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한국판 아동청소년용 사회 불안 척도의 타당화 연구

A Validation Study of the Korean Social Anxiety Scale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초록

본 연구는 한국판 아동ㆍ청소년 사회 불안의 측정도구를 구성하고 신뢰도 및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한국판 아동 청소년용 사회 불안 척도는 Beidel, Turner와 Morris(1993)의 아동용 사회공포증 및 불안 척도와 LaGreca와 Stone(1993)의 개정판 아동용 사회 불안 척도를 번안한 내용을 기초로 구성되었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5년 255명, 중학교 1-2년 221명, 고등학교 1-2년 273명이었다. 연구 결과, 한국판 아동ㆍ청소년용 사회 불안 척도는 수행 불안,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회피 행동 및 사고, 낯선 것에 대한 두려움, 비주장성이라는 5개의 하위 요인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하위요인의 내적 일치도 계수는 .79-.92였다. 또한, 타당도도 비교적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판 아동ㆍ청소년용 사회 불안 척도를 통해 초, 중, 고 남녀 학생의 사회 불안 점수를 비교해 보았을 때, 연령 및 성별에 따른 차이는 모두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중심으로 한국판 아동ㆍ청소년용 사회 불안 척도의 유용성 및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keywords
아동청소년용사회불안척도, 사회불안척도, 신뢰도, 타당도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co develop the Korean version of Social Anxiety Scale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and confirm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Grounded on translations of Social Anxiety Scale for Children-Revised(LaGreca & Scone, 1993) and Social Phobia and Anxiety Inventory for Children(Beidel, Turner, & Morris, 1993), the Korean Social Anxiety Scale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was constructed and psychometric properties were evaluated. Participants were 753 students(255 in 5th grade, 221 in 7th through 8th grade, and 273 in 10th through 11th grade). The results of a factor analysis indicate that the scale consists of 5 factors: Performance anxiety, Feat of negative evaluation, Avoidance, Fear of new situation or unfamiliar peer, and Nonassertiveness. Internal consistencies for its subscales were ranged .79-.92, and construct validity was good. Both age and gender difference of scores on the Korean Social Anxiety Scale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were not significant. On the basis of this result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instrument were discussed.

keywords
social anxiety scale, child & adolescents, reliability, validity
투고일Submission Date
2001-12-15
수정일Revised Date
2002-03-18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02-04-03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