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메뉴

논문 상세

알쯔하이머형 치매 집단과 노인 우울 집단의 기억

Differences in Memory between Dementia of the Alzheimer's type and Elderly depression

초록

본 연구는 알쯔하이머형 치매 집단과 노인 우울 집단의 기억 결함 양상에서의 차이를 검증하고자 치매 군 27명, 우울 집단 24명, 정상군 40명을 대상으로 K-MAS를 실시하였고 이들 총 91명의 피험자 중 12개의 소검사를 모두 완수한 62명의 결과를 토대로 질적/양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치매 집단은 정상군에 비해 단기기억, 언어기억, 시각기억, 전체기억 등 기억력 전반에 걸쳐 유의미하게 저조한 수행을 보였으며. 우울 집단에 비해서도 단기기억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유의하게 낮은 점수를 얻었다. 회상 형식에 따른 차이를 비교한 결과, 치매 집단은 비교 집단과 마찬가지로 단어자유회상에 비해 높은 재인률과 단서단어회상률을 보였으나, 재인수와 회상수 자체는 비교 집단에 비해 매우 낮았다. 파지기간에 따른 차이를 비교한 결과에 의하면, 정상 집단의 정우 시간의 흐름에 대해 안정된 파지력을 보인 반면, 우울 집단은 완만한, 치매 집단은 급격한 기억력 저하를 보였다. 그 외에도 치매 집단은 우울 집단에 비해 높은 침입률과 최신효과 경향성을 보였으며, 낮은 반복학습효과를 나타냈다. 기억검사의 진단변별력을 알아보기 위한 판별분석 결과, 치매 집단과 우울 집단에 대한 전체 분류정확률은 87.5%였고, 치매 집단의 92.3%. 우울 집단의 84.2%가 정확하게 분류되었다. 두 집단을 구분하는데 중요한 변인은 언어기억 범위, 시각기억범위, 단어지연회상, 시각즉각재인 등 4개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의의, 후속 연구에 대한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keywords
알쯔하이머형 치매, 노인우울, 기억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differentiation of memory deficit in Alzheimer's disease group and depressive disorder group. Subjects were 24 mild Alzheimer-type dementia patiens(AD), 27 major depressive disorder patients(DEP), and 40 normal control group(NC). Finally 62 subject's output was analyzed. The memory test(K-MAS) was administered to 3 groups, all matched for sex, age, and educational level. AD group performed significantly worse than DEP, NC in most subtests of K-MAS. AD group showed (1) low total recall/recognition, (2) rapid rate of forgetting, (3) large numbers of intrusion, (4) recency part of serial position in free recall, (5) absence of practice effects. Discrimination analysis demonstrated 87.5% of diagnosis precision rate. Also, it was confirmed that Verbal Span test, Visual Span test, Delayed List Recall test, and Visual recognition have high discriminating power.

keywords
dementia of the Alzheimer's type, elderly depression, memory
투고일Submission Date
2000-10-25
수정일Revised Date
2001-07-04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01-09-11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