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메뉴

권호 목록

자원봉사자에 의한 개인상담과 보호관찰 청소년의 재비행: 탐색적 연구
홍은애(연세대학교) ; 오경자(연세대학교) pp.269-279 https://doi.org/10.15842/kjcp.2002.21.2.00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1996년 1월부터 1997년 12월까지 2년 간 소년법원으로부터 보호관찰1,3호 처분을 받아 서울지역의 한 보호관찰소에 의뢰된 청소년 총 340명 중, 가족상담실에 의뢰되어 월 1회 정도 자원봉사자의 상담을 받은 상담집단 174명과 관례적인 보호관찰직원의 면담을 받은 비상담집단 256명의 재비행율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전반적인 재비행율에서는 상담집단(31%), 비상담집단(39%)이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상담집단과 비상담집단에서 각각 재비행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함수분석을 시시한 결과 상담집단에서는 연령과 비행력 유무가 중요한 변수로, 비상담집단에서는 최초비행연령과 어머니의 학력이 중요한 변수로 드러났다.

Abstract

In the present study, effect of individual counseling by volunteer counselors was evaluated by comparing the recidivism rate during the 2-year probation period of 171 juvenile delinquents on probation who were provided with monthly individual counseling by volunteers (Counseling Group) to the recidivism rate of another group of 256 juvenile delinquents monitored through routine monthly meetings with probation officer(Non-counseling Group). The results showed that the overall rate of recidivism did not differ for the Counseling(31%) and Non-counseling Group(39%). Stepwise discriminant function analyses with regard to recidivism during the 2-year probation period revealed that age and prior record of delinquency (Counseling Group), and history of running away from home prior to age 15 and mother's education level(Non-counseling Group) were highly correlated with the discriminant function in the respective groups.

정신분열병 환자를 위한 사회인지 재활프로그램의 효과:Ⅰ. 1차 연구
권정혜(고려대학교) ; 고영(용인정신병원) pp.281-292 https://doi.org/10.15842/kjcp.2002.21.2.00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정신분열병환자들의 사회적 기능손상 기저에 있는 사회인지 결함을 개선할 때 사회기술훈련의 효과가 더 증진될 수 있다는 가정하에 개발된 사회인지 재활프로그램(권정혜, 2000)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첫 번째 연구이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4차에 걸쳐 만성 정신분열병 환자 총 25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사회지각능력, 사회인지능력, 사회생활기술, 대인관계기능을 프로그램 전후로 평가하였다. 제1차 시행과 제2차 시행에서는 통제집단 없이 치료집단 환자들의 사전ㆍ사후 검사 점수사이에 차이가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Wilcoxon 검증을 한 결과 제1차 시행에서는 치료집단 환자들의 대인관계기능과 사회생활기술에서 유의한 점수변화가 나타났으며, 제2차 시행에서는 치료집단 환자들의 대인관계기능에 유의한 점수변화가 나타났다. 제3차 시행과 제4차 시행에 참여한 12명 환자의 프로그램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만성 정신분열병 환자 19명과 비교하였다. 사전 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하여 사후 검사 점수에 대해 공변량분석한 결과 사회생활기술에서 집단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대인관계기능에서 집단간 차이의 경향성을 보였다. 이 결과는 사회인지 재활프로그램이 정신분열병 환자들의 대인관계기능이나 사회생활기술을 개선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시사한다. 이와 관련하여 사회인지 재활프로그램의 효과와 개선방향, 후속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social-cognition enhancing rehabilitation program developed by Kwon(2000). The main components of the program were helping schizophrenic patients perceive social situations accurately, understand the interpersonal implications of given social situations, and express nonverbal and verbal behaviors which are socially appropriate. Four clinical trials were performed to evaluate the impact of social-cognition enhancing rehabilitation program on schizophrenic patients' social perception and social skills. For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administration, participants were five, eight, six, and six chronic schizophrenic patients, respectively, who were attending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 center. They attended ten weekly 60-min-sessions of social-cognition enhancing rehabilitation program. Control group of 20 patients who were institutionalized chronic schizophrenia was compared to the third and fourth treatment group. Both group were administered and rated on the picture arragemenet subtest of KEDI-WISC, Social skills inventory, Interpersonal functioning Inventory, and Social perception test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Results of covariance analysis indicated that the social-cognition enhancing rehabilitation program was effective in increasing social skills, but not in enhancing social cognition. Th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were discussed.

