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비순응 행동 및 공격 행동을 치료하기 위한 인지행동치료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2, 3, 4학년으로 부모보고에서 K-CBCL 공격성척도 T점수 62이상, KEDI-WISC IQ 90 이상인 아동 중 부모가 아동의 행동개선을 희망한 34명으로, 이들은 4∼6명으로 구성된 7개의 집단으로 나뉘어 총 15회기의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에 참가하여 그중 29명이 프로그램을 마쳤다. 문제해결기술훈련을 중심으로 구성된 인지행동치료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동들은 사후평가에서 사전평가에 비하여 갈등상황에 대한 문제해결반응을 더 많이 생각해낼 수 있었으며, 치료 회기내의 행동평가에서도 치료진행에 따라 문제해결행동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부모의 평가에서 공격성, 비행 등의 외현적 문제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반면 교사가 평가한 아동의 사회기술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공격행동에 대한 인지행동치료의 효과를 집과 학교 상황에까지 일반화시키고 장기적으로 효과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부모와 교사를 치료에 개입시키는 방안 및 치료 회기를 연장하는 방안이 논의되었다.
The primary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velop and evaluate the effects of cognitive behavioral treatment program for noncompliant and aggressive behavior in children. Thirty four children between the 2nd and 4th grade in the elementary school with K-CBCL Aggressive Scale T score above 62 and IQ above 90 formed, 7 treatment groups with 4-5 children each and participated in the cognitive behavioral treatment(CBT)program. Of the 34 children, 29 completed the 15 session program consisting primarily of problem solving skills training. The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CBT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number of problem solving responses to hypothetical conflict situations at the post-test and in problem solving behaviors within treatment sessions with the progress of treatment. The CBT children also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K-CBCL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 score.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teacher-rated social skills. The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a need to explore ways to strengthen treatment intensity so as to ensure generalization and long term maintenance of treatment effects.
본 연구에서는 결혼생활에서 경험하는 우울증상과 부부간 의사소통 행동의 관련성을 알아보고, 결혼생활만족도, 자아존중감을 통제한 상태에서 우울증상이 고유하게 부부간 의사소통 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63쌍의 부부를 대상으로 자기보고설문과 구조화된 진단면접을 실시하여 임상적 우울집단(11명)과 정상집단(96명)을 구분하였고, 부부간 갈등문제에 대해 논의하는 내용을 녹음한 자료에서 나타난 의사소통 행동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전체 피검자들을 대상으로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남성의 경우 우울증상은 결혼생활만족도, 자아존중감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자아 존중감은 긍정적 의사소통 행동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여성의 경우 우울증상은 결혼생활만족도, 부정적 의사소통 행동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임상적 우울집단과 정상집단의 부부간 의사소통 행동을 비교하였을 때, 남성 우울집단은 정상집단에 비해서 긍정적 의사소통 행동을 더적게 나타냈는데, 결혼생활만족도, 자아존중감을 통제한 상태에서도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여성 우울집단은 정상집단에 비해서 부정적 의사소통 행동을 더 많이 나타냈는데, 결혼생활만족도, 자아존중감을 통제한 상태에서는 유의미한 효과가 없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ve symptoms and marital communication behaviors, and to examine the independent effect of depression on communication behaviors in controlling the effects of marital satisfaction and self-esteem. Subjects were a community sample of sixty-three couples married for seven years or less. 11 depressive group and control group were determined by self-report questionnaire(CES-D) and structurized clinical interview(SADS). After filling out the questionnaire, each couple discussed about their own problems for about 30∼45 minutes. Their discussions were tape-recorded and used as observational data. Results show gender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ve symptom and marital communication behavior. In cases of husbands, depressive symptom has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with marital satisfaction and self-esteem. And self-esteem is related to the positive communication behavior. In cases of wives, depressive symptom has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with marital satisfaction and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negative communication behavior. Also, results show differences between depressive group and normal group. Depressive husbands express positive communication behavior less than normal husbands, and depressive symptomatology has an independent effect even when the effects of marital satisfaction and self-esteem were controlled as covariates. Meanwhile, depressive wives express negative communication behavior more than normal wives. In wives, depressive symptomatology doesn't have an independent effect in controlling the effects of marital satisfaction and self-esteem as covariates. Only marital satisfaction itself has a significant effect on negative communication behaviors.
