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을 주 대상으로 하여 역기능적 신념을 포함함으로써 인지재구성 훈련을 강화한 사회공포증 인지행동 집단프로그램의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인지행동 집단프로그램은 매주 1회 2시간씩 총 10회 진행되었는데, 본 연구의 분석에 사용한 내담자 자료는 프로그램 참가자 총 42명 중 25명의 프로그램 종결자 자료였고, 이들 중 1개월 추후평가를 마친 사람은 21명이었으며, 비교집단에 속한 프로그램 대기자들은 13명이었다. 결과를 살펴보면, 본 프로그램은 종결시 대부분의 사회공포증 관련 측정치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이끌어내 그 효과를 입증하였다. 또한 1개월 후의 추후평가시에도 그 효과는 유지되었다. 한편 주로 인지재구성으로 이루어진 전반부의 향상효과가 주로 노출로 구성된 후반부의 향상효과보다 더 광범위하게 나타났다.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outcome of cognitive-behavioral group treatment(CBGT) for social phobia which included cognitive restructuring for dysfunctional beliefs. Treatment consisted of ten weekly 2-hr sessions. Among 42 social phobic subjects, 25 subjects completed posttreatment assessment and 21 subjects completed the 1 mash follow-up assessment. These data were compared to waiting list control group(n=13). The results were suns follows: CBGT was demonstrated as effective in the treatment of social phobia significantly. At 1 month follow-up, this effectiveness still lasted. The fast half of the program which stressed cognitive restructuring stowed more improvement than the latter half of the program which stressed exposure. The implication of the results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상담 과정에서 보이는 내담자 저항과 상담자 태도의 상호작용현상을 밝히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성공 및 실패 사례의 내담자 저항과 상담자 태도를 각각 평정하고, 저항과 태도변인에 대하여 시계열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성공 사례에서는 내담자 저항 뒤에 상담자의 긍정적 태도의 증가가 있었으나, 실패 사례에서는 내담자 저항 뒤에 상담자의 긍정적 태도의 감소가 나타났다. 또한 성공사례의 경우 상담자의 긍정적 태도는 이 후 내담자 저항을 감소시켰으나, 실패사례에서 상담자의 긍정적 태도는 저항감소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은 내담자 저항과 상담자 태도의 상호작용 패턴은 상담 지속과 성과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논의에서는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들을 기술하였다.
The purpose of study investigated the interaction phenomenon of the client resistance and counselor attitude. To achieve this purpose, the cross correlation analysis (time series analysis) of resistance and counselor attitude variables was performed on success and fail cases. The result indicated that (a) in the success case, there was a lead-lag relationship in which client resistance wild lead the increase of counselor's positive attitude. Also there was a lead-lag relationship in which counselor's positive attitude would lead the decrease of client resistance. (b) in fail case, client resistance would lead the decrease of counselor's positive attitude. But counselor's positive attitude would not lead the decrease of client resistance. It means that the interaction pattern of client resistance and counselor's attitude may influence on resistance reduction and outcome.
본 연구에서는 정신분열병 환자들이 정서상태를 개념화하고 얼굴표정을 통하여 타인의 정서 상태를 판단하는 과정을 정상인과 비교하였다. 연구 1에서는 만 19세-46세의 정신분열병 환자 19명에게 정서 관련 형용사 15개로 구성된 105개의 형용사 쌍에 대하여 유사성을 평정하도록 하여 MDS로 분석한 결과, 쾌/불쾌와 각성의 두 차원이 일관되게 보고되고 있는 정상집단과는 달리 정신분열병 집단의 자료에서는 쾌/불쾌 차원만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각성 차원은 얻어지지 않았다. 연구 2에서는 다양한 정서를 표현한 얼굴 사진 28개를 정신분열병 환자 30명과 대학생 31명에게 제시하고 각 사진의 인물이 경험하고 있는 내적 상태를 쾌/불쾌와 각성의 두 차원에 대하여 각각 7점 척도로 평정하도록 한 결과 특히 부정적이고 각성 수준이 높은 내적 상태를 표현하는 사진 자극에 대하여 정신분열병 환자 집단은 대학생 집단에 비하여 각성수준을 과소평가하는 경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정신분열병 환자들은 정서상태의 개념화 과정에서 각성 차원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민감도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부정적인 정서상태를 표현하는 얼굴들에 대한 판단에서는 각성 차원을 과소평가하여 높은 각성 수준을 나타내는 표정과 낮은 각성수준을 변별하는데 어려움을 보이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정신분열병 환자들은 자율신경계의 높은 각성 수준으로 인하여 각성 수준을 더 높일 가능성이 있는 자극을 회피하는 경향이 있다는 Mednick의 가설과 일관되는 결과로 이들의 각성 수준에 대한 낮은 민감도는 방어적인 회피성향의 지속에 따른 둔감화의 결과로 해석될 수 있다.
