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메뉴

권호 목록

한국형 아동기 자폐증 평정척도의 표준화연구: 신뢰도, 타당도 및 진단분할점 산출
신민섭(서울의대 정신과학교실) ; 김융희(서울여대 아동학과) pp.1-1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한국형 자폐증 평정척도(K-CARS)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한 후, 자폐 장애 진단을 위한 분할점(cut-off score)을 산출하고, 그러한 분할점을 적용시 발생할 수 있는 분류 오류율에 대해 알아보았다. 서울대학병원 소아정신과에서 소아정신과의사와 임상심리학자에 의해 진단받은 자폐장애 아동 10명, 비전형 자폐 장애와 Asperger장애 아동 32명, 의사소통 장애 아동 31명, 그리고 정신지체 아동 24명, 총 97명의 아동이 본 연구에 피험자로 참여하였다. 네 임상집단 아동들의 母나 주양육자에게 K-CARS와 사회 성숙도 검사(SMS)를 개별적으로 실시한 후, K-CARS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K-CARS가 자폐 장애를 진단하는데 매우 신뢰롭고 타당한 검사인 것으로 나타났다. K-CARS의 내적 일치도 계수는 .87이었으며, 20명 아동에 대한 평정자간 상관계수는 .94로 높은 일치도를 보였고, 10명 아동에 대한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91인 것으로 나타났다. K-CARS총점과 SMS에서 산출된 사회지수(SQ)와의 상관계수는 -.41이었고, EWHA-PEP 발달 연령과의 상관계수는 -.53으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이었다. 요인분석 결과, 3개 요인- "사회성-의사소통", "제한되고 반복적인 상동적 행동', "특이한 감각반응" -이 추출되었는데, 이는 자폐 장애 아동들이 보이는 핵심적인 증상과 정확히 일치하므로 K-CARS의 구성 타당도를 입증해주는 결과이다. K-CARS의 평균치상에서 자폐 장애 > 비전형 자폐 장애 > 정신 지체 > 의사소통 장애 집단 순으로 높은 접수를 보였고, K-CARS 15문항중 11개 문항이 자폐 장애 범주와 비-자폐 장애를 변별하는데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빗 분석을 이용하여 "자폐증 스펙트럼에 속하는 장애"와 "비-자폐증에 속하는 장애"를 구분하는 분할점을 산출한 결과, K-CARS 28점이 자폐 장애와 비-자폐 장애를 구분하는 분할점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입각하여 분류할 경우에, 실제로 자폐 장애인데 자폐 장애가 아니라고 잘못 진단할 부정오류율은 26.2%, 자폐 장애가 아닌데 자폐 장애라고 잘못 진단할 긍정오류율은 14.5%, 전체 분류적중율은 80.4%로 비교적 양호한 편이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Childhood Autism Rating Scale(K-CARS), and to determine it's cut-off scores in diagnosing autism. Subjects consisted of the following four clinical groups: 10 autistic children, 32 PDD NOS children, 31 communication disordered children, and 24 MR children within the age range of 24 to 80 months. K-CARS and SMS were administered to mothers of all clinical groups by clinical psychologists. Analysis of data revealed that K-CARS has inter-rater reliability of .94, internal consistency of .87, and test-retest reliability of .91, indicating that K-CARS is a highly reliable test. K-CARS total scores correlated negatively with SQ of the Social Maturity Scale and DQ of the EWHA-PEP. Three factors were revealed through factor analysis of K- CARS, which were labelled "socialization-communication", "repetitive-stereotyped behavior", and "unusual sensational response" factor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autistic group(autistic disorder and PDD NOS) and the non-autistic group(communication disorder and MR) on K-CARS total scores. These results strongly support the construct and discriminant validity of K-CARS. For further evaluation of the discriminant validity of K-CARS, the discriminant power of each item was calculated, and 11 of the 15 items discriminated significantly the autistic from the non-autistic group. The cut-off score for diagnosing autism was found to be twenty-eight, which classified 73.8% of the autistic group and 85.5% of the non-autistic group correctly. The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nd further issues for the future study were discussed.

자기심리학과 게슈탈트 심리치료의 대화
김정규(성신여자대학교) pp.17-38
초록보기
초록

자기심리학과 게슈탈트 치료는 둘다 정신분석적 뿌리에서 나왔고 또한 현상학적인 배경을 갖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유사하다. 한편, 게슈탈트 치료는 발달이론 부분에서 이론적 체계가 다소 미흡한데 이를 자기심리학과의 대화를 통해서 보완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먼저 자기심리학과 개인간 주관성이론의 이론적 배경들을 간단히 살펴본 후, 자기대상, 자기대상 욕구, 자기대상 전이, 불변적 조직화원리 등 두 이론의 주요개념들을 소개하였다. 그리고 나서 자기심리학과 개인간 주관성 이론 그리고 게슈탈트 치료 간의 대화 필요성 그리고 이들 이론의 게슈탈트 치료에의 수용에 따른 문제점들에 대해 논의하있다. 마지막으로 자기심리학 및 개인간 주관성 이론과 게슈탈트 치료 간의 차이점에 대해, 그리고 게슈탈트 치료의 독특성 및 정체성에 대해 기술하였다.

Abstract

Self psychology and Gestalt therapy are similar in that both theories stem from the common roots of psychoanalysis and have also a phenomenological background. A group of gestalt therapists have pleaded for the necessity of a dialogue with self psychology hoping to compensate the developmental theory of which the gestal therapy still much lack. This article surveyed the major issues of self psychology and intersubjective theory, which is a new stream of self psychology, and introduced such concepts as selfobject, selfobject need, selfobject transference and invariant organizing principles. After this the author discussed the necessity of a dialogue among these three theories together with the problems that arise in the reception of these theories into Gestalt therapy. Finally the differences between Gestalt therapy and the other two theories were pointed out and the uniqueness and identity of Gestalt therapy were described.

