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메뉴

권호 목록

사회공포증에 대한 집단인지치료의 효과
조용래(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심과학 교실) ; 원호택(서울대학교 심리학과) ; 표경식(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심과학 교실) pp.181-20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부정적인 자동적 사고 뿐 아니라 역기능적 신념에 대한 인지적 재구성 훈련이 포함된 집단인지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사회공포증에 대한 집단인지치료의 효과 및 치료기제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사회공포증으로 분류된 대학생 39명을 선발하여 집단인지치료, 집단행동치료 및 대기자 통제집단에 각각 13명씩 할당하였다. 총 8회의 치료에 끝까지 참가하여 종결시에 평가를 받은 내담자는 인지치료 집단 10명, 행동치료 집단 9명이었으며, 치료기간과 동일하게 8주후에 평가를 끝낸 대기자 통제 조건은 13명이었다. 연구 결과, 가설과 일치되게, 1) 인지치료를 통해 부정적인 자동적 사고와 역기능적 신념 양자 모두 두드러지게 감소되었다. 2) 특히 인지치료 집단의 경우 치료 중기에 부정적인 자동적 사고가, 그리고 치료 말기에 모든 유형의 역기능적 신념이 유의미하게 변화된 반면, 행동치료 집단에서는 그렇지 않았다. 3) 행동치료와 마찬가지로 인지치료를 통해 사회공포증상이 효과적으로 완화되었으며, 이런 치료효과는 3개월의 추후 평가에서도 지속되었다. 그러므로, 이 결과들은 사회공포증을 효과적으로 치료하기 위해서는 부정적인 자동적 사고 뿐 아니라 역기능적 신념에 대한 인지적 재구성 훈련 역시 중요하다는 점을 지지해 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들이 사회공포증에 대한 인지이론과 인지행동치료라는 관점에서 함축하는 바들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a group cognitive therapy (GCT) including cognitive restructuring training for dysfunctional beliefs as well as negative automatic thoughts and to investigate the treatment effect and mechanism of the GCT for social phobia. 39 undergraduates diagnosed as social phobia were randomly assigned o one of the three conditions, namely GCT, group behavior therapy (GBT), and waiting-list (WL) control, 13 sociall phobics per condition. The numbers of clients who completed the assessment at termination period were 10 in GCT, 9 in GBT, and 13 in WL.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GCT reduced both negative automatic thoughts and dysfunctional beliefs prominently, and 2) particularly, change in negative automatic thoughts in the middle phase and change in all types of dysfunctional beliefs in the terminal phase were significant in GCT condition, whereas both of them were not in GBT condition. 3) GCT alleviated social phobic symptoms effectively, and the treatment effect was maintained at 3-month follow-up. Therefore, these findings support the importance of cognitive restructuring for dysfunctional beliefs as well as negative automatic thoughts in clients' efforts to overcome their social fears. Finally, implications of the results for cognitive theory and cognitive-behavioral therapy for social phobia were discussed.

부부 적응 프로그램의 개발과 그 효과에 관한 연구
권정혜(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채규만(성신여대 심리학과) pp.207-21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예비부부나 신혼부부들의 부부 적응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연구했다. 연구의 제1단계에서는 선행 연구들과 임상경험을 기초로 부부 적용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주 내용은 다음과 같다. 배우자에 대한 이해 및 수용, 의사소통기술 및 문제해결기술 증진, 배우자 가족에 대한 대처, 만족스러운 성생활 준비, 분노 조절 등이다. 제2단계에서는 13쌍의 예비부부 및 신혼부부들에게 한 주에 2시간씩 총 8주 동안 부부 적응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프로그램 참가집단의 예비부부들에게 프로그램 전 후로 자기보고 설문지를 실시하고, 프로그램에 참가하지 않은 13쌍의 예비부부들에게 결혼 전과 결혼 후 1개월 이내에 같은 설문지를 실시해 그 차이를 비교하였다. 평가내용은 부부관계 적응, 정서적 의사소통, 문제해결 의사소통, 친밀감, 우울감 등이었다. 프로그램 참가집단의 프로그램 전 후의 점수 비교 결과 여자 배우자들의 성역할태도가 관습적으로 변화하였으며, 그 외 모든 척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참가집단의 경우 남자 배우자들은 결혼 직후 부부관계 적응과 친밀감이 증가했으며, 정서적 의사소통 불만족과 우울감은 감소하였고, 여자 배우자들의 경우 문제해결 의사소통 불만족이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프로그램 종료 후 6개월 후에 연락이 가능한 프로그램 참가집단 5쌍과 비참가집단의 6쌍에게 추수조사를 시행한 결과 결혼만족도에 두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integrative marital counseling group program for premarital and newly-wed couple an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is program. The main components of the program were helping couples accept the spouse as he/she is, develop communication and problem solving skills, understand sex life better and cope with anger. Participants were thirteen premarital and early-wed couples recruited from the community through the church. They attended eight weekly 120-min-sessions of cognitive-behavioral premarital counseling program. Non-participant group consisted of thirteen couples whos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very similar to participant group. Both group were asked to fill out the questionnaires which included measures of couple satisfaction(the Modified Korean Marital Satisfaction Inventory K-MSI by Kwon & Chae, 1998, the Korean version of DAS by Spanier, 1976), intimacy(the adapted Korean version of Relationship Issue Questionnaire by Christensen & Sullway, 1984), depression(the Korean version of CES-D by Roth & Locke, 1973)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Follow-up assessment was performed 6 months after the program was completed.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for the counseling group between pre-counseling and post-counseling assessment. Husbands of non-participant group demonstrated significantly better marital adjustment and intimacy and less dissatisfaction of affective communication and depression just after marriage. Wives of non-participant group showed significantly less dissatisfaction of problem-solving communication. However, these effects were washed out after six months.