The primary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schizophrenic patients conceptualize emotion terms and judge facial expressions in order to understand the nature of their affective disturbance. In Study 1, 19 schizophrenic patients between the ages of 19 and 46 were given 105 pairs of emotion terms and asked to rate their similarity using a 7 point scale. Multidimensional Scaling Analysis of the similarity data revealed a one-dimensional model with the pleasant-unpleasant dimension for the schizophrenic group, while a two-dimensional model(pleasant-unpleasant and arousal) has been consistently reported for normal adults and children. In Study 2, 31 schizophrenic patients and 30 college students were presented with 28 photographed faces with various emotional expressions and asked to rate each of them on the arousal and pleasant-unpleasant dimens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schizophrenic patients tend to underevaluate the level of arousal and unpleasantness of the emotions expressed in the faces, particularly when the emotions expressed are negative and of high arousal. The low sensitivity of schizophrenic patients to the arousal dimension is consistent with Mednick`s hypothesis which suggests that schizophrenic patients tend to avoid high arousal stimulus for fear that it might further stimulate their already highly aroused autonomic nervous system.
노년기의 신체적 건강 수준과 우울증의 관계에 있어서 사회적 지지의 효과를 보다 자세히 살펴보기 위하여 사회적 지지의 구조적 측면과 기능적 측면으로 세분하여 조사하였다. 구조적 측면의 사회적 지지는 사회활동 참가도에 의하여, 기능적 측면의 사회적 지지는 사회적 접촉 만족도에 의하여 각각 조작적으로 정의ㆍ측정되었다. 미국 필라델피아 주 피츠버그 (Pittsburgh, Philadelphia)에 위치한 한 병원의 노인 병동 외래 환자 230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한 결과, 노년기의 신체적 건강 수준 저하에 따라 사회활동 참여도가 낮아졌으며, 궁극적으로는 우울증의 정도가 더 심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낮은 사회활동 참여도가 우울증 심화를 직접적으로 예측한다기 보다는, 낮은 사회활동 참여도에 따른 사회적 접촉 만족도의 저하에 의해 우울증이 심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노년기의 신체적 건강 수준에 따른 우울증의 심화에 있어서 사회활동 참여도 (구조적 측면의 사회적 지지)와 사회접촉 만족도 (기능적 측면의 사회적 지지)가 매우 중요함을 보여주었다. 특히, 신체적 건강의 한 지표인 신체 기능 수준은 사회적 지지의 두 가지 측면과 상호 작용하여 우울증에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신체 기능 수준의 저하 정도가 상대적으로 약한 경우에는, 신체적 기능 저하에 따른 사회 활동 참여도의 저하로 인해 사회접촉 만족도가 낮아져 우울증이 심화되는 것으로 예측되는 한편, 신체 기능 수준의 저하 정도가 상대적으로 심한 경우 사회활동 참여도가 낮아진다 하더라도, 사회적 접촉 만족도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신체적 건강수준의 저하에 따른 사회 활동 참여도의 저하 및 사회접촉 만족도의 저하에 따른 우울증의 심화는 신체적 기능의 손상 정도에 따라 서로 다른 경로를 보이며, 이 결과는, 노년기의 신체적 건강 수준과 우울증의 관계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사회적 지지의 구조적ㆍ기능적 측면의 효과가 신체적 기능 저하의 수준에 따라 상대적으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논의되었다.
Two aspects of social support(structural and functional) were examined in associations between physical health and depressed affect among community residing older adults(n=230). Structural support was operationalized as participation in social(organizational) activities; functional support was operationalized as satisfaction with social contacts. Deterioration of physical health predicted lower levels of social participation, but less social participation did not directly predict more depressed affect. Rather, social participation had an indirect effect on depressed affect through its impact on satisfaction with social contacts such that less participation predicted less satisfaction, which in turn, predicted more symptoms of depression. Moreover, functional disability(ADL needs) interacted with social participation in predicting satisfaction with social contacts. That is, less social participation was related to less satisfaction with social contacts when functional disability was relatively low; but when functional disability was high, the level of participation made little difference in satisfaction with social contacts. Thus, higher ADL needs seem to buffer the effects of decreased social participation on satisfaction with social contacts and, in turn, on depressed affect, suggesting that the effects of structural and functional aspects of social support vary according to the level of functional impairment.
