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
E-ISSN : 2733-4538
본 연구에서는 정신분열병 환자들이 특히 손상된 것으로 알려진 실행 기능을 측정하는 위스콘신 카드분류 검사 수행정도, 증상, 그리고 일반 적응 능력을 반영하는 지능이 직업기능을 예견할 수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정신분열증 진단을 받은 4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직업기능은 작업성향 척도, 증상은 한국판 정신사회적 기능-증상 평가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위스콘신 카드 분류 검사의 '첫 번째 범주를 완성하기까지의 시행 횟수'가 직업 기능 중에서 '작업 동기'와 과제 지향성' 요인을 유의미하게 예측하였다. 또한 증상 중에서 '정신병적 증상'은 작업 능력의 '과제지향성'과 '작업순응도'를 예측하였고, '충동성'은 '사회기술'을, '일상생활 및 역할기능'은 '자기 표현력'을 유의미하게 예측해 주었다. 본 연구결과는 실행기능과 증상이 정신분열병 환자의 직업 기능을 예언하는데 중요하다는 것을 반영한다. 치료적인 측면에서 볼 때, 작업 동기와 과제지향성을 높이기 위해서 실행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인지 재활적인 접근의 필요성이 시사된다. 또한 실제 작업장에서의 순응도와 사회기술 및 자기표현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환자의 증상을 완화시켜 주는 것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much the executive function, measured by Wisconsin Card Sorting Test, symptoms, measured by Behavior and Symptom Identification Scale(BASIS-32), and intelligence, equivalent to general adaptation ability, could predict the work performance. The subject were 40 chronic schizophrenics(male: 18, female:22). To identify the variables predicting work func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and dependent variable was work function, and independent variables were Wisconsin Card Sorting Test(WCST) score, symptom score, and intelligence. As the result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rials to complete 1st category' of WCST predicted significantly 'work motivation', 'task orientation' of work function. The 'Psychosis' of symptom scale predicted 'task orientation', 'Work Conformance', 'impulsive & Addictive Behavior' of symptom scale predicted the 'social skill' of work function, and 'daily living and role functioning skill' predicted 'personal presentation' work function. So executive function and symptom reduction can influence positively the work function of the patients. Therefore, cognitive rehabilitatory approach, enhancing the executive function, is needed for improving the work motivation and task orientation of work function. In addition, symptom reductions are thought to enhance the compliance, social skill, expression skill of workplace, and finally entire work function lev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