정신분열병 환자를 위한 인지행동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일 연구
김명식(용인정신병원 임상심리과) ; 임영란(용인정신병원 임상심리과) pp.219-22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만성정신분열병 환자들의 재활을 위해 현재 개발중인 인지행동재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고, 향후 인지행동재활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와 자료를 제시 하고자 했다. 연구 대상자는 용인정신병원 재활센터에 입원한 환자들이었고, DSM-IV기준으로 만성정신분열병으로 진단된 성인남자 4명, 성인여자 12명으로 전체 16명이었다. 인지행동재활 프로그램1은 1998년 9월14일부터 1999년 1월20일까지 10명(남자: 2명, 여자: 8명), 인지행동재활 프로그램2는 1999년 3월 17일부터 7월21일까지 6명(남자: 2명, 여자: 4명)이 참여했다. 인지행동재활 프로그램1의 결과 KWIS의 산수, 공통성, 숫자, 바꿔쓰기, 토막짜기의 점수는 유의미하게 변화하지 않았다. 그러나 Wisconsin Card Sorting Test의 전체 정확반응(Total Correct Response)의 유의미한 증가, 전체 오류수(Total number of error), 오류%(Error %), 비보속 오류%(Nonperseverative Error %)의 유의미한 감소를 보였다. 인지행동재활 프로그램2의 결과 의사소통척 척도는 변화가 없었으나, 대화과정 척도의 점수가 유의미하게 증가했다. 즉 프로그램 결과 만성정신분열병 환자들의 주의 및 지각능력과 대화기능이 약간의 증진을 보였다. 향후 인지행동재활 프로그램의 내`외적 타당도와 신뢰도를 높히고, 효과검증을 위한 도구의 지속적인 개발과 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outcome of the cognitive-behavioral rehabilitation programs for chronic schizophrenics, and supply basic data for the cognitive-behavioral rehabilitation program. The subjects were 16 patients (4 male and 12 female patients), at the Rehabilitation Center in Yongin Mental Hospital. Their diagnoses were chronic schizophrenia according to DSM-IV. The cognitive-behavioral rehabilitation program 1 was administered to 10 patients (male: 2, female: 8) from 1998. 9. 14. to 1999. 1. 20; the cognitive-behavioral rehabilitation program 2 was administered to 6 patients(male: 2, female: 4) from 1999. 3. 17 to 7. 21. Statistical analysis of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scores on the 5 subscales of KWIS (arithmetic, similarity, digit span, digit symbol, and block design), before and after the cognitive behavioral rehabilitation program 1, while there was a significant change in the scores on the 4 WCST subscales. Specifically, the total number of errors, error % non-perseverative error % were significantly reduced. And following the cognitive-behavioral rehabilitation program 2, only the communication process score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The attention and perceptual accuracy and communication ability of chronic scizophrenics were slightly improved following the program. In the future, more internally and externally valid and reliable cognitive-behavioral rebilitation program should be developed and the selection and research of outcome measures are needed.

완벽주의 성향과 주의 방향이 수행 불안에 미치는 효과
채숙희(조선대학교병원 정신과) ; 오수성(전남대학교 심리학과) ; 조용래(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pp.231-24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수행불안에 취약한 개인적 요인으로서 완벽주의 성향을 선정하고 상황적 스트레스 요인으로서 주의의 방향을 조작하여 수행불안의 발생기제를 밝히고자 했다. 연구 결과, 완벽주의 집단이 비완벽주의 집단보다, 그리고 자기지향적 주의 집단이 외부지향적 주의 집단보다 수행불안의 수준이 높았다. 그러나, 사전 불안수준을 통계적으로 통제했을 때에는 완벽주의 집단과 비완벽주의 집단간의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완벽주의 집단의 경우 주의 방향에 따라 수행불안 수준의 차가 유의했던 반면에, 비완벽주의 집단에서는 주의 방향에 따른 수행불안 수준의 차가 유의하지 않았다. 이에 더해, 완벽주의-자기지향적 주의 집단이 다른 어떤 집단들보다도 수행불안의 수준이 높았다. 완벽주의 집단이 비완벽주의 집단보다 과제수행시에 인지적 방해를 횔씬 더 많이 받았으며. 자기지향적 주의 집단이 외부지향적 주의 집단보다 과제수행중에 인지적 방해를 더 많이 받는 경향이 있었다. 자기지향적 주의 집단이 외부지향적 주의 집단보다 바꿔쓰기 검사에서 수행이 저조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들은 완벽주의 성향과 자기지향적 주의 양자 모두 수행불안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변인임을 시사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at influences on the performance anxiety, assuming perfectionism as an individual vulnerability factor and manipulating the direction of attention as a triggering factor. Perfectionists showed a higher degree of anxiety than non-perfectionists, and the group with self-focused attention showed a higher anxiety than the group with external-focused attention. But when the pre-treatment performance anxiety was controlled, the performance anxiety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erfectionists and non-perfectionists groups. The perfectionists showed a statistically different performance anxiety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attention, while the non-perfectionists did not. And the group with both perfectionism and self-focused attention showed the highest degree of performance anxiety than any other groups. Perfectionists were much more interfered cognitively during task performances than non-perfectionists. The direction of attention showed a statistically marginal significance. That is, the group with self-focused attention were much more interfered cognitively during task performances than the group with external-focused attention. In addition, the group with self-focused attention made a worse task performance on the digit symbol test, than the group with external-focused attention.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both perfectionism and self-focused attention are important factors in performance anxiety.