본 연구에서는 한국판 신체감각 증폭척도와 증상해석 질문지를 개발해 그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222명의 대학생과 50명의 정신과 환자 및 55명의 정상성인들을 대상으로 α 계수, 반분 신뢰도 계수, 검사-재검사 신뢰도, 문항-총점 간 상관을 구했다. 그 결과 중상해석 질문지의 신체 귀인과 정서 귀인 척도는 내적 일관성이 높았지만, 중성 귀인 척도는 정상인을 대상으로 할 때 내적 일관성 신뢰도가 다소 낮았다. 또 신체감각 증폭척도도 정신과 환자를 대상으로 할 때 신뢰도가 다소 낮았다. 타당도를 보면, 두 척도 모두 SCL-90-R의 신체화 척도, 건강 염려증 척도와 상관이 큰 것으로 나타나 공존 타당도가 확인되었다. 연구 대상 집단에 따라 일부 문항들의 신뢰도가 낮게 나타났지만, 전반적으로 신뢰도와 타당도가 양호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iabil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s of Somatosensory Amplification Scale and Symptom Interpretation Questionnaire. These scales were administerd to 222 college students, 50 psychiatric patients, and 55 normal adults. Alpha-coefficient, split-half coefficient, test-retest reliability, and item-total correlation were calculated. The results showed that internal consistencies of somatic and emotional attribution scale of Symptom Interpretation Questionnaire were good, but that of neutral attribution scale was somewhat insufficient, particularly in normal adults. And internal consistency of Somatosensory Amplification Scale was low in psychiatric patients. The concurrent validities of two scales were good. Some items were somewhat unreliable, but overall reliabilties and validities of the two scales were good.
본 연구에서는 신체화 환자들의 신체감각과 증상에 대한 인지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정신과 환자들을 대상으로 두개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1은 신체화 환자들이 사소한 신체증상을 신체적인 원인과 정서적인 원인에 귀인하는 경향이 더 크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한 신체 귀인, 정서 귀인, 그리고 신체감각을 증폭해서 지각하는 경향성이 신체증상의 정도와 유의미한 상관이 있음이 밝혀졌다. 그리고 정신과 환자들의 신체증상의 정도를 설명하는데, 신체 귀인과 정서 귀인이 유의미한 설명 변인이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연구 2에서는 텍스트 기억 과제에서 신체화 환자들이 비신체화 환자에 비해 신체증상과 관련된 기억을 더 확신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신체화 환자들의 이같은 기억 편향은 신체증상과 관련된 인지도식이 잘 구조화되어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 결과들은 신체화를 이해하기 위해 여러 인지 특성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주었으며, 신체화의 심리적인 기제를 이해하는것 뿐 아니라, 인지 치료에도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ese studies was to investigate the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bodily sensations or symptoms in somatization patients. In Study 1-1, the results showed that somatization patients attributed common bodily symptoms to bodily abnormality and emotional causes rather than situational causes. The results of Study 1-2 showed that somatic attribution, emotional attribution, and somatosensory amplification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somatization score. And somatic attribution and emotional attribution were found to be good predictors of somatization in somatization patients. Study 2 confirmed the hypothesis that somatization patients are better at remembering experiences related somatic symptoms. The memory bias in the somatization patients suggested that the cognitive schema related to body-related experiences was well-structured.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demonstrated that various cognitive characteristics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somatization. It is, therefore, necessary not only to understand the psychological mechanisms of somatization but also of cognitive therapy. Finally, limitations of these studie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대인불안 집단의 자기관련적 정보처리의 특성을 검증하기 위한 것으로서, 2개의 실험으로 구성되었다. 실험 1에서는 대인불안 집단의 지속적인 자기관련적 정보처리의 특성을 알아보았다. 실험2에서는 사회적-평가적 스트레스 상황에서 대인불안 집단의 자기관련적 정보처리의 특성을 알아보았다. 제시된 단어들을 사회적 위협 단어들과 비위협 단어들로 나누었으며, 실험 과제는 변형된 처리의 깊이 파라다임을 활용한 의미적, 사적 자기관련적 및 공적 자기관련적 과제이었다. 실험 1에서 대인불안 집단은 다른 처리 조건에 비해서 사적 자기관련적 조건에서 단어들을 가장 많이 회상하였다. 실험2에서 대인불안 집단은 다른 처리 조건에 비해 공적 자기관련적 처리 조건에서 단어들을 가장 많이 회상하였다. 예언과는 달리, 사회적-평가적 상황에서 대인불안 집단이 공적 자기관련적 처리를 한 사회적 위협 단어들을 더 많이 회상하지 않았다. 