한국심리치료자들의 치료적 관계 - 서구 문화적 심리치료자들과의 비교 연구 -
주은선(덕성여자대학교) pp.39-56
초록보기
초록

본 논문은 심리치료자들에 관한 주요 국제 연구인 "심리치료자 자질계발을 위한 국제연구(International Study of the Development of Psychotherapist; ISDP)" 의 한 부분으로 이 중에 "심리 치료적 관계 (therapeutic relationship)"에 초점을 둔다. 이제까지의 임상연구를 살펴보면, "심리 치료적 관계" 요인은 다양한 치료법과 상관없이 심리 치료 결과 (outcome) 에 있어서 가장 주요한 변인으로 연구되어졌다. 서구의 심리치료개념이 도입된 지 50년이 넘었으나 한국의 심리치료자들에 관한 구체적인 연구가 부족하기에 최초의 국제비교 연구인 본 논문은 그 의의가 크다 할 수 있겠다. 논문의 연구 주제는 "한국 심리치료자들은 다른 문화권의 치료자들과 비교해서 환자/내담자와의 치료적 관계를 어떻게 경험할까"로 치료적 관계 차원 (dimensions)에 대한 개념 비교, 구체적인 관계차원에 대한 강조의 정도 (emphasis within specific dimensions)가 주요 초점이라 볼 수 있겠다. 공통 핵심 질문지 (Common Core Questionnaire; CCQ)를 사용하여 2,253명의 서구문화권 (벨기에, 프랑스, 독일, 스위스, 미국 등) 심리 치료자들과 123명의 한국심리치료자들을 대상으로 치료적 관계에 해당되는 문항에 대한 반응을 요인 분석(factor analysis)한 결과, 공통관계 유형을 "지지 적인(supportive)," "돌 봐주는(care-taking)," "독재적인/권위적이고 일방적인 (autocratic)," "형식적인(formal)," "몰입된(invested)"의 다섯 가지로 정립할 수 있었다. 위계적 회귀 모델(hierarchical regression model)의 통계 방법을 사용하여 한국 치료자라는 변수와 서구 치료자의 변수가 관계 유형에 어떤 차이를 미치는가를 분석한 결과. "몰입된" 관계 유형과 "형식적인", "돌 봐주는(care-taking)"면에서 한국 치료자와 서구 치료자들이 통계적으로 유의 있는 차이를 보고하였다. 본 논문에서 개인적인 몰입이란 환자를 대하는데 있어서 헌신적이고, 의욕적인 몰입을 의미하고, 형식적인 관계란 냉정하고 내성적으로 대하는 것을 뜻하고, 돌봐주는 관계란 허용 적이고 보호 적이며 아량 있는 관계를 의미한다. 한국 치료자들은 환자들을 대할 때 개인적인 몰입을 적게 하고, 환자와의 관계형성에 있어서 형식적이나 돌봐줌이 높은 관계라고 보고하고 있다.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sychotherapeutic relationship as it is experienced by psychotherapists in Korea, using a comprehensive questionnaire designed for a major cross-national survey of mental health professionals and translated into Korean by the author. The study focuses on those sections of the questionnaire concerned with the therapeutic relationship because that aspect of therapy is common to various treatments and has been shown by much previous research to be linked to therapeutic outcome. The researcher used data collected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to examine the question: To what extent are psychotherapists in Korea different from therapists in other countries in the way they experience their professional relationships with patients? Comparative analyses will focus both on the definition of relationship dimensions and on levels of emphasis within specific dimensions. Five common scales were constructed using descriptors derived from the factor analyses: "Supportive", "Care-Taking", "Autocratic" (Confronting, Directive, Superior), "Formal", and "Invested". Using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to assess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Western therapists quantitatively on the five common relationship dimension suggest that Korean and Western therapists differed most in how personally "Invested" they felt, and in how "Formal" and "Care-Taking" they saw themselves. The Korean therapists in this sample rated themselves as significantly less "Invested", and as significantly more "Formal" , yet also significantly more "Care-Taking" than their Western counterpar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Western therapists in how "Supportive" they perceived themselves to be, and just a margin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how "Autocratic" they perceived themselves to be.

생활사건에 대한 합의성 지각 및 객관적 합의성 정보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이영호(가톨릭대학교 심리학과) pp.57-6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우울증에 대한 귀인적 이론에 기초하여, 개인이 경험하는 부정적 생활사건이 지니고 있는 객관적 합의성 정보와 각 개인이 판단하는 주관적 합의성 지각이 개인의 우울 증상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아울러 논란이 되고 있는 우울한 사람들이 우울하지 않은 사람들보다 사실주의적인 판단을 한다는 입장을 검증하기 위해 우울 집단과 비우울 집단의 합의성 지각의 정확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14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무망감우울증척도, 합의성 지각 측정을 포함한 스트레스사건경험질문지, 그리고 생활사건귀인질문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객관적 합의성 정보는 우울을 예언하는 경향성을 보였으나, 주관적 합의성 지각은 우울을 예언하지 못하였다. 부정적 생활사건에 대한 귀인은 객관적 합의성 정보가 우울을 예언하는 경로에서 매개 변인의 역할을 한다는 모형이 검증되었다. 한편 비우울집단이 우울집단에 비해 합의성 지각에서 더 정확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들이 우울증에 대한 귀인적 이론과 인지왜곡 이론의 관점에서 논의되었으며, 본 연구의 제한점과 미래 연구를 위한 시사점들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attempted to test the effects of consensus perception and objective consensus information of negative life events on depression in the context of attributional theory. And this study attempted to test whether depressives have realistic consensus perception. The results of cross-sectional data from 214 college students showed that objective consensus information of negative life events tended to predict depression but consensus perception did not. The mediation effect of event-attribution between objective consensus information and depression was significant. Nondepressives showed more accurate consensus perception than depressives.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in terms of the attributional theory and the cognitive distortion theory of depression. The limitations and th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es were also discussed.

실제자기 수준, 이상적 자기 수준 및 자기불일치 수준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최정원(가톨릭대학교 심리학과) ; 이영호(가톨릭대학교 심리학과) pp.69-8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자기불일치 이론(Higgins, 1987)에서 제안하고 있는 실제 자기(actual-self)와 이상적 자기(ideal-self)간의 불일치가 우울과 관련되는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다각적인 관점에서 우울에 대한 이해를 얻기위해 자기불일치와 함께 실제자기, 이상적 자기 각각이 우울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비교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313명을 대상으로 Higgins 자기질문지와 Hoge & McCarthy 척도를 사용하여 실제자기, 이상적 자기, 자기불일치의 수준을 측정하였으며, Beck 우울 척도 우울형용사 체크리스트 무망감 우울증 척도를 사용하여 우울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우울 집단이 비우울 집단에 비해 자기불일치 수준이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실제자기 수준은 유의미하게 낮았다. 그러나 이상적 자기 수준에서는 두 집단간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회귀분석 결과 실제자기 수준이 우울을 유의미하게 예언하였고 다른 두 변인의 설명변량은 매우 작거나 유의미하지 않았다. 그리고 높은 자기불일치가 지나치게 높은 이상적 자기에 의한 것인지 또는 지나치게 낮은 실제자기에 의한 것인지를 알아보기 위한 탐색적 분석 결과는 자기불일치가 주로 낮은 실제자기 수준에 의한다는 것을 시사해 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들이 우울에 대한 자기불일치 이론, Beck의 인지적 이론 및 완벽주의 이론의 관점에서 논의되었으며, 본 연구의 제한점 및 미래 연구에 대한 시사점들이 언급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was intended to test self-discrepancy theory assumed that self-discrepancy between actual self and ideal self is related to depression(Higgins, 1987). Furth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actual self and ideal self which are components to measure self-discrepancy on depression. Three hundred and thirteen undergraduat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 measured the self-discrepancy, the level of actual self, the level of ideal self by the Higgins' selves questionnaire and Hoge & McCarthy's scale. And depression was measured with Beck Depression Inventory, Depression Adjectives Check List, Hopelessness Depression Scal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epressed group showed higher level of self-discrepancy than the nondepressed group. Second, the depressed group showed lower level of actual self than the nondepressed group, but there was no group differences on the level of ideal self. Finally, as the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entering hierarchically the actual self, self-discrepancy, ideal self, the actual self was most accountable for depression. And the results of exploratory analysis showed that self discrepancy was mostly related to the level of actual self. In addition, the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self-discrepancy theory, cognitive theory and the view of perfectionism.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es were discussed.