우울에 대한 성격-사건간의 일치성 가설의 검증
이민규(아주대학교 심리학과) pp.247-25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사회지향성과 자율지향성 성격특성이 이와 일치하는 생활사건 스트레스 상황에서 우울증을 유발시키는 취약성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성격-사건간의 일치성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대학생 499명이 한국판 PSI-II (Korean Version of Personal Style Inventory-II), 생활사건질문지 및 HDS가 포함된 질문지에 응답했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사회지향성과 자율지향성 성격 유형이 이와 일치하는 대인관계 및 성취관련 스트레스 상황에서 우울의 취약성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일치성 가설이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자율지향성 차원의 경우, 성취사건과의 상호작용효과는 유의했지만 대인관계 사건과의 상호작용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예언을 지지하는 결과가 확인되었다. 그러나 사회지향성 차원의 경우는 예언한 바와 같은 대인관계 스트레스와의 상호작용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들을, 우울증에 대한 취약성 이론, 임상적 함의 및 향후 연구 방향이라는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personality-event congruency hypotheses or depression. According to the hypotheses, the sociotropy and autonomy serve as vulnerability factors to dysphoria in the presence of life stress that matches the theme of the vulnerability. Four hundred ninety nine college students responded to the Korean version of PSI-II, Life Event Questionnaire, and HDS. The results of hierarchia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partially supported the congruency hypotheses. That is, strong support for the predicted interaction was obtained in autonomy dimension. But sociotropy vulnerability yielded no significant interactions with the stress of interpersonal events. The results are discussed in the context of limitations, clinical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further research.

정신분열병 하위집단에 따른 지능 및 실행 기능 장애
강희양(원광대학병원 신경정신과) ; 오상우(원광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손정락(전북대학교 심리학과) pp.259-26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K-WAIS 와 Wisconsin Card Sorting Test를 이용하여 정신분열병 환자의 지능 장애와 실행기능 장애를 알아보았다. 정신분열병으로 진단된 환자 46명을 대상으로 PANSS를 이용하여 양성증상집단(n=12), 음성증상 집단(n=18), 혼합형증상 집단(n=16)으로 나누었다. 연구 결과 인구통계학적 변수(Barona 지수)를 이용해 추정한 병전 지능에는 집단간에 차이가 없었지만, 어휘문제를 이용해 추정한 병전 지능에는 집단간 차이가 나타났다. WCST의 하위범주에서 전체오류수, 완성범주수, 보속오류수에서는 집단간 차이가 있었으나 정확한 반응 수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K-WAIS 소검사 중 이해문제, 바꿔쓰기에서 음성중상 집단과 혼합형증상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정신분열병 음성증상 집단의 지능 장애와 실행기능 장애가 정신분열병 양성증상 집단과 혼합형증상 집단에 비하여 유의미하게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임상적 의의와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was investigated Intelligence impairment and executive functioning impairment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using the K-WAIS and the Wisconsin Card Sorting Test. 46 patients with schizophrenia was divided into positive type(N=12), negative type(N=18) and mixed type(N=16) on the basis of PANSS scal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hree groups differed significantly in premorbid IQ estimated from demographic variables, but not in premorbid IQ estimated from vocabulary. In the subcategories of WCST, total number of errors, number of categories completed and perseverative errors except for total number correct showed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In the K-WAIS, comprehensive and digit symbol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negative type and the mixed type. In conclusion, the negative type schizophrenics showed the more intelligence and executive functioning impairments than the mixed type schizophrenics.

정신분열병 환자들의 정서조절과정에 있어서의 특성
이수정(경기대학교 교양학부) ; 안석균(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pp.269-279
초록보기
초록

실험 1에서는 Murphy와 Zajonc(1983)의 정서 우선성 가설이 재검되는지를 확인해보았다. 얼굴표정에 의한 점화자극의 효과가 낯선 대상에 대한 평정시 전이되는지를 확인하였다. 실험2에서는 의식적인 수준에서만의 정서점화가 정신분열병 환자들에게 있어서는 정상인들과 어떻게 차별적으로 일어나는지가 탐색되었다. 그 결과 정상인들에게서는 비의식 수준으로 정서점화를 준 경우에만 점화자극의 정서가로 인한 동화의 효과가 후속적인 평정과제에서 나타났지만, 정신분열증 환자들의 경우에는 정서로 인한 동화효과가 정서점화의 사실을 자각할 수 있는 의식적인 수준의 점화조건에서도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런 결과들을 토대로 정서의 처리과정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Abstract

The affective primacy hypothesis had been replicated in experiment 1. The transference of priming effect caused by emotional face pictures had been found in rating tasks unrelated to priming stimuli. Experiment 2 investigated how different the conscious priming effects of schizophrenics are from those of normal subjec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ssimilation effect had been found at the condition of supraliminal priming only in case of schizophrenics. Finally, the implication of these results onto emotional processing had been discussed.