실험 1과 실험 2의 결과를 비교하여 대인불안 집단의 자기관련적 정보처리의 특성에 대한 시사점, 본 연구의 제한점 및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self-relevant information processing characteristics of socially anxious individuals in no stress condition(experiment 1) and social-evaluative stress condition(experiment 2). A modified self-referent depth-of-processing paradigm was employed. Stimulus adjectives were classified into social threat words and non-threat words. In experiment 1, socially anxious students showed greater recall of words in private self-referent condition than any other conditions. In experiment 2, socially anxious students showed greater recall of words in public self-referent condition than any other conditions. Inconsistently with the prediction in experiment 3, socially anxious students did not show greater recall of social threat words in public self-referent condition than any other conditions. Additionally, some implications of present results and methodological issues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우울과 불안 관계에 대한 3원 모델(Tripartite Model)을 기초로 하여, 정동성과 스트레스 유형이 우울과 불안의 공통 증상과 특정 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첫째, 성격적 취약성 요인으로서 정동성의 역할을 검증하였다. 둘째, 인지 내용-특정성 가설에 따른 특정 스트레스 유형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여자 대학생 360명을 대상으로 기분 및 우울 증상 질문지를 사용하여 불안과 우울의 공통 증상과 특정 증상을, 정동성 척도와 스트레스 질문지를 사용하여 정동성과 스트레스 경험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불안과 우울의 공통 증상의 취약성 요인으로서 부적 정동성의 역할과 우울 특정적 증상의 취약성 요인으로서 낮은 정적 정동성의 역할이 확인되었다. 미래 해/위험 스트레스는 부적 정동성이 중간 수준인 집단에서 부적 정동성과 상호작용하여 불안 특정적 증상의 상승을 가져왔다. 부적 정동성이 높거나 낮은 집단에서는 부적 정동성과 미래 해/위험 스트레스가 각각 독립적으로 불안 특정적 증상을 설명하였다. 우울 특정적 증상에 대하여는 과거 상실/실패 스트레스와 부적 정동성의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나지 않아 두 변인이 각각 독립적으로 우울 특정적 증상을 설명하였다. 과거 상실/실패 스트레스는 우울 특정적 증상에 대해서만 유의미한 예언 변인으로 나타나 인지 내용-특정성 가설이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긍정적 사건의 결핍은 우울 특정적 증상에 특히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와 관련한 임상적 함의를 인지 치료와 행동 치료의 관점에서 논하였으며,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향후 연구 방향에 관한 시사점들이 언급되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ffectivity and types of stress on common and specific symptoms of depression and anxiety based on the tripartite model of depression and anxiety. First, it tested the role of affectivity as a vulnerability factor. Second, it examined the effects of specific types of stress according to cognitive content-specificity hypothesis. Common and specific symptoms of depression and anxiety were measured with Mood and Anxiety Symptoms Questionnaire. Affectivity and stress were also measured with Negative Emotionality Scale and Positive Emotionality Scale and Stress Questionnaire. 360 female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for the study. The results showed that negative affectivity(NA) acted as a vulnerability factor for common symptoms of depression and anxiety and low positive affectivity(PA) acted as a vulnerability factor for depression-specific symptoms. Stresses including future harm and danger increased the level of anxiety-specific symptoms in interaction with NA among individuals who have moderate level of NA. In contrast, among the groups of high and low NA, NA and stresses including future harm and danger did not interact, predicting anxiety-specific symptoms independently. There was no interaction of NA and stresses including past loss and failure on depression-specific symptoms. They predicted depression-specific symptoms independently. Stresses including past loss and failure predicted only depression-specific symptoms, thus partly supporting cognitive content-specificity hypothesis. Lack of positive events predicted depression-specific symptoms above all other symptoms. Finally, clinical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in view of cognitive and behavior therapy.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 for future research were also discussed.
