학교) pp.136-15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스트레스의 대처의 세분화되고 다차원적인 관계성을 탐색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생활 스트레스가 불안과 두통에 미치는 부적 영향에 대하여 세부적인 대처 방식의 매개 효과를 살펴보았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은 전국 5개 지역에 거주하는 대학생 1024명(남, 53%,여, 47%)이었다. 연구에서 사용한 생활 스트레스 척도는 대인관계 차원과 당면과제 차원을 다루는 총 8가지 생활 스트레스를 측정하는 대학생용 생활 스트레스 척도이었다. 그리고 대처 척도는 개인적 대처, 사회적 대처 및 종교적 대처를 포함하는 모두 15가지 대처 방식을 측정하는 다차원적 대처 척도이었다. 준거 척도로는 불안과 두통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대학생이 경험하는 8가지의 생활 스트레스 영역 가운데 불안과 두통에 대하여 가치 문제와 친구 관계가 가장 유의한 예언 변인으로 나타났다. (2) 가치 문제와 친구 관계 스트레스가 불안에 미치는 부적 영향에 대하여 대처 방식의 매개 효과를 살펴 본 결과, 소극적 철수, 적극적 망각, 체념, 자기 비판 및 긍정적 해석이 공통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한편, 사회적 지원 추구는 가치 문제(당면과제)에서는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고 친구관계(대인관계)에서만 유의하게 나타남으로써 대인 관계에서 유의하게 작용하는 매개 변인임을 암시하고 있었다. (3) 친구 관계 스트레스가 불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대처 방식의 매개 효과를 성별로 비교한 결과, 남녀 모두 소극적 철수, 체념, 자기 비판 및 정서적 지원 추구가 유의한 대처 방식으로 나타났다. 한편, 여자들은 추가적으로 문제 해결적 지원 추구와 적극적 망각이 유의한 대처 방식으로 나타났다. (4) 가치 문제 스트레스가 불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대처 방식의 매개효과를 종교별로 비교한 결과, 기독교의 경우 종교적 추구, 소극적 철수 및 적극적 망각이 유의한 대처 방식으로 나타난 반면에, 카톨릭의 경우 소극적 철수와 자기 비판, 그리고 불교의 경우 긍정적 해석이 각각 유의한 매개 변인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결과에 대한 해석과 추후 연구를 위한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explored the multidimensional relations between stress and coping. Especially,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mediational effect of the multidimensional coping styles against the negative effects of various life stress on anxiety or headaches. The participants were 1024 college students (male, 53%; female, 47%) located in five areas in Korea. The scales used in this study were multidimensional scales of stress and coping. More specifically, life stress scale was (lover, friend, family, faculty), and task-related life stress (future, value, economy, grade). Coping scale consisted of three dimensions of personal, social, and religious coping resources covering 15 subscales. Criterion measures were anxiety for psychopathology, and headaches for physical pathology. The present study revealed the following results among others: (1) friend-related life stress and value-related life stress were the best predictors on anxiety and headaches. (2) In regard to the effect of friend-related life stress and value-related life stress on anxiety, passive withdrawal, active forgetting, fatalism, self-criticism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mediators. Especially, positive interpretation appeared to be a very effective coping style. In addition,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seeking was only found for friend-related stress which is a kind of relationship-related life stress. (3) Within the context of the relation between friend-related stress and anxiety, passive withdrawal, acceptance, self-criticism, and emotional support seeking were found to significant mediators for both male and female participants. For females, however, problem-solving support seeking and active forgetting were also found to be significant mediators. (4) With respect to the role of religion in the relation between value-related stress and anxiety, passive withdrawal, active forgetting, and religious seeking were found to he significant mediators for Christians, In a similar manner, passive withdrawal and self-criticism were significant mediators for Catholics, while positive interpretation was a significant mediator for Buddhists. Finally,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and implications for future study were suggested.