본 연구의 목적은 인터넷 게임을 중독적으로 사용하는 청소년들 (n=100)과 비중독적으로 사용하는 청소년들 (n=89)을 대상으로, 두 집단 사이에 충동성, 사회적 문제해결에 대한 태도와 능력, 의사소통 유형자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각 집단은 Young의 인터넷 중독검사와 주 평균 사용시간을 사용하여 분류되었으며, 종속변인을 측정하기 위하여 Eysenck의 충동성 척도, 사회적 문제해결 양식 (SPSI), 사회적 문제해결 능력검사, Satir 이론을 바탕으로 구성된 의사소통 유형검사가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게임을 중독적으로 사용하는 청소년들은 더 충동적이었으며, 문제해결에 대한 태도가 부정적이고, 문제해결 유능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두 집단 모두 회유형 의사소통을 주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정도에 있어서는 중독집단이 더 산만하고, 지나치게 합리적으로 상황만을 중요시하거나, 지시적이고 명령적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중독정도를 설명해주는 변인은 충동성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 집단을 가장 잘 판별해주는 변인은 SPSI의 문제지향적 접근행동에 대한 자기평가 (BS)였다. 이러한 결과는 과도한 인터넷 게임 사용이 청소년의 사회 기술 습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young adolescents who are addicted to Internet gaming. Participants were 836 high school students and they were administered the modified Young's Internet addiction inventory and other questionnaires assessing their Internet usage. We selected two groups of students -an addicted (n=100) and a non-addicted (n=89) group and compared their characteristics using the Eysenck impulsivity scale, social problem solving inventory (SPSI),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inventory, and the communication scale based on Satir theory. Results indicated that internet-addicted adolescents were more impulsive and showed low problem-solving abilities. In case of communication, they also showed poor abilities in seeing different points of view and understanding other's feelings. To determine the relative contributions of these variables to explaining the Internet game addictio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as conducted. It was demonstrated that impulsivity, cognitive attitudes of problem solving, and interpersonal negotiation strategy explained 24.7% of variance of Internet game addiction.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xcessive Internet-gaming is associated with poor social skills in adolescents.
본 연구에서는 정신분열병 환자들이 사회적 정보를 표상하는 방식과 정보 처리 측정치들간의 관계가 검토되었다. 40명의 정신분열병 환자들과 40명의 정상 통제 집단이 사회적 도식 처리, 정보 처리, 증상 측정치들에서 비교되었다. 연구 결과 정신분열병 환자들은 정상 통제 집단에 비해 사회적 도식 처리 측정치들에서 유의미한 결함을 보였다. 또한 사회적 도식 처리 결함은 일부 시각적 주의 측정치, 단기 언어기억, 위스콘신카드분류 검사의 정확반응비율 및 보속오류비율과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사회적 정보를 처리하는 능력의 결함이 정신분열병의 사회적 역기능을 이해할 수 있는 새로운 관점을 시사해주며 나아가 사회인지 재활의 기초가 된다.
Several recent studies have examined the manner in which social information is processed in an attempt to better understand the interpersonal functioning and social deficits of schizophrenic patients. In this study, the manner in which schizophrenic subjects represent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are examined. Specifically 40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nd 40 normal controls were compared on the measures of social schema processing, information processing and symptomatology. Results showed that schizophrenic patients earned significantly lower schema processing scores than the normal comparison group. The deficits of schema processing in the schizophrenic patient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vigilance, short-term verbal memory, and Wisconsin Card Sorting Test hit rate and Perseverative error.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deficits in the representation of social information provide a unique perspective for understanding the interpersonal dysfunction of schizophrenia. The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social schema and research implications also include a need for future attention to the social cognitive rehabilitation especially for the remediation of social schema deficits in schizophrenic patients.