정신분열병 환자의 직업 기능과 위스콘신 카드 분류 검사 수행 및 증상과의 관계
손혜련(용인정신병원) ; 임영란(용인정신병원) ; 황태연(용인정신병원) pp.281-29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정신분열병 환자들이 특히 손상된 것으로 알려진 실행 기능을 측정하는 위스콘신 카드분류 검사 수행정도, 증상, 그리고 일반 적응 능력을 반영하는 지능이 직업기능을 예견할 수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정신분열증 진단을 받은 4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직업기능은 작업성향 척도, 증상은 한국판 정신사회적 기능-증상 평가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위스콘신 카드 분류 검사의 '첫 번째 범주를 완성하기까지의 시행 횟수'가 직업 기능 중에서 '작업 동기'와 과제 지향성' 요인을 유의미하게 예측하였다. 또한 증상 중에서 '정신병적 증상'은 작업 능력의 '과제지향성'과 '작업순응도'를 예측하였고, '충동성'은 '사회기술'을, '일상생활 및 역할기능'은 '자기 표현력'을 유의미하게 예측해 주었다. 본 연구결과는 실행기능과 증상이 정신분열병 환자의 직업 기능을 예언하는데 중요하다는 것을 반영한다. 치료적인 측면에서 볼 때, 작업 동기와 과제지향성을 높이기 위해서 실행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인지 재활적인 접근의 필요성이 시사된다. 또한 실제 작업장에서의 순응도와 사회기술 및 자기표현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환자의 증상을 완화시켜 주는 것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Abstract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much the executive function, measured by Wisconsin Card Sorting Test, symptoms, measured by Behavior and Symptom Identification Scale(BASIS-32), and intelligence, equivalent to general adaptation ability, could predict the work performance. The subject were 40 chronic schizophrenics(male: 18, female:22). To identify the variables predicting work func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and dependent variable was work function, and independent variables were Wisconsin Card Sorting Test(WCST) score, symptom score, and intelligence. As the result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rials to complete 1st category' of WCST predicted significantly 'work motivation', 'task orientation' of work function. The 'Psychosis' of symptom scale predicted 'task orientation', 'Work Conformance', 'impulsive & Addictive Behavior' of symptom scale predicted the 'social skill' of work function, and 'daily living and role functioning skill' predicted 'personal presentation' work function. So executive function and symptom reduction can influence positively the work function of the patients. Therefore, cognitive rehabilitatory approach, enhancing the executive function, is needed for improving the work motivation and task orientation of work function. In addition, symptom reductions are thought to enhance the compliance, social skill, expression skill of workplace, and finally entire work function level.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환자와 정신분열증 환자의 Rorschach 반응 비교 - 남편의 폭력으로 인하여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로 진단 받은 여자 환자를 중심으로 -
이혜선(성신여자대학교 학생생활상담소) ; 김재환(한양대학병원 신경정신과) pp.293-30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집단(이하 PTSD)의 로샤 반응 특징을 알아보고 정신분열증 집단의 로샤 반응 양상과 비교하여 인지적 손상의 정도와 특징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PTSD 집단은 남편의 폭력으로 인하여 PTSD로 진단 받은 여자환자 23명으로 이루어졌고 정신분열증 집단은 이에 상응하는 여자 환자 28명으로 구성되었다. 로샤 반응들은 Exner 종합체계(1993)에 따라 실시, 채점되었고 분석되었다. 분석결과, PTSD 집단은 X+%가 56%, F+%가 47%로 정신분열증 집단 정도는 아니지만 현실 지각능력이 저하되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낮은 Lamda, W보다 적은 D반응, 낮은 Zd 등에서 나타나듯 자원을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사용하지 못하고 있으며 es와 Adj es가 높게 나타났고 우울지표와 자살지표에 있어서도 다소 높게 나타났다. 정신분열증 집단과의 t검증 결과, W, Lamda, es, Adj es, FM, C', X+%, X-%, AG, Sum6SC 등의 변인에서 차이가 나타났는데 PTSD 집단이 관습적, 현실적 지각 능력이 저하되어 있기는 하지만 정신분열증 집단이 현실지각에 있어서의 왜곡과 사고 장애를 보이는 것과는 달리 PTSD 집단은 정서경험을 통제하거나 자극으로부터 적절한 거리를 유지하는데 실패하는 것과 관련되어 있는 것 같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제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Aiming at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Rorschach responses demonstrated by a group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PTSD) patients, this study compared them with the Rorschach responses shown by a group of schizophrenia to shed lights on the degree and characteristics of cognitive impairment. The group of PTSD consisted of 23 female patients diagnosed with PTSD from the violence of their spouses while the group of schizophrenia consisted of corresponding 28 females. Rorschach protocols were administered, scored and analysed under adherence to the Exner Comprehensive System(1993). The result of the analysis shows that, in case of the PTSD group, X+% is recorded 56%, and F+% is 47%, which falls short of the result from the schizophrenic groups. Those figures indicate that the PTSD group exhibits impaired reality-tasting abilities. It also turned out that they failed to effectively and economically utilize the resources such as low Lamda, more W response then D, and low Zd. Also high es and Adj es are recorded along with higher-than-normal DEPI and S-Con. The result from t-test compared with the schizophrenic group showed the differences in several variables such as W, Lamda, es, Adj es, Fm, C', X+%, AG, Sum6SC. Having impaired reality-tasting ability, the PTSD groups are related to the failure to control emotional experiences and to keep proper distance from stimulus, while the schizophrenic groups suffer from the distortion in reality perception and problems of cognitive processing. And finally, th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of future research have been discussed.