역기능적 태도, 생활사건, 자동적 사고와 편집증 및 우울의 관계
이훈진(한림대학교 심리학과) pp.89-10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역기능적 태도와 자동적 사고, 생활사건경험, 그리고 자기개념이 편집증과 우울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았다. 대학생 331명에게 역기능적 태도 척도, 자동적 사고 질문지, 생활사건경험질문지, 편집 척도, Beck 우울척도, 자기개념 척도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자동적 사고와 자기개념은 우울, 편집증 모두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었으나, 자동적 사고의 경우 편집증보다는 우울증에서 관련성이 높았다. 생활사건 경험의 경우 우울에 대해서만 직접적인 영향이 있었다. 역기능적 태도는 우울보다는 편집성향과 관련이 높았다. 역기능적 태도의 중재가설은 우울, 편집 모두에서 확인되었으나 그 점도가 미약했고, 자동적 사고의 매개가설은 우울증에서만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앞으로의 연구방향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tial roles of dysfunctional attitudes, automatic thoughts, life events experience, and self-concepts in depression and paranoia. The Dysfunctional Attitudes Scale, the Automatic Thoughts Qestionnaire, the Life Events Experience Questionnaire, the Paranoia Scale,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 the Self-concept Scale were administered to 331 college studen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utomatic thoughts and the self-concepts were directly related to depression and paranoia. But, automatic thoghts more highly related with depression than paranoia. The life events experiences were exclusively related to depression. The dysfunctional attitudes were more highly related to paranoia than depression. The moderating hypothesis of dysfunctional attitudes was weakly confirmed in both paranoia and depression. And, the mediating hypothesis of automatic thoughts was exclusively confirmed in depression. The suggestions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s of future study were discussed.

편집증 집단과 우울증 집단의 자기개념과 타인개념 및 귀인양식
이훈진(한림대학교 심리학과) ; 원호택(서울대학교 심리학과) pp.105-125
초록보기
초록

편집성향과 피해망상이 부정적 자기개념과 부정적 타인개념 및 방어적 귀인양식과 관련된다는 가설을 검증하고 우울증과의 관련성을 알아보았다. 우울증과 관련된 본 연구의 가설은 우울증과 편집증이 부정적 자기개념이라는 공통요인을 가지지만, 타인개념과 귀인양식에서 편집증 집단이 더 부정적이고 더 방어적이라는 것이었다. 연구 1에서는 대학생 175명에게 자기개념 질문지, 타인개념 질문지, 편집척도, Beck 우울척도, 적대감 척도, 자기개념 괴리 질문지, 귀인양식질문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부정적 자기개념과 부정적 타인개념이 편집성향과 관련된 핵심 변인이었고, 귀인양식에서는 방어적 경향을 보였다. 우울의 경우는 부정적 자기개념만이 관련이 높았고, 귀인양식에서는 자책적 경향을 보였다. 연구 2에서는 피해망상 환자집단, 우울증 환자집단, 정상인 통제집단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그 결과 피해망상 집단의 자기개념은 통제집단보다는 낮고 우울집단보다는 높았고, 타인개념은 다른 두 집단보다 부정적이었으며, 귀인양식에서는 극단적인 자기봉사적 편향을 나타냈다.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앞으로의 연구방향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tested the hypothesis that the paranoid tendency and persecutory delusions are related to negative self-concepts, negative other concepts, and defensive attributional styles.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depressed subjects.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about the relationship of depression and paranoia was that this two symptoms have common factors of negative self-concepts, but paranoid groups have more negative other-concepts and more defensive attributional styles. In Study 1, the Self-concept Scale, the Other-concept Scale, the Paranoia Scale, Beck Depression Inventory, the Hostility Scale, the Self-Discrepancy Scale, the Attributional Style Questionnaire were administered to 175 college studen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aranoid tendency was related to negative self-concepts, negative other-concepts, slightly defensive attributional styles. Depression was related to negative self-concepts and self-accusing attributional styles. In Study 2, persecutory deluded patients, depressed patients, and normal control groups were compar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ersecutory deluded patients reported more posive self-concepts than depressed patients, but reported more negative self-concepts than normal control groups. And they showed most negative other-concepts and extreme self-serving biases. The suggestions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s of future study were discussed.

편집성향과 자기개념 및 자기불일치
정교영(아주대병원 정신과) ; 이민규(아주대 심리학과) pp.127-13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편집성향과 자기개념 및 자기불일치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219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편집척도(Paranoia Scale)와 우울척도(SDS)를 실시하였고, 그중 편집척도 점수분포에서 1표준편차 이상과 이하에 속하는 43명이 실험에 참여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자기개념과 자기불일치를 측정하기 위해 Q-Sort 기법이 사용되었다. 우울수준을 공변인으로 한 공변량분석 결과, 편집성향이 높을수록 타인의 관점에서 본 자기개념이 부정적이고 현재 실제 자기와 타인의 관점에서 본 자기간의 불일치가 유의미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임상적 시사점, 제한점 및 앞으로의 연구방향 면에서 논의되었다.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lations between the paranoid tendency to the self perception. 219 undergraduates were asked to complete the Paranoid Scale and the Self-Rating Depression Scale. Among them, 43 subjects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paranoia level. And then the Q-Sort task was used for measuring the self-concepts and self-discrepancies. The results of ANCOVA using the levels of depression as a covariate indicated that the paranoid group showed more negative believed perceptions of others about the self and greater discrepancies between perceptions of the actual self and the believed perceptions of others about the self than nonparanoid group.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the clinical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우울증상과 관련된 대인관계 특성 : 성인기 애착관계형성을 중심으로
김은정(연세대학교 심리학과) ; 권정혜(고려대학교 심리학과) pp.139-15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최근 우울증에 대한 인지적-대인관계적 접근에 기초하여 우울증상과 관련된 대인관계 부적응 양상을 살펴보았다. 성인기 애착관계형성과 우울증상간의 전반적인 관계 및 이들 간의 관계에서 역기능적인 태도 및 부정적인 대인관계 쉐마가 매개변인의 역할을 하는지를 확인해 보았다. 221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애착관계에서 경험하는 높은 불안 수준과 낮은 의존 가능성은 역기능적 태도척도의 하위 요인인 성취지향성 요인과 타인 의존성 요인을 거쳐 우울증상의 수준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애착관계 형성과 우울증상간의 관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하고자 네 가지 애착관계 유형을 구분하여 우울증상의 수준을 비교해 본 결과, 대인관계에 지나치게 몰입하는 집단이 우울증상의 수준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우울증에 대한 인지적-대인관계적 접근에서 애착관계 형성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우울증의 대인관계 이론 확립에 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cognitive-interpersonal perspective of depression focuses on the interpersonal dysfunction of the depressed and their underlying cognition.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 between adult attachment security and symptoms of depression and tested whether this relation was mediated by dysfunctional attitude and negative interperonal schema. The 221 undergraduate students were survey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ore anxious and the less dependable on attachment relationship, the more depressed, and the dysfunctional attitude mediated the association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depressive symptoms. In addition, the preoccupied group among 4 styles on attachment showed the highest level of depressive symptoms. The results suggested that adult attachment and related maladaptive cognition should be involved in the studie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on depression.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interpersonal theory on depression were discussed.