본 연구는 부정적 사회적 사건이 일어날 확률과 그 사건이 일어났을 때의 결과에 대한 부담 정도의 평정에서 나타나는 인지적 판단 편향이 사회적 상황에서의 자기 효능감과 함께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여대생 253명을 대상으로 주관적 확률 평정 척도(SPQ), 주관적 부담 정도 평정 척도(SCQ), 사회적 상황에서의 자기 효능감 척도(SSES), 사회적 회피 및 불안 척도(SADS)를 자기보고식으로 작성하도록 했다. 그 결과, 부정적 사회적 사건에 대한 확률 평정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미하였다. 부정적 사회적 사건에 대한 확률 평정이 부담 정도 평정의 매개를 통해서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이 사회적 상황에서의 자기 효능감 수준이 낮은 집단에서는 유의미하였으나, 사회적 상황에서의 자기 효능감 수준이 높은 집단에서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따라서, 부정적 사회적 사건에 대한 확률 평정이 부담 정도 평정의 매개를 통해서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이 사회적 상황에서의 자기 효능감 수준에 따라서 달라질 것이라는 매개-중재 모델이 지지되었다. 한편, 비사회적 사건에서는 이러한 모델이 지지되지 많았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probability and cost judgemental biases for negative social event and self efficacy in social situation on social anxiety. Subjective Probability Questionnaire(SPQ), Subjective Cost Questionnaire(SCQ), Social Self Efficacy Scale(SSES), Social Anxiety and Distress Scale(SADS) were administered to 253 female college students. The results showed that probability judgemental biases for negative social events predicted social anxiety, and showed that self efficacy in social situation play the role of moderating probability judgemental biases for negative social events-cost judgemental biases for negative social events-social anxiety mediating path. But, this moderated mediation model for negative nonsocial events was not supported.
본 연구에서는 성인기 애착유형의 개인차를 알아보고, 각 유형과 심리적ㆍ인지적 특성간 관계에 대해 조사하였다. 365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애착유형과 애착형성의 질에서 유의한 개인차가 나타났으며 애착유형에 따라 각기 상이한 인지적 특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정형 집단은 애착관계 형성시 높은 의존가능성과 친밀성을 보인 반면, 회피형 집단은 안정형 집단에 비해 낮은 의존가능성을 보였으며, 불안-양가형 집단의 경우 애착관계에서 경험하는 불안이 타 집단에 비해 높았다. 세 집단은 관계신념차원중 친밀성신념과 개성신념에서 그리고 자아존중감, 내외통제소재에서 집단차를 보였다. 귀인양식에서 유의미한 집단차가 나타났는데, 불안-양가형 집단이 나머지 두 집단에 비해 긍정사건을 안정적인 요인에 귀인하지 않았으며 부정사건에 대해서는 안정적인 요인에 귀인하는 경향이 있었다. 또 부정사건에서는 보다 총체적 원인에 귀인하였다. 본연구결과의 시사점과 제한점, 앞으로의 연구방향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individual difference of adult attachment style and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adult attachment style in a survey study involving 356 undergraduate studen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individual differences in attachment quality and in cognitiv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each attachment style. Secure attachment style associated with greater relationship interdependability and intimacy than did the anxious-ambivalent or avoidant attachment style. Avoidant attachment style associated less with relationship interdependability than did the secure attachment style. Anxious-ambivalent attachment style associated with greater relationship anxiety than did the other attachment styles. Attachment dimensions were found to be related to relationship beliefs on intimacy and individuality, self-esteem, and locus of control. Compared with secure, avoidant styles, the anxious-ambivalent style didn't attribute positive events to more stable causes and tended to attribute negative events to more stable causes;they also attributed negative events to more global causes. Sugges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아버지의 문제성 음주가 자녀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부모의 갈등과 가족 기능을 매개변인으로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 1에서는 아버지의 문제성 음주, 부모의 갈등, 가족 기능, 자녀의 적응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중학생 143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부모의 문제성 음주가 자녀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기 위한 매개변인으로 부모의 갈등과 가족 기능이 제안되었다. 연구 2에서는 아버지의 문제성 음주, 부모의 갈등, 가족 기능 그리고 자녀의 적응간의 인과적 관계성을 살펴보기 위해 중학생 140명을 대상으로 공변량 구조분석(covariance structure analysis)을 실시하였다. 결과는 아버지의 문제성 음주가 심할수록 부모의 갈등이 심하고, 부모의 갈등은 가족 기능을 약화시키며, 가족 기능이 약해질수록 자녀는 적응에서 어려움을 더 많이 나타낸다는 것을 제안한다. 연구들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함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ese studies were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parental conflict and family functioning on the relations of father's problem drinking to child adjustment. Study 1 was to assess the relations among father's problem drinking, inter-parental conflict, family functioning, and child adjustment. Participants were 143 students of a middle school. Results suggested a possibility that inter-parental conflict and family functioning might mediate the relation of father's problem drinking to child adjustment. Study 2 was to determine whether inter-parental conflict and family functioning mediated the relation of father's problem drinking to child adjustment. Participants were 140 middle school students. Structural analysis was used to specify the relation among father's problem drinking, inter-parental conflict, family functioning, and child adjustment. Inter-parental conflict and family functioning appeared to mediate the relations of father's problem drinking to child adjustment. Results of these studies suggested positive inter-parental relation may enhance family functioning, which in turn may enhance child adjustment attenuating the negative effect of father's problem drinking. Limitation of these studies and further study directions were also discussed.