한국판 PSI-II (the Personal Style Inventory-II)의 신뢰도와 요인구조
이민규(아주대학교 심리학과) pp.305-31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우울증에 대한 개인적 취약성을 측정한다고 가정되는 PSI-II (the Personal Style Inventory-II)의 신뢰도와 요인구조를 확인하고, 이들 요인과 우울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대학생 546명이 PSI-II, SDS 및 HDS가 포함된 질문지에 응답했다. 검사의 내적 합치도와 재검사 신뢰도는 비교적 높은 편이었다. 요인분석 결과, 사회지향성과 자율지향성 요인은 각각 두 개의 하위차원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회지향성과 자율지향성 등 두 가지 요인을 예언변인으로 하고, 우울 측정치를 준거변인으로 중다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두 요인이 유의미한 수준에서 우울변량을 설명해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들을, 우울증에 대한 취약성 이론, 임상적 함의 및 향후 연구방향이라는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mpirically examine the reliability and factor structure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SI-II which was developed to assess an individual's vulnerability to depression. This study investigated fur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ctors of the scale and depression. Five hundred forty six college students responded to the PSI, SDS, and HDS. The Korean version of PSI-II was found to have relatively high internal consistency and the test-retest reliability. Factor analyses on the items of the sociotropy and autonomy constructs revealed that both constructs have two factors.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indicated that the two independent variables created on the basis of the composite scores on the sociotropy and autonomy constructs accounted for a significant amount of variance in predicting depression. The results are discussed in the context of vulnerability to depression, clinical implication and recommendations for further research.

자의식과 심리적 적응간의 관계 -MMPI 프로파일 양상을 중심으로-
조아라(인제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상계백병원 정신과) ; 김영미(인제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상계백병원 정신과) pp.319-330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임상 집단에서 자의식 정도에 따라 호소하는 심리적 불편감이 다른 양상을 보이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를 위해 신경증으로 정신과 통원 치료를 받는 환자 61명을 대상으로 자의식 척도(SCS)와 다면적 인성검사(MMPI)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사적 자의식은 Hy척도와 미약한 상관을 보인 것을 제외하고는 MMPI 하위 척도들과 유의미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공적 자의식은 L, K 척도와는 강한 부적 상관을, F, D, Pa, Sc, Si와는 정적 상관을 보여 공적 자의식이 높을수록 우울과 사회적 소외감 등 심리적인 불편감을 많이 겪으며, 이러한 자신의 불편감을 다른 사람들에게 더 많이 호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적응적, 부적응적 측면이 함께 시사되고 있는 사적 자의식 내의 2요인 구조를 확인하기 위해 사적 자의식을 요인분석한 결과, 두 요인이 확인되었다. 1요인은 자신에 대한 전반적인 숙고 능력으로, 이전의 연구에서 나타난 것과 동일한 구인이었으나 2요인은 자신의 인상형성에 관한 인식으로 이전 연구들과는 다른 요인으로 해석되었다. 1요인은 MMPI하위 척도들과 부적인 방향의 상관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하지 않았으며, 2요인은 Hs, Hy 척도와 미약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자의식과 심리적 적응 양상의 임상적 의미 및 문화적 차이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self-consciousness and psychological distress in clinical samples. Sixty-eight outpatients with neurotic symptoms completed Self-consciousness Scale and MMPI. The Private self-consciousness subscale showed no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MMPI subscales except Hy, which correlated positively. On the other hand, Public self-consciousness subscale showed strong negative correlations with L, K, and positive correlation with F, D, Pa, Sc, Si. This result suggested that those who were high in public self-consciousness experienced more psychological distress, such as depression and alienation, and complained their distress to others more. The present study also replicated previous findings of the two-factor structure of private self-consciousness. In this study, the first factor was interpreted to represent general reflectiveness of self, and had negative correlation tendency with MMPI clinical subscale. The second factor was interpreted as the awareness of self-image and had minor correlation with Hs, Hy. But this factor was different from previous findings in the content. On the basis of these findings, clinical implications and cultural differences of self-consciousness were discussed.