우울증상과 대인관계 취약성 : 사회성 및 자율성 성격유형을 중심으로
김은정(연세대학교 심리학과) ; 권정혜(고려대학교 심리학과) pp.155-16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우울한 사람들의 특징적인 대인관계 취약성을 우울증적인 성격 유형을 통해 확인해 보았다. 우울증상에 취약한 대학생 70명을 대상으로 개인적인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우울증적인 성격 유형을 구분하고 이들의 스트레스 경험, 애착관계의 질 그리고 역기능적인 태도 및 우울증상의 양상을 비교했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우울증적 하위 성격 유형 중 사회성 유형은 자율성 유형에 비해 역기능적 인지의 수준이 높았으며, 애착관계형성에 대해 친밀성을 느끼기가 더 어려우며 불안감을 더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스트레스 유형과 우울증적인 성격특성간의 상호작용은 우울증상의 수준을 설명하는데 유의한 영향력을 보이지 않아 하위 성격 특성과 스트레스 경험간의 특정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우울증에 대한 하위 집단 연구의 중요성과 우울증의 지속정도를 예측하고 만성화를 예방하는데 대인관계 취약성과 관련된 접근의 필요성을 보여주었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interpersonal vulnerability and the depressive personality subtype of the depressed. The stresses experienced, attachment security, dysfunctional attitudes and depressive symptoms were assessed and 70 undergraduated students who had higher than BDI 16 or met Major Depressive Disorder criteria(DSM-IV) were interviewed individually by the researcher. They were divided into sociotropy group and autonomy group respectively based on interview. The sociotropy group was higher on DAS and had more problem in close relationship than the autonomy group. But, the interaction between stresses and personality subtype was not significant in this study.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interpersonal vulnerability of the depressed could be studied through the depressive personality subtype(autonomy/sociotropy) and should be considered on the prevention of chronicity of depressive symptoms.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환자의 성격요인과 대처방식과의 관계 - 교통사고 환자를 대상으로 -
남순현(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염태호(경희의료원 신경정신과) pp.171-18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교통사고라는 외상성 사건을 경험한 후,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로 판정된 환자들의 성격요인과 대처방식과의 관계를 알아본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교통사고이후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로 판정된 환자 70명과 대학생 70명에게 성격요인검사와 다면적 대처척도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교통사고 이후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를 보인 집단의 성격요인과 개인적 대처방식과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A<sup>+</sup>요인, Q<sub>2</sub><sup>-</sup>요인은 적극적 대처, 자제, 긍정적 해석, B<sup>+</sup>요인은 긍정적 비교, C<sup>+</sup>요인. H<sup>+</sup>요인은 적극적 대처, 자제, 긍정적 해석, 긍정적 비교, E<sup>+</sup>요인, F<sup>+</sup>요인은 적극적 대처, 자제, 긍정적 해석, 긍정적 비교, 정서적 진정, G<sup>+</sup>요인은 적극적 대처, 긍정적 해석, 긍정적 비교, 정서적 진정, L<sup>-</sup>요인은 적극적 대처, 정서적 진정, N<sup>+</sup>요인, Q<sub>3</sub><sup>+</sup>요인은 적극적 대처, 자제, 긍정적 해석, 긍정적 비교, 동화, 정서적 진정, O<sup>+</sup>요인은 소극적 철수, 정서표출, 자기비판, Q<sub>1</sub><sup>+</sup>요인은 긍정적 해석, 긍정적 비교, Q<sub>4</sub><sup>+</sup>요인은 자기비판, A<sup>-</sup>요인, H<sup>-</sup>요인은 소극적 철수, C<sup>-</sup>요인은 소극적 철수, 정서표출, L<sup>+</sup>요인, M<sup>-</sup>요인은 체념, Q<sub>4</sub><sup>-</sup>요인은 적극적 대처, 자제, 긍정적 해석을 보였다. E<sup>+</sup>요인, I<sup>+</sup>요인, M<sup>+</sup>요인은 사회적 대처자원인 문제해결적 지원추구와 정서적 지원추구를 보였는데, 특히, F<sup>+</sup>요인, L<sup>+</sup>요인, Q<sub>2</sub><sup>-</sup>요인은 문제해결적 지원추구, O<sup>+</sup>요인은 정서적 지원추구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B<sup>+</sup>요인, I<sup>+</sup>요인, M<sup>+</sup>요인, Q<sub>1</sub><sup>-</sup>요인, Q<sub>2</sub><sup>-</sup>요인은 종교적 대처자원인 종교적 추구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personality factors and coping styles administrating 16 Personality Factors Questionnaire and Multidimensional Coping Scale. 70 undergraduate students and 70 PTSD patients who have experienced a trauma, that is a traffic accident, were chosen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Looking into Personality Traits and Personal Coping Resources relation, PTSD patients who have experienced a traumatic event, what is called a traffic accident, showed active coping, self-control and positive interpretation in A<sup>+</sup>(Warmth), Q<sub>2</sub><sup>+</sup>(Self-Sufficiency), positive comparision in B<sup>+</sup>(High Intelligence), active coping, self-control, positive interpretation and positive comparision in C<sup>+</sup>(High Ego Strength), H<sup>+</sup>(Boldness), active coping, self-control, positive interpretation, positive comparision and emotional pacification in E<sup>+</sup>(Dominance), F<sup>+</sup>(Surgency), active coping, positive interpretation, positive comparision and emotional pacification in G<sup>+</sup>(High Superego), active coping and emotional pacification in L<sup>-</sup>(Trustfulness), active coping, self-control, positive interpretation, positive comparision, accommodation and emotional pacification in N<sup>+</sup>(Shrewdness), Q<sub>3</sub><sup>+</sup>(Self-Control), passive withdrawal, emotional expression and self^-criticism in O<sup>+</sup>(Guilt-proneness), positive interpretation and positive comparision in Q<sub>1</sub><sup>+</sup>(Liberalism), self-criticism in Q<sub>4</sub><sup>+</sup>(Anxiety), passive withdrawal in A<sup>-</sup>(Coolness), H<sup>-</sup>(Shyness), passive withdrawal and emotional expression in C<sup>-</sup>(Unstableness), fatalism in L<sup>+</sup>(Suspiciousness), M<sup>-</sup>(Naivete), active coping, self-control and positive interpretation in Q<sub>4</sub><sup>-</sup>(Relaxation): and problem-solving social support seeking and emotional social support seeking of Social Coping Resouces in E<sup>+</sup>(Dominance), I<sup>+</sup>(Tender-mindedness) and M<sup>+</sup>(Autia); and especially, problem-solving social support seeking in F<sup>+</sup>(Surgency), L<sup>+</sup>(Suspiciousness), Q<sub>2</sub><sup>-</sup>(Group-dependence); and emotional social support seeking in O<sup>+</sup>(Guilt Proneness). Finally, religious seeking of Religious Coping Resources in M<sup>+</sup>(Autia), Q<sub>1</sub><sup>-</sup>(Conservation) and Q<sub>2</sub><sup>-</sup>(Group-dependence).