성격장애 진단의 기술 타당도를 수립하기 위해서는 성격병리의 기술 위계상 하위 특질들의 체계적인 확인과 규명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에 관한 연구는 극히 제한적으로만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성격병리에 기저하는 하위 특질들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황순택(1995)의 연구에서 제작된 자기보고형 성격장애 평정척도의 문항들을 카드로 제작하여 138명의 대학생 참가자들에게 "동일한 사람에게 나타날 수 있는, 유사한 내용들"을 함께 묶게 하였다. 이 자료로 결합확률 행렬표를 만들어 주성분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30개의 성분을 추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추출된 성분, 즉, 성격병리 하위 특질들을 선행연구들에서 나타난 성격병리 하위특질들과 비교하고, 연구의 방법, 의의, 활용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To describe personality pathologies, lower level traits in the hierarchy of personality pathologies are needed. There have been however, few studies to examine the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lower level traits necessary to describe personality pathologies. 157 items of the Personality Disorder Rating scale(Hwang,1995) were sorted in terms of "content similarity" or "content co-occurrence" by 138 layman participants. The data were transformed to co-occurrence probability matrix. 30 components were of personality pathologies identified by means of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of the matrix, and compared with those of previous studies. The methodology, implications, and applic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내 초등학교 3학년 학생 중 한글 독해 장애 아동 12명과 정상 아동 12명에게 문장폭 과제, 단기기억 과제, 단어 읽기 과제, 유사단어 읽기 과제, 글자 읽기 과제, 조음 속도 과제, 그리고 통사 처리 과제를 실시하였다. 연령과 전체 지능을 공변인으로 하여 공변량 분석을 하였을 때 독해 장애 아동은 정상 아동에 비해 단기기억과 작업기억 용량이 작고, 유사단어 목록의 읽기 속도와 조음 속도가 느리고, 글자 읽기 과제와 문장폭 과제에서의 정오 판단에서 오류가 많았다. 그러나 통사 처리 과제에서는 집단간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그리고 독해 장애 연구의 중요성을 논의하였다.
The performance of 12 3rd grade children with reading-comprehension disablility(RD) and 12 normal children was examined on tasks assessing working memory, short-term memory, wordreading, syllable reading, articulation speed, and syntactic processing. Analysis of variance with age and full-scale IQ covariated showed that children with RD had smaller working memory span and short-term memory span, needed more time for familiar words and pseudo-words reading, and showed slower articulation speed than normal children. And they made more errors in syllable reading and sentence-span task. But in syntactic process task,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children with RD have smaller memory span and/or phonological processing deficit, and that these two factors would contribute summatively to RD.
본 연구는 두부외상으로 인한 기질성 정신장애 환자(이하 두부외상 환자라 표기)를 대상으로 K-WAIS 분산도 분석을 통해 인지기능의 특징을 알아보았다. 피검자는 1994년 3월부터 1996년 12월까지 원광대학교병원 신경정신과에 내원한 입원 및 외래 환자로 두부외상 환자집단 150명, 정신분열병 환자집단 90명이었다. 이들 두 집단에 대해 성별 분포와 연령 및 교육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두부외상 환자집단과 정신분열병 환자집단에 대해 각각 소검사 환산점수들과 언어성 IQ, 동작성 IQ, 전체 IQ의 평균과 표준편차, 두 집단에 대한 t검증, 각 소검사 환산점수들을 바탕으로한 전체 소검사 평균 분산도 분석, 언어성 및 동작성 검사 평균 분산도 분석, 어휘문제 분산도 분석을 통하여 각 소검사들의 이탈 정도를 알아보았다.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두부외상 환자와 정신분열병 환자의 인지적 특성과 연관지워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K-WAIS subscale scatter analysis of patients with organic mental disorder due to head trauma. Subjects were 150 organic mental disorder patients and 90 schizophrenic patients who were hospitalized in or visited as outpatients the Wonkwang University Hospital during the period from the March of 1994 to December of 1996.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in sex ratio, age or educational levels. The two groups of head trauma patients and schizophrenic patients were compared on the means and standard deviation of VIQ, PIQ, FSIQ, subtests, t-test each other and the magnitude of scatter was examined through vocabulary subtest scatter analysis, full subtests mean scatter analysis, and verbal and performance test scatter analysis. The results were discussed with reguard to the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head trauma patients and schizophrenic patients.