본 연구는 미네소타 다면적 인성검사-2 (MMPI-2) 프로화일에 나타난 증상은폐(Symptom Underreporting)를 탐지해내는 데 목적을 두고, 122명의 어린이 집 교사 여성 지원자들을 대상으로 2회에 걸쳐, 첫 번째는 표준(standard) 지시하에, 두 번째는 실험적인 지시하에 ('정직, honest' 또는 '증상은폐, Underreporting') MMPI-2를 실시하였다. 증상은폐 지시하에서 실시된 MMPI-2 프로화일은 표준 지시나 정직 지시하에서 실시된 MMPI-2 프로화일에 비해 L, K, S, L+K 점수는 더 높았고, F, F-K 점수는 더 낮았으며, 몇몇 임상척도들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관찰되었다. 증상은폐 지시조건의 프로화일과 표준 지시조건의 프로화일을 구별해내는 데 있어서 이전 연구들에서 보고된 바와 마찬가지로 L과 L+K가 효과적이었으며, 새로운 S척도 또한 상당히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Baer 등의 연구(1993)에서 제안된 변별점 (cutting score)은 비교적 긍정적인 결과를 나타내었다. 기존의 증상은폐 지표들 중 가장 효과적이라고 보고되어 온 L, L+K와 비교했을 때 새로운 S 척도는 L, L+K 이상의 탐지력을 보이지는 못했으나, 앞으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The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 (MMPI-2) was administered to 122 female kindergarten teacher applicants, once with standard instructions, again with scripted experimental instructions (honest or underreporting). Underreporting instructions produced higher scores on L, K, S, and L+K, and lower scores on F and F-K than standard and honest instructions. Some clinical scale scores produced under underreporting condition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produced under standard and honest conditions. Consistent with the previous report, L and L+K were effective in identifying underreporting profiles. The new S scale, although developed using samples of men, faired quite well. Overall, cutting scores suggested by Baer et al. (1993) showed fairly positive results. Although S failed to outperform L and L+K in discriminating between the underreporting and standard profiles,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explore the discriminative power of the S scale.
김홍근(1999)은 K-WAIS 표준화 집단의 연령 및 학력별 IQ 평균을 이용한 병전 지능 추정법을 제안한 바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 추정법의 타당성을 경험적으로 검증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정상인 167명에게 K-WAIS를 실시하고 실제 지능과 추정 지능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비교 결과 FIQ를 기준으로 추정 오차가 ±5이하인 경우는 전체 피검자의 37%, ±10이하인 경우는 64%, ±15이하인 경우는 82%였다. 이러한 추정 오차는 피검자들의 지능을 항상 100으로 추정하는 것과 비교해서는 최대 20%정도 더 효율적이었다. 또한 외국 연구에서 회귀공식으로 지능을 추정한 결과와 비교해서는 오차 비율이 유사하였다. 피검자의 '지능 저하' 여부를 임상적으로 판별할 시 필요한 절단 점수를 여러 유의도 수준에서 제시하였다. 논의에서는 김홍근(1999)의 방식을 포함한 인구통계학적 추정법의 정확성이 임상적으로 충분히 만족할 만한 수준이 아님을 지적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존하는 방법들 중 가장 체계적이고 객관점이라는 점에서 임상가들이 인구통계학적 추정법에 여전히 관심을 가져야 할 것으로 제안하였다.