학습장애평가척도에서 나타난 읽기장애 아동과 주의결핍과잉활동장애 아동의 차이 : 학습장애평가척도의 타당도 검증 연구
송종용(서울대학교 심리학과) ; 신민섭(서울대학교 의과대학) pp.185-19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대학병원 소아정신과에서 표집된 읽기 장애 집단(11명), ADHD 집단(40명), 읽기 장애와 ADHD를 모두 보이는 공존집단(15명)의 학습진단평가척도 점수를 비교하였다. 전체 평균에서는 읽기 장애 집단이 평균으로부터 2.7표준편차 정도 이탈되어 있었다. 전체 지능과 언어성 지능을 공변인으로 하여 7개의 하위 척도를 공변량 분석한 결과 읽기 장애 집단은 ADHD 집단에 비하여 말하기, 읽기, 쓰기, 철자 척도에서 환산점수가 높았고, 공존집단은 철자와 산수 척도에서 ADHD 집단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다. 그리고 읽기 장애와 공존집단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문항들의 변별지수를 알아 본 결과 35개 문항에서 읽기 장애 집단과 ADHD 집단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판별분석을 실시하였더니, 철자 척도의 점수만으로 75.5%의 분류정확도를 보였다. 이 결과들은 학습장애평가척도를 통해서 읽기 장애 아동과 정상 아동의 구분뿐만 아니라 읽기 장애 아동과 ADHD 아동의 구분이 가능하다는 것을 시사하며, 특히 철자법 수행에 대한 관찰이 읽기 장애아동을 ADHD 아동과 구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The K-LDES scores of RD(n=11), ADHD(n=30), and RD with ADHD(n=15) were compared. Average scores deviated from norm by 2.7 standard deviation(RD group), 2 SD(comorbid group), and 1.5 SD(ADHD group). The ANCOVAs, with full scale IQ and verbal IQ as covariates, show that RD group have more difficulties than ADHD in speaking, reading, writing, and spelling. Comorbid group have more difficulties than ADHD in spelling and mathmatics.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RD and comorbid group. 35 items of total 88 items of K-LEDS discriminated validly between RD and ADHD. Discriminant analysis was conductied to specify which factors contribute to differences between the two. Spelling classified the two groups with 75.5% accuracy, and explained 35.8% of varian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K-LEDS can discriminate between RD and ADHD as well as normal children. And it was discussed that spelling performances would be important in differential diagnosis of RD from ADHD.

정신분열병 환자의 얼굴표정에 나타난 정서지각
진복수(경북과학대학 사회복지과) ; 최이순(연산정신병원 임상심리과) ; 손명자(계명대학교 심리학과) pp.197-209
초록보기
초록

정신분열병 환자가 대인관계기술에서 광범위한 결함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여러 연구에서 주장되어져 왔다. 특히 최근에는 이러한 환자들의 얼굴에 나타난 정서를 해석하는 능력에 주의가 집중되어 졌다. 본 연구는 예비연구에서 미리 표준화한 자극필름을 가지고서 양성 정신분열병 환자 25명, 음성 정신분열병 환자 25명, 정상인 25명을 대상으로 하여 타인의 얼굴표정에 나타난 정서를 지각하는 능력에 대하여 조사해 보았다. 그 결과, 정신분열병 환자들은 얼굴표정에 나타난 정서를 지각하는 것에서 정상인에 비해 유의미하게 더 손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음성 정신분열병 환자들은 양성 정신분열병 환자에 비해 얼굴표정의 정서지각에서 더 손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분열병의 특징인 다양한 행동적 오기능들의 관계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연구함으로써 더 포괄적인 정신사회재활 프로그램들이 개발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It has been widely demonstrated that patients with schizophrenia show a broad range of deficits in interpersonal skills. Recently, considerable attention has been focused on the ability of these patients to decode affective cues.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question of an facial-emotion perception in a sample of 25 positive schizophrenics, 25 negative schizophrenics and 25 normals, using facial-emotion perception test that have been standardized stimulus films. Results suggested that all schizophrenics were significantly impaired in facial-emotion perception than normals. And negative schizophrenics were significantly impaired in facial-emotion perception than positive schizophrenics. As more is learned about the relationship among the diverse behavioral dysfunctions that characterize schizophrenics, more comprehensive psychosocial-rehabilitation programs can be developed.

완벽주의 성향과 자기효능감이 우울과 과제수행에 미치는 영향
김근홍(아주대 학생상담센터) ; 이민규(아주대 심리학과) pp.211-22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완벽주의 성향과 자기효능감이 우울감과 과제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려 하였다. 대학에 재학중인 남학생 232명과 여학생 126명, 총 358명이 연구1(질문지 조사)에 참여했으며, 이중 남학생 91명, 여학생 57명, 총 148명이 연구2(실험)에 참여하였다. 연구1의 자료분석 결과, 완벽주의 하위척도중 조직화와 부모의 기대요인은 우울과 유의한 상관이 없었지만 하위척도 중 개인적 기준 요인과 실수에 대한 염려 및 부모의 비난 요인은 우울증과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었다. 연구2(실험)에서는, 완벽주의 성향 중에서 우울과 가장 상관이 높은 실수에 대한 염려와 자기효능감의 상하수준에 따라 피험자들이 네 집단으로 나뉘어서 실험에 참여하였다. 따라서 실수에 대한 염려와 자기효능감 두가지 변인을 독립변인으로, 우울감과 과제 수행수준을 종속측정치로 하여 변량분석한 결과, 완벽주의 성향과 자기효능감이 모두 높으면 실수를 더 적게 하였지만, 완벽주의 성향이 높고 자기효능감이 낮은 경우는 현저하게 실수를 더 많이 했다. 과제 수행전 우울수준을 공변인으로 한 과제 수행후 우울감에 대한 공변량 분석 결과, 실수에 대한 염려정도와 자기효능감 변인의 상호작용이 유의했다. 즉 자기효능감이 높은 집단의 경우는 완벽주의 성향이 높더라도 우울감이 증가되지 않는 반면, 자기효능감이 낮은 집단인 경우는 완벽주의 성향이 높으면 현저하게 우울감을 많이 경험했다. 이러한 결과는 완벽주의성향이 우울감과 과제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자기효능감 변인이 매개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erfectionism and self-efficacy on the depression levels and task performance levels. Total 359 undergraduate students were participated in the study l; 232 males and 126 females. 91 male students and 57 female students were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study 2). The result of data analysis on the study 1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personal standards, concern over mistakes and parental criticism factor with depression.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depression and organization and parental expectation factor. In the study 2(experiment), subjects were divided in four groups by concern over mistaskes(high-low) and self-efficacy level(high- low). 2-way ANOVA was used for the data analysis. As the result, in high-perfectionism, and high self-efficacy group, task error rate was low but high-perfectionism and low self-efficacy group showed highest error rate. The result of analysis of covariance on the post-task depression showed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two independent variables. That is, in the high self-efficacy group, even perfectionism is high, depression was not increased. On the contrary, in the low self-efficacy group, the group of high perfectionism experienced depression remarkably. This findings suggest that self-efficacy can intermediate when perfectionism is affecting on depression and task performance.