인물화 검사에 나타난 만성 정신분열증 환자와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반응차이
김주희(연세의대 세브란스정신병원) ; 김재환(한양대학병원 신경정신과) pp.331-340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인물화검사에서 만성 정신분열증 환자와 외상성 뇌손상 환자 집단간의 반응특성을 비교하여 그 결과를 임상장면에서 평가와 감별진단에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대상이 된 피검자들은 1998년 3월부터 1999년 10월 사이에 연대의대 세브란스 정신병원에 입원하여 치료 및 종합심리평가를 받은 만 20세 이상의 남자로서, 만성 정신분열증 환자집단에는 총 52명이, 외상성 뇌손상 환자 집단에는 41명이 피검자로 선정되어 총 피검자 수는 93명이었다. 그리고 이들에게 실시된 인물화검사에서 그림의 크기, 선의 압력, 성적정교화 정도, 성적분화 정도와 같은 변인에 있어서의 차이검증이 실시되었으며, 그림의 위치, 자세, 선의 덧칠, 그림의 순서, 투명성 및 생략(하위변인 22개)과 같은 변인에 있어서 빈도분석이 실시되었다. 그 결과, 그림의 크기. 선의 압력, 성적정교화 정도 및 성적분화 정도의 네 변인에 있어 두 집단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그림의 위치, 선의 덧칠, 투명성, 생략 등의 변인에 대한 빈도분석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만성 정신분열증 환자와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평가 및 감별진단에 있어 인물화검사는 유용한 평가도구로 활용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wa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DAP performance between chronic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nd patients with traumatic brain injury. The subjects were 52 chronic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nd 41 patients with traumatic brain injury who were hospitalized in or visited as outpatients the Yonsei Univ. Hospital during the period from the March, 1998 to October, 1999. The index of assessing the drawing were the size, pressure of line, sexual elaboration, sexual differentiation, placement, posture, continuity of line, sequence, transparency, omission(22 subvariables ; ear, mouth, body, shoulder, arm, leg, hand, finger, foot, button, pocket, necktie, etc.). And the data were analized using the method of t-test and frequency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Sigi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in size, pressure, sexual elaboration, sexual differentiation. 2)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continuity of line, transparency, omission. And the availablity of DAP, implication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외상성 두뇌 손상 환자의 지능 장애와 기억 장애
오상우(원광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 교실) ; 이소영(원광대학병원 신경정신과) ; 김지영(원광대학병원 신경정신과) ; 권혁철(전북대학교 심리학과) pp.341-350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뇌 영상 검사상 병변이 확인된 외상성 두뇌 손상 환자 20명, 병변이 확인되지 않은 외상성 두뇌 손상 환자 20명, 신경증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외상성 두뇌 손상 환자의 지능 장애와 기억 장애를 탐색해 보았다. 환자들에게 K-WAIS와 WMS를 실시하였고, Barona 지수와 K-WAIS의 어휘 문제 소검사를 이용하여 병전 지능을 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먼저, Barona 지수를 이용하여 추정된 병전 지능과 현재 지능을 비교하였을 때, 언어성 지능, 동작상 지능, 전체 지능 모두에서 신경증군은 추정된 병전 지능에 비하여 현재 지능이 유의하게 저하되어 있지 않았으나, 병변군과 비병변군은 병전 지능에 비하여 현재 지능이 유의하게 저하되어 있었다. 그러나, 어휘 문제 소검사를 통해 추정한 병전 지능과 현재 지능을 비교한 결과, 세 집단 모두 병전 지능보다 현재 지능이 더 저하된 양상을 보였으나, 비병변군과 신경증군에서 두 지능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현재 지능에서 언어성 지능과 동작성 지능의 차이에 대해서는 세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았다. WMS의 각 소검사 점수와 MQ에 대해 집단간 차이 검증을 실시한 결과, 지남력 소검사를 제외한 모든 소검사 및 MQ에서 병변군과 비병변군이 신경증군보다 유의하게 더 낮은 수행을 보였다. 집단간의 전체 IQ와 MQ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병변군과 비병변군은 신경증군보다 IQ와 MQ의 차이가 유의하게 더 컸다. 끝으로, 본 연구의 임상적 의의와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telligence and memory disturbances of patients with traumatic brain injury. The subject groups consisted of following: the patients with traumatic brain injury with focal lesion in brain imaging study(n=20); the patients with traumatic brain injury without focal lesion(n=20); and the patients with neurotic disorders(n=20). The K-WAIS and the WMS was administered and scored by manual and estimated premorbid intelligence based on Barona Index and vocabulary subscale of K-WAIS. The following results could be obtained.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remorbid IQ by Barona Index and the current IQ in traumatic brain injured groups.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remorbid IQ by vocabulary subscale and the current IQ in non-focal lesion group and neurotic group. Thir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VIQ-PIQ between groups. Fourth,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ll subscales except for orientation and MQ of the WMS between brain injured groups and neurotic group. Fifth,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FSIQ-MQ between brain injured groups and neurotic group. Finally, the clinical implication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외상성 뇌손상 환자와 정신분열증 환자의 위스콘신 카드 분류 검사상에 나타난 인지적 특성 비교