공황장애의 인지-행동 집단치료 효과와 관련있는 환자의 성격특성
박기환(서울 인지치료 삼담센터) ; 이범용(이범용 신경정신과) ; 권정혜(서울 인지치료 삼담센터) pp.159-16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공황장애환자를 대상으로 인지행동치료를 실시했을 때 환자의 성격특성이 치료효과에 영향을 주는 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총 10회의 인지행동 집단치료를 받은 공황장애 환자 24명을 치료효과가 많은 집단과 치료효과가 적은 집단으로 나누어, 두 집단에 속한 환자의 MMPI변인을 통해 치료효과에 영향을 주는 성격특성을 살펴 보았다. 그 결과, 기본척도에서는 Si(내향성)척도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성격장애척도에서 두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하위척도는 없었다. 내용척도에서는 TRT(부정적 치료예후)척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CYN(냉소성)척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경향성을 보여주었다. 이들 결과를 종합해 보면 대인관계에서의 불편감이나 불신을 상대적으로 적게 느끼는 환자가 그렇지 않은 환자에 비해 치료에 더 좋은 반응을 보인다고 볼 수 있다. 이들 연구결과가 시사하는 바와 본 연구의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panic patients' personality chracteristics which could predict cognitive-behavioral treatment effects. For this purpose, panic patients who participated in 10-session cognitive-behavioral group treatment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 a high Tx response group and a low Tx response group, and pre-treatment MMPI variables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high and the low Tx response group in Si scale, TRT content scale,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sonality disorder scales. There was also a trend for a difference in CYN content scale, but the difference did not reach a significant level of confidence.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patients who had less social discomfort, interpersonal mistrust and negative attitude toward treatment tended to show better responses to cognitive-behavioral group treatment. Implications of the results were discussed in relation to cognitive-behavioral group treatment.

정신분열병 환자의 가족교육 프로그램 개발연구
손명자(계명대학교 심리학과) pp.169-185
초록보기
초록

가족은 정신분열병의 치료경과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가족으로 하여금 환자의 증상행동에 보다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기위해 가족교육 프로그램이 발전되었다. 본 글은 두 부분으고 나누어진다. 첫번째 부분은 미국의 가족교육 프로그램 발달사를 통해 가족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가족개입의 연구결과를 기술하였다. 두번째 두분은 본 연구자가 개발한 가족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정과 그 내용을 소개하였다. 더하여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와 앞으로의 프로그램을 위한 제언을 하였다.

Abstract

Family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course of treating schizophrenia. Family education programs have been developed, with which family could cope more effectively with their relative's symptomatic behaviors. The author has developed a family education program in Korea. This article consists of two parts. In the first part, the author reviewed the development of the American family education program, emphasizing the necessity of family education, and described the outcome of family intervention. The second part introduced the process and the content of the Korean family education program for person with schizophrenia. In addition, the evaluation of the program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were proposed.

만성정신분열증 환자의 직업재활 성공 및 실패에 대한 판별력 연구
김영훈(용인정신병원) ; 한양순(용인정신병원) ; 양익홍(계요병원) pp.186-19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직업재활 프로그램에 참여한 만성 정신분열증환자를 대상으로 MMPI와 KWIS, Rorschach검사를 실시하여 이 검사들이 직업재활 프로그램의 성공-실패 여부를 어느정도 판별해 줄 수 있는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경기도내 Y정신병원에서 직업재활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만성 정신분열증환자 64명(남자 37명, 여자 2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직업재활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환자 중 성공적으로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집단을 '성공집단'으로 구분하고 프로그램을 수행하지 못하거나 중도 탈락자를 '실패집단'으로 간주하였다. 연구 결과 MMPI와 KWIS, Rorschach검사가 직업재활 프로그램의 성공집단을 성공집단으로 판별해주는 정확율(hit ratio) 95.2%이었고 성공집단이 실패집단으로 판별된 가능성은 4.8%였으며 전체 판별예측율은 97.22%이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how much Psychological Tests(the MMPI, KWIS, and RORSOHACH) discriminate and predict about success/failure group to Job Rehabilitation Program in chronic schizophrenics. Subjects were 64 chronic schizophrenics(male 37, female 27) who were participating Job Rehabilitation Program of Y-mental hospital in Kyeng-gi Do. The 'success-group' was successively carried-out and the 'failure-group' was not excute or thrown-up inpatient during Job Rehabilitation Program. Results followed. Discriminant analysis using Psychological Tests(the MMPS, KWIS, & RORSCHACH) classified 95.2% success-group, 4.8% failure-group, and 97.2% of total group correctly.