측두하악관절장애환자들의 심리적 특징
남기숙(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심리상담실) ; 안홍균(서울대학교 치과대학 구강내과진단학교실) ; 정성창(서울대학교 치과대학 구강내과진단학교실) ; 류인균(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의학교실) ; 김중술(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의학교실) pp.223-234
초록보기
초록

본 논문은 중요한 통증 관련 증후군이면서 심리적 요인이 중요시되고 있는 장애인 측두하악관절장애(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s: TMD) 환자의 심리적 특징을 규명하려고 하였다. 131명의 TMD 환자들에게 MMPI를 실시하고 진단적 소견의 분포를 살펴보았다. 신체형장애 소견과(29.4%) 우울장애 소견(28.8%)이 각각 30% 미만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정상 프로파일(13.6%)과 불안장애 소견(11.3%)이 그 다음을 차지하였다. 이 외 정신병적 소견(2.8%)과 성격장애 소견(2.3%)이 약간 존재하였고, 1% 가량의 적응장애 소견 및 긴장성 두통이 존재하였다. TMD 환자들에게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성격 특징을 조사하는 한편, 이러한 특징을 정신과 환자 집단과 비교하기 위해서 TMD 집단과 동일한 MMPI 소견을 받는 정신과 환자들을 선정하여 두 집단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두집단 모두 1, 2, 3, 7번 척도에서 60T-65T 범위의 상승을 보이며 집단간 유사성을 나타냈다. 반면에, TMD 집단은 4번 척도가 정신과 환자 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으로 상승하였고, 정신과 환자 집단은 K 척도의 하강 경향성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TMD 집단은 신경증적 집단과 우울, 불안 및 신체적 불편 차원에서 임상적으로 매우 유사한 특징을 지니고 있으나, 이들보다는 높은 수준의 긴장과 분노감을 가지고 있을 수 있으며 반면에 자아통제 능력이나 자존감의 영역에서는 보다 덜 취약한 것으로 볼 수 있다. TMD 집단의 심리적 특징을 더욱 상세히 규명하는 것과 더불어, 정신과적 장애와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 앞으로의 과제로 생각된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in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s(TMD). On MMPI's diagnostic impressions, somatization and depression were about 60%, anxiety were about 11%, normal profile were about 14%, psychotic impression and personality disorders were about 2-3%. Comparing the TMD group with exception of the normal profile and psychiatric patients who had the same diagnostic impression, we gave the result that two groups exhibited the elevation in 1, 2, 3, 7 scales in MMPI at the level of 60-65T range. On the contrary, the TMD group exhibited the marked elevation of the 4(Pd) scale in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but psychiatric group exhibited the tendency of the decrease in K scale.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TMD and psychiatric(especially the neurotic group) group had the similarity in depressive mood, pessimistic thought, high anxiety and apprehension level, somatic complaint etc., but exhibited the difference in tension level and/or aggression and ego-strength. The clinical implication, additional analyses including significant sex difference, and prospect of the further study were discussed.

신체화 집단의 질병 추론 편향
신현균(서울대학교 심리학과) ; 원호택(서울대학교 심리학과) ; 정희연(보라매병원 정신과) pp.235-246
초록보기
초록

신체화의 인지 특성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본 연구에서는 신체 증상이나 질병과 관련될 수 있는 상황에서 질병을 쉽게 추론해내는 것이 신체화와 관련됨을 검증하였다. 신체화 환자와 신체화 경향이 있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단어 판단 과제를 사용해 연구하였다. 그 결과, 신체화 환자는 다른 정신과 환자에 비해 질병을 더 잘 추론하였다. 이는 신체나 질병과 관련된 내용이 쉽게 활성화되어 이런 정보처리가 억제되기 어렵다는 것을 나타낸다. 그러나 신체화 경향이 있는 대학생의 경우에는 질병을 자동적으로 추론하는 편향을 보이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인지 치료에 주는 시사점 및 후속 인구 방향이 제시되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somatization. In particular, the hypothesis that the inference of illness from common bodily symptoms can be related to somatization was examined. A word judgment task was administered to somatization patients and college students. The results showed that somatization patients inferred illness better than non-somatization group, when presented with the body-related stimulus. That is, the meaning related to body was activated easily and such information processing was not suppressed consciously in somatization patients. But the college students with somatization tendency did not show automatic inference bias about the bodily symptoms.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cognitive therapy and future study were discussed.

한국판 치매 평가 검사의 타당도와 신뢰도 연구
최진영(성신여자대학교) ; 나덕렬(성균관 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의료원 신경과) ; 박선희(성신여자대학교) ; 박은희(성신여자대학교) pp.247-25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Mattis(1988)의 Dementia Rating Scale(DRS)의 한국판인 치매 평가 검사(Korean-Dementia Rating Scale: K-DRS, 최진영, 1998)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토하기 위하여 행해졌다. 143명의 정상 노인이 서울-경인 지역에서 표집되었으며 20명의 알쯔하이머성 치매(dementia of the Alzheimer's Type: DAT) 환자가 신경과 외래에서 표집되었다. 타당도의 여러 차원을 살펴보기 위하여 세 국면의 타당도를 검토하였다. 첫 번째로 고려된 것은 영어권에서 개발된 검사인 DRS를 국어로 번역하는 과정에서 원 과제가 검사하고자 한 인지 과정을 K-DRS가 다루도록 내용 타당도를 유지시키는 일이었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경험적으로 타당도를 검증하는 작업을 시도하여 구성 타당도와 기준 타당도를 살펴보았다. 구성 타당도는 K-DRS의 총점과 MMSEK의 총점간의 상관을 구하여 살펴봤는데 이들간의 상관 계수는 .82로 유의미하게 높았다. 진단을 기준으로 한 기준 타당도는 전체 집단을 대상으포 할 경우 상관 계수가 .66이었고 연령과 학력으로 구분하여 산출한 경우 고령 저학력 노인 집단을 제외하고 모두 상승하여 높은 상관을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검사내의 소검사들이 치매의 변별에 기여하는 정도를 알아보았다. 기억, 관리 기능 소검사가 유의미하게 기여하였으며 다른 소검사들은 유의미한 수준에 미치지 못했다. 요약하자면, 여러 면에서 한국판 치매 평가 검사는 치매를 진단하는 검사 도구로써의 타당성이 검증되었다. 20명의 정상 노인들과 11명의 DAT 환자들을 대상으로 2주 간격으로 실시된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96이었고, 3명의 채점자간의 신뢰도는 .99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Abstract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Dementia Rating Scale (K-DRS) have been examined. 143 normal elderlies and 20 patients diagnosed with the dementia of the Alzheimer's type(DAT) participated in the study. Three approaches were pursued to examine the different aspects of validity. First approach focused on the content validity of the K-DRS. Efforts were made to ensure that the translated tasks would be tapping the same cognitive processes that were purported to be examined in the original Dementia Rating Scale (Mattis, 1988). Secondly, we employed an empirical approach to establish the construct and criterion validity of the test. Correlation between the total scores of the K-DRS and the MMSEK(Kwon & Park, 1989) was sought for the construct validity, which yielded a correlation coefficient of .82. Criterion validity with diagnostic states as the criterion was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iagnoses and the K-DRS total scores was .66 when all participants were included in the group. The correlations increased when the normative group was divided by age and years of education, except for one subgroup. The third approach involved examining how well each subtest discriminated the DAT, which showed that Memory and Initiation contributed significantly. It was concluded that K-DRS is a valid dementia assessment tool in terms of its content, construct and criterion validities. Test-retest reliability of two weeks was examined by testing 20 normal elderly adults and 11 DAT patients, yielding .96. Inter-rater reliability involving three raters was .99.