본 연구는 전산화 신경심리평가 도구인 STIM의 유용성과 타당성, 제한점을 검증하기 위하여, 외상성 뇌손상 환자 중 뇌영상 검사상 병변이 확인된 병변군 30명과 병변이 확인되지 않은 비병변군 32명, 정상대조군 30명을 대상으로 STIM의 소검사 중 수지력검사, 시각지속수행검사, 공간기억검사, 주의전환검사, 범주화검사, 카드분류검사와 지능검사(KWIS)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병변군과 비병병군은 정상군에 비해 전체지능이 유의하게 낮았으며, STIM검사 결과에서도 병변군은 미세운동협응력, 정신운동속도, 지속적, 선택적 주의집중력, 단기기억력, 고차적 인지기능이, 비병변군은 미세운동협응력, 정신운동속도, 고차적 인지기능이 정상군에 비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STIM의 소검사와 KWIS의 소검사 간의 교차 타당도 분석결과, 6개의 소검사 각각 미세운동협응력, 지속적 주의집중력, 시공간적 단기기억력, 선택적 주의집중력, 비언어적 추론능력과 관련되는 KWIS 소검사들과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전체지능, 연령, 교육연한 등의 가외변인들과 STIM 소검사 수행과의 상관분석 결과에서는 세 변인 모두가 시각지속수행검사, 공간기억검사, 범주화검사, 카드분류검사와 유의한 상관을 보였으며, 수지력검사와 주의전환검사에서는 상관이 낮았다. 본 연구 결과, 전산화 신경심리검사인 STIM이 검사도구 상의 문제와 한글로 제시되는 언어성 소검사가 부족하다는 제한점을 가지고 있지만, 외상성 뇌손상 환자들의 인지기능 상의 장애영역을 평가하는데 비교적 유용한 검사임이 입증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the usefulness, validity and limitations of computerized neuropsychological test, STIM. Subjects were 30 traumatic brain-injury patients with CNS leisons in brain-imaging test findings - MRI or CT - and 32 patients without CNS leisons, and 30 normal control group. Among the subtests of STIM, finger-tapping test, visual continuous test, spatial memory test, attention switching test, categories test, and Wisconsin card-sorting test and KWIS were performed by all subjects. Total I.Q. of leisoned patients group and non-lesioned patients group were lower than normal control group. In the result of 6 subtests of STIM, fine motor coordination, psychomotor speed, continuous and selective attention, short-term memory, and high cognitive functioning of lesioned patients group and fine motor coordination, psychomotor speed, and high cognitive functioning of non-lesioned patients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normal control group. In the cross validity analysis with the subtests of STIM and the subtests of KWIS, each subtest showned hign correlation with the cognitive functioning that was theoretically supposed to be assessed by the test. In correlation analysis of the extra variables, total I.Q., age, and education with the subtests of STIM, these three extra variables ha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visual continuous test, spatial memory test, categories test, and WSCT, but did not have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finger-tapping test and attention switching test. Although there were some limitations of the problems of tools and lack of Verbal subtest for Korean version, this computerized neuropsychological test battery was proven to be very useful in assessment of the impaired cognitive funtioning domain of traumatic brain-injury patients.
본 연구는 자극유형이 측두엽 간질환자의 와다기억검사 결과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약제내성 난치성 측두엽 간질환자 중 간질수술 후 1년 이상의 추적관찰에서 수술성적이 양호한 자만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43명이 연구에 포함됐는데 이 중 26명은 좌측두엽 간질환자였고 17명은 우측두엽 간질환자였다. 기억자극은 내경통맥 amobarbital 주입으로 뇌반구가 마취된 상태에서 제시하였고 마취가 해소된 뒤 재인기억검사를 실시하였다. 일부 환자는 구상화 자극으로 검사를 실시하였고 다른 일부는 추상화 자극으로 실시하였다. 간질반구의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는데 좌측두엽 간질환자는 우뇌기억이 더 우수하였고 우측두엽 간질환자는 좌뇌기억이 더 우수하였다. 자극유형의 효과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는데 구상적 그림의 기억은 좌뇌가 더 우수하였고 추상적 그림의 기억은 우뇌가 더 우수 하였다. 이 결과는 병소부위와 더불어 자극유형이 와다기억검사 결과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임을 보여준다.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timulus type on Wada memory results. The subjects were 43 patients with medically intractable temporal lobe epilepsy (TLE) who had a good seizure outcome following epilepsy surgery. Of these, 26 had the epileptogenic foci in the left temporal lobe and 17 in the right temporal lobe. The Wada memory stimuli were concrete figures for 23 subjects and abstract figures for the other 20 subjects.. The stimuli were presented during effects of amobarbital and follow-up memory testing was performed using a yes-no recognition method. The left TLE group demonstrated better recall following left than right hemisphere injection, whereas the right TLE group scored higher following right than left hemisphere injection. The left hemisphere was superior to the right hemisphere for recognition memory of concrete figures, whereas the right hemisphere was superior to the left hemisphere for recognition memory of abstract figure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stimulus type as well as seizure lateralization is a major determinant of Wada memory asymmet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