인지적 교정훈련이 정신분열병 환자의 위스콘신카드분류검사 수행에 미친 효과
진복수(동국전문대학 사회복지학과) pp.198-21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정신분열증 환자의 위스콘신카드분류검사에서 집중적인 교육을 해 준 경우와 수반적 강화를 준 경우가 이들의 과제수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였다. 피험자로는 DSM-IV준거에 의해 정신분열병으로 진단받은 환자 36명과 정상인 1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집중적인 교육을 받은 집단에서 보면, 보속적인 오류와 첫범주를 완성하기 위하여 시도한 시행수가 감소되었고, 정확한 반응율과 완성한 범주수, 개념적 수준 반응율에서는 증가가 나타났으나, 이러한 교육효과가 일주일 뒤에까지 지속되지는 않았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해볼때, 정신분열병 환자의 과제수행에서 집중적인 교육이 이들의 수행결함을 감소시킬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about the influence of intensive training and contingent reinforcement on WCST performance of the patient with schizophrenia. Subjects were 36 persons, schizophrenia diagnosed by psychiatrists based on criteria by DSM-IV and the normal control subjects were 12 persons. Intensive training reduced perseverative errors, number of trials to complete the first category and increased correct responses and completed category, percent conceptual level responses score, but these subject's training effect was not maintained after a week. The results indicate that deficits in performance on the WCST are improvable by intensive training.

부모 훈련을 통한 주의결핍 과잉활동아의 치료 효과 연구
고려원(연세대학교 심리학과) ; 오경자(연세대학교 심리학과) pp.217-23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5세에서 14세 사이의 주의 결핍 과잉 활동 장애(이하 ADHD) 아동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ADHD의 주요 증상과 이로 인하여 발생하는 부모-자녀 간의 문제를 다룰 수 있는 부모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6단계로 구성되어 6주에 걸쳐 주 1회씩 실시한 다음 1달 후의 마무리 모임에서 프로그램에서 배운 행동 수정의 원리와 방법들을 개괄하고 부모들의 수행을 확인하였다. CRT에 의한 평정 결과 아동의 주의력 자체는 크게 향상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충동성은 다소 감소하고 지속적인 주의력이 다소 향상된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들 아동의 어머니들은 아동의 주의 산만도와 과잉활동의 정도, 가정에서의 문제 행동이 프로그램 실시후 의미 있게 감소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부모 훈련 프로그램을 통하여 이들 ADHD 아동의 어머니들의 양육 기술이 향상됨에따라 아동의 응종 행동이 증가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Few researchers have developed parent training program specially for the parents of ADHD children in Korea. In the present study parent training program designed to treat non-compliant behavior of ADHD children was developed and its effectiveness was assessed. Mothers of 15 ADHD children ages 5 to 14 were diveded into three groups and attended group therapy once a week for 6 weeks to be trained to apply behavior modification techniques to problem behaviors in their children. A booster session was conducted 1 month after the 6th session to review mother's performance during the program. The children whose mothers participated in the program were assessed before and after the parent training program using the following measures:CPT, ACRS, CBCL, HSQ. Results showed that the degree of inattention, hyperactivity, and non-compliance in home were significantly redeced following the parent training program. 90% of the mothers reported on Parent's Consumer Satisfaction Scale that behavior problems in their children were improved. However the gains made during the program were considerably reduced at the follw-up, suggesting the need for a more extended program. Results of the study provide a strong case for effectiveness of parent training program as treatment for inattention and hyperactivity in childhood.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