Kim(1999) has proposed a method of eating premorbid intelligence, which is based on age-and-education specific IQ means of K-WAIS standardization sampl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validity of the method. A sample of 167 normal subjects were administered K-WAIS and their observed IQs and predicted IQs were compared. The error size in estimating FIQ was less than 6 points in 37% of subjects, less than 11 points in 64%, and less than 16 points in 82%. These estimation efficiencies are comparable to these reported for regression-based methods in prior studies, which took into account more number of demographic variables than Kim's method. Kim's method is only 10~20% more efficient than the simple-minded method of predicting all subjects' IQs as 100. These results indicate that Kim's and other demographic methods do not provide a sufficiently satisfactory means of predicting premorbid intelligence. However, the demographic method represents the most sophisticated and objective means of estimating premorbid intelligence among presently available methods. Thus, their cautious use is still recommended.
김홍근(1999)은 K-WAIS 표준화 표본의 연령 및 학력별 IQ 평균을 이용한 병전 지능 추정법을 제안한 바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김홍근이 제안한 병전 지능 추정 방식을 보다 타당한 방향으로 개정하는 것이다. 김홍근이 제안한 방식은 K-WAIS 표준화 표본의 연령 및 학력별 IQ 평균을 근거로 한다. 본 논문에서 수정 제안한 방식은 K-WAIS 표준화 표본의 출생 연도 및 학력별 IQ 평균을 근거로 한다. K-WAIS의 표준화는 1991년 행해졌으며 규준의 급간이 10년 단위로 되어 있다. 따라서 표준화 이후 10년이 지난 2001년부터는 병전 지능 추정에서 연령 또는 출생 연도를 고려할 것인가의 선택이 특히 중요해진다. K-WAIS 표준화 표본을 분석해보면 동일 학력이라도 연령이 높을수록 IQ 평균이 더 높다. 이러한 연령별 차이는 생활 연령과는 무관하고 동시대 출생인(cohort)별로 교육 기회가 달랐던 것과 관련된 현상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병전 지능의 추정에서 피검자의 연령 대신 출생 연도를 고려하는 것이 보다 타당하다고 제안하였다.
Kim(1999) has proposed a method of estimating premorbid intelligence that is based on the K-WAIS norm data.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modify Kim's method of estimating premorbid intelligence. Kim's method uses subjects' age and years of education as predictors of premorbid intelligence. The present method uses subjects' year of birth and years of education as predictors of premorbid intelligence. Ten years have passed since the standardization of K-WAIS and the scale uses 10-year interval in age-grouping. Thus, 2001 is the critical year in which use of subjects' year of birth rather than their age as a predictor of premorbid intelligence makes a real difference. The K-WAIS norm data show that of subjects with the same level of education, the mean IQ of older subjects is higher than the mean IQ of younger subjects. This difference between older and younger subjects is not related to chronological ages but to cohort differences in education opportunity. Thus, it is more valid to use subjects' year of birth rather than their age as a predictor of premorbid intelligence.
본 연구에서는 PAI 타당성척도의 분할점수와 확인율을 기술하고 무선반응과 인상관리 집단의 프로파일을 제시하였다. 무선반응의 분할점수를 밝히기 위해 정상성인, 임상환자, 컴퓨터 시뮬레이션한 분포를 비교하여 분할점수를 제시하고 확인율을 계산하였으며 실제 대학생들에게 무선반응을 지시하여 분할점수의 유용성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인상관리를 탐지하기 위해 긍정적, 부정적 인상 지시조건에 대학생을 배정하여 구한 분포와 정상성인 및 임상환자의 분포를 비교하였다. 마지막으로 무선반응과 인상관리 집단의 프로파일을 제시하고 그 함의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described the cutoff scores, identification rates of PAI validity scales, and presented the profiles of random response and impression management groups. To examine the effective cutoff scores, the distribution of normal adults, clinical patients, and computer simulation were compared and suggested the cutoff scores and identification rates. University students were instructed to respond randomly, which was used to test the utility of cutoff scores. To detect the impression management, university students were assigned to positive and negative impression instruction condition and the distributions of these groups were compared with normal adults and clinical patients. Also, we presented the profiles of random response and impression management group and discussed other implications.