박유경(전주예수병원 신경정신과) ; 권혁철(전북대학교 심리학과) pp.351-36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외상성 뇌손상 환자와 정신분열증 환자의 WCST 수행에 나타난 인지기능의 특성을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Heaton 등(1973)이 16가지 하위측정치로 확장시킨 WCST의 수행을 외상성 뇌손상 집단, 정신분열증 집단 및 정상인 집단간에 비교해 봄으로써, 두 환자군이 나타내는 인지기능의 결함을 비교하였다. 연구 대상은 외상성 뇌손상 환자 20명, 정신분열증 환자 20명, 정상인 20명이었다. 각 하위측정치에 대한 세 집단 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외상성 뇌손상 집단과 정상인 집단간에는 오류율, 보속 오류율, 개념 수준 반응율, 완성된 범주수, 학습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정신분열증 집단과 정상인 집단간에는 오류율, 보속 오류율, 비보속 오류율, 개념 수준 반응율, 완성된 범주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외상성 뇌손상 집단과 정신분열증 집단간에는 비보속 오류율, 개념 수준 반응율, 학습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 외상성 뇌손상 집단은 비보속 오류보다 보속 오류를 더 많이 보여 보속적 경향성을 지니고 있지만 정신분열증 환자와 달리 현실적 맥락과 맞지 않는 일탈된 사고방식을 변화시키는 능력에는 결함을 보이지 않으며, 추상적 개념 형성은 정신분열증 환자에비해 덜 저하되어 있으나 학습 개념을 형성하고 논리적으로 분석하여 효율적인 학습 전략을 찾아 숙달하는 능력에서 정신분열증 환자와는 달리 결함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끝으로 본 연구 결과의 의미와 제한점 및 향후 연구에 대한 제안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identify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traumatic brain injured group(n=20) and schizophrenic group(n=20) in the Wisconsin Card Sorting Test(WCST). Their performances of the WCST were compared with normal control group(n=20). Administered WCST was revised and expanded in 16 subcategories by Heaton et al. (1993).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raumatic brain injured group and normal control group in performances of percent errors, percent perseverative errors, percent conceptual level responses, number of categories completed, and learning to learn.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chizophrenic group and normal control group in performances of percent errors, percent perseverative errors, percent nonperseverative errors, percent conceptual level responses, and number of categories completed.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raumatic brain injured group and schizophrenic group in performances of percent nonperseverative errors, percent conceptual level responses, and learning to learn. Finally, meaning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WMS-R의 심리측정적 특징과 요인구조: 간질환자 집단을 중심으로
고진경(울산의대 서울중앙병원 정신과) ; 유희정(울산의대 서울중앙병원 정신과) ; 김성윤(울산의대 서울중앙병원 정신과) ; 강중구(울산의대 서울중앙병원 신경과) ; 이상암(울산의대 서울중앙병원 신경과) pp.365-37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절제술을 앞둔 간질 환자들의 기억 기능을 평가하는데 널리 활용되고 있는 WMS-R의 심리측정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간질로 진단을 받고 포괄적인 신경심리 검사를 받은 162명 환자의 WMS-R의 평가 결과를 요인 분석하였다. 단기 기억과제와 동일한 과제를 30분 지연 후 반복 시행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함으로써 드러난 방법론상의 문제를 배제하기 위해 첫째, 즉시 기억 소검사만을 요인분석하고, 둘째 시간 지연 및 회상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전체 소검사를 포함한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지능이 기억 기능과는 다른 구성개념을 갖고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언어성 지능과 동작성 지능을 포함하여 요인분실을 실시하였고, 끝으로 간질 발작 병소가 측두엽인 환자만을 대상으로 요인분석을 시행하여, 실질적으로 WMS-R이 기억기능의 장애를 보이는 간질환자의 편재화를 가능케 하는지 밝혀 보았다. 즉시 기억 소검사만의 요인분석에서는 선행연구와 마찬가지로 2요인 구조-일반기억 요인, 주의 집중력요인-가 추출되었고, 전체 소검사를 대상으로 한 요인분석을 통해서는 3 요인-단서회상 및 학습요인, 주의 집중력 요인, 언어적 기억요인-이 추출되었다. 측두엽 환자만을 대상으로 한 분석에서는 3 요인-시각적 기억 요인, 주의 집중력 요인, 언어적 기억요인-이 추출되었다. 선행연구와는 달리 각 요인에 속하는 소검사들의 구성이 과제 특징적인 기억을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으로 보기는 어려우나, WMS-R이 전반적인 기억기능의 수준 및 결함의 정도를 평가하는 도구로는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세부적인 기억결함의 특성과 패턴을 기술하는데는 미흡하여, 간질환자의 기억 기능의 편재화를 위한 도구로 사용하기에는 다소 제한이 따른다.