경계선 성격장애 척도의 타당화 연구 : 대학생을 중심으로
홍상황(경북대학교 심리학과) ; 김영환(경북대학교 심리학과) pp.259-271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Morey(1991)의 경계선 성격장애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고 진단적 타당성을 알아보기 위해 경계선 성격을 나타내는 정도에 따라 세 집단으로 분류하여 임상집단의 경계선 성격장애 환자에서 흔히 관찰되는 역기능적 특징들을 비교하였다. 대학생 244명을 대상으로 Morey (1991)의 경계선 성격장애 척도와 MMPI-BPD, NEO-PI-R 신경증경향과 원만성 척도를 실시하였고 대구지역 대학생 1,106명을 대상으로 한 자료에 근거해서 세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그 결과 이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는 양호한 것으로 판단되었고, 경계선 성격이 높아짐에 따라 우울, 부정적 성격적 특징 및 일반적 정신병리가 증가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Morey's(1991)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BPD) Scale in Korean University students were examined. To test the practical validation, distinguished three groups based on the extent of the Borderline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compared three domains that are frequently observed in BPD clinical samples. Morey's(1991) BPD Scale, MMPI-BPD, and NEO-PI-R Neuroticism and Agreeableness scale were carried out to 244 university students. Based on the results of Morey's(1991)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Scale carried out to 1,106 university students in Taegu, made a norm and distinguished the subjects to three groups. Results showed that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BPD scale were well and as the subject's Borderline Personality features increased they manifested more depression, negative personality and general psychopathology.

청소년기 품행장애와 우울을 동반한 품행장애의 다면적 인성검사 반응양상
전덕임(계요병원) ; 양익홍(계요병원) pp.273-28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1995년 3월부터 1997년 12월까지 계요병원에 내원한 청소년 환자들중 품행장애와 관련된 문제를 주소로 하지만 품행장애만을 보이는 집단과 우울을 동반한 품행장애를 보이는 집단의 MMPI 반응양상을 살펴보았다. 이 두 집단간의 연령, 학력, IQ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MMPI 프로파일을 분석한 결과, 타당도 척도에서는 두 집단 모두 F척도가 상승된 삿갓형을 나타내었으며 Pd척도가 가장 상승되어있는 가운데 Ma, D, Si 척도에서 집단간의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두 집단을 구분하는데 있어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척도를 알아 보기 위한 판별분석 결과, Ma, Si, Hy가 판별변인으로 선택되었다. 이를 통한 전체 정확 판별율은 82.6%였다. 또한 유사한 특성을 소유하는 집단간의 응집성과 집단간의 분리를 최대화하는 방향으로 4개의 하위집단을 추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살펴본 결과 동일한 품행장애를 보이는 집단이라도 그 내적 특성은 다를 수 있음이 시사된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MMPI responses who have conduct disorder and conduct disorder combined with depression.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psychiatric patients visited Keyo hospital because of conduct behavior from March, 1995 to February, 1997. The result showed that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age, education and IQ. With the result that analyze of MMPI profiles, F, Ma, Si and Hy scales wer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As the result of discriminant analysis, It was Ma, Si and Hy that well discriminated these two groups. Discriminant analysis indicated that overall percentage of correct classification was 82.6%. By cluster analysis 4 subgroups were extracted, and specific MMPI profiles were revealed.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even though have the same conduct problem,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side were to be unlike.

정신분열병 환자의 지능 장애와 K-WAIS 분산도 분석 - 하위 유형과 유병 기간에 따른 차이 -
김지영(원광대학병원 신경정신과) ; 오상우(원광대학병원 신경정신과) pp.285-29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하위 유형과 유병 기간에 따른 정신분열병 환자의 지능 장애와 K-WAIS 분산도를 알아보았다. 정신분열병으로 진단된 환자 57명을 하위 유형과 유병 기간에 따라 네 집단(급성-망상형(N=11), 급성-비망상형(N=9), 만성-망상형(N=21), 만성-비망상형(N=16))으로 나누었다. 연구 결과, 인구 통계학적 변수를 통해 추정한 병전 지능에서 네 집단은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으며 모두 평균 수준의 지능이었다. 현재 지능은 만성-비망상형 집단에서 의미있게 저하되어 있었다. 네 집단 모두 동작성 지능이 언어성 지능보다 더 저하되어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 K-WAIS 분산도 분석에서는 만성-비망상형 집단이 가장 심한 분산도를 나타냈고, 인지적 효율성도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intelligence impairment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nd K-WAIS scatter analysis by subtype and prevalence period. 57 patients with schizophrenia divided into four groups(acute-paranoid(N=11), acute-nonparanoid(N=9), chronic-paranoid(N=21), chronic-nonparanoid(N=16)) by subtype and prevalence period. The results showed that estimated premorbid IQ from demographic variables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four groups, and all groups had average intelligence. Chronic-nonparanoid group was significantly decreased current IQ. In all groups, performance IQ lower than verbal IQ, but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Chronic-nonparanoid group showed the most severe scatter and the lowest cognitive efficiency in K-WAIS scatter analysis.

K-WAIS의 구조에 대한 이론과 소검사 해석
염태호(경희대학교 의과대학) pp.293-310
초록보기
초록

본고의 목적은 K-WAIS를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하려는데 있다. K-WAIS는 임상심리평가 도구인 동시에 신경심리평가 도구로서의 역할도 겸하고 있다. 이에 Kaufman(1990)의 웩슬러지능검사에 대한 7가지 접근방법을 재조멍해 보았다. 그리고 K-WAIS에 대한 역동적 접근을 위해서 11개 소검사 각각의 인지적 및 행동적 분석, 요인구조 임상적 분석 및 신경심리학적 분석 등과 관련된 해석정보들을 정리함으로써 K-WAIS의 활용에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Abstract

Assessing Adolescent and Adult Intelligence presents comprehensive coverage of the clinical and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 of intelligence, particularly as measured by the Korean-Wechsler Adult Intelligence Scale(K-WAIS). This article treated the crucial topic of K-WAIS profile interpretation by integrated and explained the fluctualtions that occurred in each individual's subtest profile, and set the foundation of test interpretation by delineating the abilities and traits that each task measures and by indicating clinical, neuropsychological, and empirical aspects of each of the 11 separate subtests with regard to factor analysis, Bannatynes' categories, Horn's modified fluid-crystallized model, Osgood's psycholinguistic approach, Rapaport's clinical model, Dean's individual ability profile, and Guilford's structure-of-intellect model.