본 논문은 한국에서 발표되는 논문들에서 자주 발견되는 변량분석과 실험자료 분석의 비바람직한 관행 세 가지에 대하여 주의를 환기하고, 그러한 관행이 시정되어야할 이유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한국에서 변량 분석을 잘못 사용하는 가장 흔한 경우는 논문에 오직 F값만을 보고하는 것이다. F값만을 보고한 연구들은 학문의 의사소통 기능을 제한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두번째로 자주 발견되는 오류는 Scheffé검증이나 Tukey 검증 등의 사후비교(post-hoc comparison) 방법들에 의해 상호작용효과에 대한 해석을 시도하는 잘못된 관행이다. 쎌평균간의 차이검증이나 혹은 소위 "단순주효과검증(test of simple main effect)"은 상호작용효과를 이해하기 위한 적절한 절차가 아니다. 보다 적절한 절차는 직교대비(orthogonal contrast)에 의한 계획비교(planned comparison)를 활용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표본의 관찰단위수가 작다는 이유로 t 검증이나 F 검증을 하는 대신 비모수검증(nonparametric test)을 하는 것은 비모수검증 뿐만 아니라 t 흑은 F 검증에 대한 이해부족에서 초래되는 잘못된 관행이다.
This paper is to remind cases in which analysis of variance is misused in psychological literature and explain why such misuses of ANOVA should be avoided The most common misuse of ANOVA is that authors report only F-values without any other results from the ANOVA. The secondly common misuse is that some authors perform unplanned comparisons of cell means to interpret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The thirdly common misuse is that some authors perform nonparametric tests instead of standard parametric ANOVA for the reason of small sample sizes.
불안 민감성이란 불안의 신호나 증상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하는 정도로 풀이할 수 있다. 이 개념을 제안한 Reiss에 따르면 "불안 증상이 해로운 결과를 가져온다는 믿음 때문에 그 신호를 두려워하는 것"으로 정의되며, 줄여서 '불안에 대한 공포'로 불리기도 한다. 또한 우리가 흔히 겪을 수 있는 보편적인 공포를 증폭시키는 원천적 공포의 하나이며, 이와 일치하게 불안 민감성 개념의 핵심은 불안 신호의 증폭 요소라는 점으로 정리할 수 있다. 요인 분석 연구에 따르면, 불안 신호의 증폭 기제는 세 가지 이상의 하위 유형으로 나눠지되, 이들이 다시 하나의 일반 요인으로 수렴되는 위계적인 구조를 이룬다. 그 내용을 보면, 불안 신호의 출처에 따라 신체적 영역, 인지적 영역, 사회적 영역의 민감성 등으로 불안 증폭의 기제가 세분된다. 한편, 불안 민감성의 존재 근거에 대한 도전으로 '특질 불안과 다르지 않다'라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는데, 이 논쟁은 현재에도 계속되고 있다. 그래서 대안적 설명으로서 특질 불안의 작용을 배제하는 것이 숙제로 따라 다닌다. 이런 도전에도 불구하고, 불안 신호의 내적 증폭 장치로서 개념적 유용성은 공황 장애를 설명하는 데서 발휘되고 있다. 비임상 집단이나 임상 집단을 대상으로 한 연구 모두에서 불안 민감성이 공황 경험과 공변하는 개인차 변인임이 보고되고, 종단적인 연구를 통해 공황 장애에 대한 중요한 병전 위험 요인임이 밝혀지고 있는 등 불안 민감성의 인과적 작용이 일관되게 입증되고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쟁점, 과제, 관심사는 곧 향후 연구의 방향과 지침으로 이어질 수 있다. 미래의 연구에서 가장 시급한 과제는 불안 민감성이 공황 장애에서 차별적인 상승을 보인다는 기초적 발견을 반복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시작으로 해서, 순수한 불안 증상의 빈도와 불안 민감성의 상호작용을 규명하는 일, 불안 민감성의 하위 기제를 세분화하여 공황 발작과 어떻게 관련되는지를 밝히는 일, 그리고 기존의 불안 민감성 지표를 확장하고 외부 준거에 비추어 그 타당성을 입증하는 연구 등이 진행될 수 있을 것이다.