Abstract

The Wechsler Memory Scale-Revised(WMS-R) is used routinely as a presurgical assessment of memory for patients considering elective resection of the temporal lobe and /or hippocampus for the relief of intractable temporal lobe epilepsy.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WMS-R in a population of patients with intractable epilepsy. The sample consisted of 162 patients with a diagnosis of epilepsy who underwent a comprehensive neuropsychological examination as a routine part of their investigation. To identify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WMS-R was conducted the factor analyses. At first, the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8 immediate recall subtests to avoid the effect of the correlation between immediate and delayed recall trials of the same material. Second, the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on 8 immediate and 4 delayed subtests. Additional analyses included VIQ and PIQ from KWIS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memory and intelligence. And then the factor analysis conducted to 80 patients with a clear temporal lobe epilepsy to examine if the WMS-R lateralizes the visual memory and verbal memory. Initial analyses of immediate recall subtests indicated two-factor solution -general memory factor, attention/concentration factor- similar with previous results. Inclusion in the analysis of delayed recall subtests revealed three-factor solution with factors interpreted as cuedrecall and learning, attention/concentration, verbal memory. The result of factor analysis conducted to temporal lobe epilepsy supported the interpretation of three factors-visual memory, attention/concentration, verbal memory. However, the subtests consisting of visual memory factor are not pure measure of visual memory. Therefore, it is problematic to be interpreted as visual memory factor like previous research. It is concluded that the WMS-R provides a useful estimate of overall memory functioning, but is not effective to describe the nature of the pattern of memory deficits.

만성 동통환자의 압통역치에 관한 연구
김청송(경기대학교 교양교직학부) ; 최미례(중앙대학교 심리학과) ; 염태호(경희대학교 의과대학) pp.377-38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만성 동통환자군과 정상군의 압통역치 수준을 측정 비교하였다. 결과는 환자군의 경우 중지골과 경골에서 남녀 모두 압통역치의 상승이 발견되었고, 성별에 따른 압통역치의 차이는 환자군에서는 없었으나 정상군의 경우 남성이 여성보다 신체의 세 부위에서 모두 높았음을 보여주었다. 또 같은 성이라도 환자군의 여성이 정상군의 여성보다 중지골과 경골에서 각각 압통역치가 높았고, 남성의 경우에는 경골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중지 골에서는 환자군이 그리고 전완부에서는 대조군의 압통역치가 높았다. 그리고 중지골의 경우 두 변인의 상호작용 효과도 발견되었는데 이는 환자군의 압통역치가 정상군에 비해 상승되어 있고, 또 정상군의 경우에는 남성의 역치수준이 여성보다 높음을 시사하였다. 이를 순응수준이론 및 과민경계성이론과 관련하여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hypervigilance model states chronic pain patients are hypervigilant to somatic distress signals, in particular pain sensations. So chronic pain patients would have lower pain threshold to aversive stimuli and increased bias to level stimulation as painful. The opposite prediction could be made from an adaptation level model, which emphasizes the context in which a stimulus is judged. It can be logically extended to predict that chronic pain patients would demonstrate higher pain threshold and would be less likely to label a pain stimulus as painful because of their greater experiences with painful sensations. So this study tested the hypothesis that the pressure pain threshold(PPT) differ between patients with chronic pain and healthy normal controls. Results showed that chronic pain patients(n=42) had higher PPT in middle phalanx and tibia than controls(n=37). And gender difference was found in both groups.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e adaptation model of pain perceptions in bone area in case of chronic pain patients. And the implication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통제 단어 연상 검사(Controlled Oral Word Association Test)의 노인 규준 연구
강연옥(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신경과) ; 진주희(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신경과) ; 나덕렬(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신경과) ; 이정희(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신경과) ; 박재설(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신경과) pp.385-392
초록보기
초록

통제 단어 연상 검사(Controlled Oral Word Association Test: COWAT)는 범주 유창성 검사와 글자 유창성 검사의 두 종류로 구성되어 있는 생성이름대기 검사이다. COWAT가 전두엽 손상의 탐지에 매우 유용하다는 사실은 여러 선행 연구들(e.g., Vilkki & Holst, 1994)에서 이미 밝혀진 바 있으며 최근에는 국내외에서 치매환자의 평가에 COWAT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치매의 신경심리학적 평가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국 노인들의 COWAT 규준을 작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55세 이상 80세 이하 다양한 연령층의 정상노인 451명에게 "동물"과 "가게물건"으로 구성된 범주 유창성 검사와 " ㄱ, ㅇ, ㅅ "으로 구성된 글자 유창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교육수준과 나이는 범주 유창성 검사와 글자 유창성 검사 모두의 수행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나 성별은 범주 유창성 검사의 수행에만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발견되었다. 또한 같은 반응을 반복하는 보속반응과 해당 범주나 글자와 관계없는 반응을 하는 침입오류는 정상노인들에게서는 두 검사 모두에서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각 검사별로 교육수준, 나이 및 성별에 따른 규준들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Controlled Oral Word Association Test (COWAT) is a generative naming test that consists of the category (semantic) fluency test and letter (phonemic) fluency test.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COWAT is very sensitive to the frontal lobe damage (Vilkki & Holst, 1994). Recently, the COWAT has been widely used in the elderly population for differentiating the demented elderly from healthy ones in Korea as well as in western countr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et a normative data of the Korean version of COWAT in the elderly. The Korean version of COWAT including the categories of "animal" and "supermarket list" and the letters of "ㄱ, ㅇ, ㅅ," was administered to 451 healthy elderly ranging in age from 55 to 80. The effects of age, educational level, and sex were found in the performance of the category fluency test, whereas age and education level, but not sex,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the performance of the letter fluency test. The subjects committed very few perseveration and intrusion errors in both tests. The norms broken down by age, education level, and sex for each test were presented.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