HABGT에 나타난 외상성 두뇌 손상 환자의 시지각 및 구성 능력 장애
이소영(원광대학병원 신경정신과) ; 오상우(원광대학병원 신경정신과) pp.311-31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뇌 영상 검사상 병변이 있는 외상성 두뇌 손상 환자 15명, 병변이 없는 외상성 두뇌손상 환자 15명, 신경증 환자 15명의 시지각 및 구성 능력 장애를 탐색해 보았다. 환자들에게 HABGT의 모사 단계를 실시하였고, Hutt(1985)가 제시한 정신 병리 척도와 접근 기피 척도에 따라 채점하였다. 연구 결과, 정신 병리 척도와 접근 기피 척도 및 정신 병리 척도의 폐쇄 곤란 항목, 접근 기피 척도의 높이와 넓이, 폐쇄 곤란, 정교화 하위 항목에서 두뇌 손상 환자 집단과 신경증 환자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병변이 확인된 두뇌 손상 환자 집단과 신경증 환자 집단간에는 정신 병리 척도의 각의 변화, 단순화, 중복 곤란 하위 항목에서, 접근 기피 척도의 용지 사용, 회전, 단순화 하위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병변이 확인되지 않은 두뇌 손상 환자 집단과 신경증 환자 집단간에는 정신 병리 척도의 도형 A의 위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임상적 의의와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visuoperceptual and constructive ability disturbances of patients with traumatic brain injury. The subject groups consisted of following: the patients with traumatic brain injury with focal lesion in brain imaging study(N=15); the patients with traumatic brain injury without focal lesion(N=15); and the patients with neurotic disorder(N=15). The copy phase of HABGT was administered and the reproduction was scored by the psychopathology scale and the adience-abience scale. The following results could be obtained.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sychopathology scale and the adience-abience scale between traumatic brain injury groups and neurotic group.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lousure difficulty of the psychopathology scale, and in height and width, closure difficulty and elaboration individual scales of adience-abience scale between traumatic brain injury groups and neurotic group.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ange in angulation, simplification, overlapping difficulty individual scales of psychopathology scale, and use of page, rotation, simplification individual scales of adience-abience scale between traumatic brain injury group with focal lesion and neurotic group. Fourth,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position, 1st drawing individual scale of the psychopathology scale between traumatic brain injury group without focal lesion and neurotic group. Finally, the clinical implication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양자극 방안(Oddball paradigm)과 단일자극 방안(Single-stimulus paradigm)으로 측정한 사상관련전위(Event-Related Potentials)의 비교
김명선(청소년 정신건상 연구소) ; 김상희(청소년 정신건상 연구소) pp.319-330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양자극 방안뿐만 아니라 단일자극 방안을 사용하여도 P300의 측정이 가능한가를 그리고 두 방안에서 관찰된 P300이 진폭과 잠재시간에서 서로 유사한가를 조사하였다. 양자극 방안과 단일자극 방안은 자극의 제시확률, 자극의 제시간격과 과제에서 동일 하였으나 단지 단일자극 방안에서는 표준자극이 무음으로 대치되었다. 실험결과, 두 방안 모두에서 P300이 관찰되었고 전극위치에 따른 P300의 진폭차이가 유사하였다. 즉 두 방안 모두 Pz에서 가장 큰 진폭이 관찰되었고 다음으로는 Cz와 Fz의 순서였다. 단일자극 방안으로 측정한 P300의 잠재시간이 양자극에서보다 의미있게 짧았다. N200 진폭의 경우 양자극 방안이 단일자극 방안보다 중앙과 전두엽부위에서 의미있게 큰 부적값을 보였다. 이 결과들이 시사하는 것은 P300을 측정하는데 있어서 단일자극 방안이 양자극 방안의 단순형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과 N200-P300의 분석을 통하여 자극의 처리과정을 신뢰롭게 평가할 수 있다는 것이다.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ERPs elicited by oddball and single-stimulus paradigm. There were not an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paradigms in terms of P300 amplitudes. The amplitudes of P300s in both paradigms showed similar scalp distribution, that is the P300s on Pz had the largest amplitudes and those on Fz had the smallest on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tasks of both paradigms require the similar neurocognitive mechanism. Contrary to the amplitud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paradigms in terms of P300 latencies. The oddball paradigm elicited longer P300 latencies than single-stimulus paradigm. Since there is a strong relationship between P300 latency and task difficulty, this result suggests that oddball paradigm is more difficult for subject than single-stimulus paradigm. In addition, the oddball paradigm elicited the larger N200 amplitudes than single-stimulus paradigm. The N200 reflects such psychological process as identification, comparison and classification of incoming stimulus. Therefore the oddball paradigm, which requires the comparison and classification of two stimuli, produced the larger N200 amplitudes than single-stimulus paradigm which presented only one stimulu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t is concluded that single-stimulus paradigm can be used as a substitute for oddball paradigm, and the ERPs is a reliable psychophysiological technique for evaluating the cognitive functions.

성피해의 심리적 후유증
김정규(성신여자대학교 심리학과) pp.331-345
초록보기
초록

이미 구미에는 성피해의 심리적 후유증에 관한 방대한 연구결과들이 축적된데 반해, 아직 한국 심리학계에서는 이 분야에 대한 연구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자는 이 분야에 대한 한국 심리학계의 관심과 연구의욕을 촉구하고자 기존의 연구결과들을 살펴보고 정리해보았다. 성피해의 심리적 후유증은 정서영역, 인지지각영역, 신체영역, 대인관계영역, 행동영역, 성적영역의 6개 영역으로 나눌 수 있는데, 정서영역에서 피해자들은 불안, 강방증상, 무기력, 우울증상, 분노감정, 적개심, 양가감정, 수치심, 죄책감, 낮은 자기존중감을 보이며, 인지지각영역에서는 해리, 부정, 감정억압, 인지왜곡, 환각 현상을 나타내며, 신체영역에서는 심인성통증과 수면장애 그리고 왜곡된 신체이미지를 보인다. 대인관계영역에서는 거부공포와 친밀공포를 나타내며, 과잉책임감, 통제행동, 불명확한 자기경계를 보이고 반복적으로 피해를 입는 행동을 보인다. 행동영역에서는 자해행동, 공격행동, 섭식장애, 알콜 및 약물남용을 보이며, 성적 영역에서는 왜곡된 성정체감과 성기능장애를 보이고 섹스와 애정을 혼동하며 때로는 과잉성행동을 하는 모습을 보인다.

Abstract

There are a lot of articles written in the area of impact of sexual abuse on the mental health in western countries, whereas this is a relative new land to korean psychologist. The author surveyed and summarized in this article the researches in this area to draw attention of korean psychologists to this subject. The psychological symptoms resulting from experiences of sexual abuse can be classified into affective, cognitive peceptive, physical, interpersonal, behavioral and sexual area. In the affective area the sexually abused show frequently anxiety, obsession, helplessness, depression, anger, shame, guilty feeling and low self esteem, in the cognitive perceptive area dissociation, denial, repression, distortion, hallucination, in the physical area psychogenic pain, sleep disorder and distorted body images, i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rea fear of rejection, fear of intimacy, hyper responsibility, hyper control, unclear boundary and revictimization, in the behavioral area self injury, aggressive behavior, eating disorder, alcohol and drug abuse, and in the sexual area they often show distorted sexual identity, sexual dysfunction, confuse often sex with affection, and involve sometimes in promiscuity.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