The concept of Anxiety Sensitivity(AS) can be interpreted as the degree with which one reacts sensitively to signs or symptoms of anxiety. According to Reins who developed the concept, AS is defined as fear of anxiety symptoms based upon the belief that these are followed by harmful consequences. AS is one of fundamental fears which usually amplify the common fears in everyday life. Consistent with this theoretical formulation, the core concept of AS is that it acts as an inner amplifier of anxiety signals. According to factor analytic study, AS has a hierarchical structure, consisting of at least three factors, loading on a single higher order factor. The content of the lower-order factors suggests that the mechanisms of fear amplification may be classified to the source of anxiety signals such as somatic, cognitive, social domains. On the other hand, the arguments that AS is not different from trait anxiety have challenged the construct validity of AS. Therefore it is the task of current AS researches to rule out the influence of trait anxiety as an alternative explanation. In spite of the challenge, AS as an amplifier of anxiety signals has proven its conceptual utility in explaining the etiology and maintenance of the panic disorders. Various researches on the nonclinical or clinical panic attack phenomenon consistently have reported that AS is a stable variable that covaries with the panic. Through the longitudinal designs, it has been proven that AS is a critical premorbid risk facts for panic disorders, suggesting the causal role of AS. From these reviews on AS, future research directions can be deduced. The most urgent task is to replicate in Korea the basic finding that AS is heightened only in panic disorder, not in other anxiety disorders. Based upon this finding, subsequent issues and interests as followings can be answered through relevant researches; 1) the interaction of AS with pure anxiety symptoms, 2) the relationship between subfactors of AS and panic disorders, 3) extension of AS index and its validation against external criterion.
본 연구에서는 우리 나라의 대표적인 만성 질환 가운데 하나인 위장 질환자의 대안의학 이용 현황 및 대안의학의 사용과 연관된 심리사회적, 인구통계학적 변수들을 살펴보았다. 서울중앙병원 소화기내과 외래를 방문한 환자(N=147)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체 환자의 76.2%가 일생 동안 한 번 이상 대안의학을 사용해 본 경험이 있었으며, 현재 앓고 있는 위장 질환과 관련하여서는 15.6%가 대안의학과 서양 의학 치료를 병행하고 있었다. 대안의학과 병원 치료를 병행하고 있는 사람들일수록 과거 대안의학 이용 경험이 많았으며 그 경험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이들은 추후 재발할 경우에도 대안의학 기법의 병행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경증적 경향성이나 우울 증상의 정도 등의 심리적 특성은 대안의학의 사용과는 뚜렷한 연관이 없었다. 하지만, 서양 의학 기법을 계속 고수하는 집단일수록 건강에 대한 통제감의 소재가 외부('powerful other')에 있는 경향성이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d the psychosocial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related to the alternative medicine usage in chronic gastrointestinal disorder patients. One hundred and forty-seven chronic gastrointestinal disorder patients' data were gathered and analyzed. Seventy-six percent of the patients have had iced alternative medicine at least once in their lifetime, and 15.6% of the patients were using alternative medicine therapy for their current gastrointestinal problems. The patients who were utilizing both orthodox medicine and alternative medicine for their current problems were more familiar to alternative medicine, had more previous experience in alternative medicine therapies, and were more satisfied in them. These patients were more likely to combine the two treatment methods should their symptoms relapse in the future. In this study, psychological variables such as neuroticism or depressive symptoms were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alternative medicine usage. However, patients who use, and will use only orthodox medicine showed a tendency of "powerful other" health locus of control.
본 연구에서는 한국 HIV감염자의 정신건강상태와 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조사하였다. 조사대상은 HIV감염자로 확인되어 국가기관으로부터 정기적으로 검사를 받고 있는 남성 감염자 71명이었으며 간이정신 진단검사(SCL-90-R)와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HIV감염자들은 불안증, 정신증, 우울증 등의 정신건강 문제를 나타내는 비율이 정상인보다 현저하게 높았다. 특히 정신건강의 문제를 지닌 HIV감염자들은 HIV감염기간이 짧으며 생계유지에 어려움을 겪고 있고 자신의 감염사실을 주변사람들에게 공개하지 않으며 자신의 심리적 문제를 상의한 사람이 부족한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의 시사점과 더불어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mental health status and some related factors of HIV-infected Korean males. 71 HIV-infected males were administered with the Symptom Checklist-90-Revised and a questionnaire including several factors related to their mental health. As the result, high rate of HIV-infected persons showed poor mental health status, particularly, high anxiety, psychoticism, and depression. HIV-infected persons with poor mental health tend to have short HIV-infection period, be unstable in financial status for a living, be reluctant to disclose the fact of their infection to other people, and have few persons who may consult with their psychological problems.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in terms of their implication and limi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