발달장애아동과 부모의 반응성 상호작용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검증
김정미(중앙대학교) pp.293-311 https://doi.org/10.15842/kjcp.2002.21.2.003
초록보기
초록

부모가 자녀와 관계하는 태도는 자녀의 인지, 언어, 그리고 사회-정서 발달에 근본적이고 장기적인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일상생활 중에서 부모와 자녀간의 반응적인 상호작용을 촉진하기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3-8세사이의 발달장애가 있는 아동과 그 어머니 18명이다. 그 중 부모-아동 10쌍은 실험집단이고 8쌍은 통제집단이다. 실험집단의 어머니들은 주 1회씩 12회기간 동안 프로그램 중재 과정을 거쳤다. 프로그램 실시 결과, ‘부모-아동 반응성 상호작용 증진 프로그램’은 부모의 반응적인 상호작용 태도를 촉진하고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에서 자녀와의 관계에 대한 스트레스를 낮추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관계 중심적 접근(Relationship focused approach)에 근거한 부모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발달장애아동의 발달적 성장을 촉진하는 부모의 상호작용 유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Abstract

The manner that parents relate to their children has a substantial and long term influence on children's cognitive, language and socio-emotional develop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arenting intervention program to be incorporated easily into routine interactions between parent-children and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program, using a control group with pre-post test desig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8 moth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s(ages 3~8 years). Among them, 10 mothers were assigned to the intervention group and 8 mothers to the control group, at random.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Promoting Program for Parent-child Responsive Interaction」is the effective intervention program to enhance the parenting style for the promoting developmental well-being of disabled children and reduce the parenting stress reciprocally. Additionally, it is implied tha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erms of using the parenting intervention program based on family-focused approach.

부부의 대인관계, 의사소통 방식, 결혼만족도가 부부폭력에 미치는 영향
이종선(고려대학교) ; 권정혜(고려대학교) pp.313-330 https://doi.org/10.15842/kjcp.2002.21.2.00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부부의 언어적 폭력과 신체적 폭력 사이에 관련성이 있는지, 성별에 따라 폭력을 행하는 수준이 다른지, 그리고 언어적 폭력과 신체적 폭력을 설명해 주는 변인이 연령과 성별에 따라 달라지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일반인 부부 211쌍의 남편과 부인 각각에게 폭력, 의사소통, 충동성, 대인관계 문제를 측정하는 설문지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분석결과 남편과 부인의 언어적 폭력과 신체적 폭력 간에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남편과 부인 모두 언어적 폭력과 신체적 폭력을 행하는 수준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언어적 폭력과 신체적 폭력을 설명하는 변인들이 성별과 연령에 따라 어떻게 다른지를 알아보기 위해 단계적 중다회귀 분석을 실시했다. 그 결과 40세 미만 남편의 언어적 폭력을 잘 설명해 주는 변인은 자신의 요구행동이고 부인의 경우는 자신의 요구행동과 충동성이었다. 40세 이상 남편의 경우는 부인의 요구행동, 부인의 철수행동, 그리고 자신의 상호건설적 의사소통인 것으로 나타났다. 40 미만 부인의 경우는 자신의 요구행동과 충동성이, 40세 이상 부인은 요구행동이 언어적 폭력을 잘 설명해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 신체적 폭력에 대해 살펴보았는데, 연령과 성별에 관계없이 신체적 폭력을 가장 잘 설명해 주는 변인은 언어적 폭력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40세 미만 남편의 경우는 언어적 폭력을 포함한 어떤 변인도 유의한 설명력을 갖지 못했다. 40세 이상 남편의 경우는 언어적 폭력 다음으로 공격적 대인관계, 자신의 요구행동, 부인의 요구행동이 신체적 폭력을 잘 설명해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40세 미만 부인의 경우는 언어적 폭력 다음으로 피착취적 대인관계와 자신의 요구행동이 신체적 폭력을 잘 설명해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40세 이상 부인의 경우는 언어적 폭력만이 신체적 폭력을 잘 설명해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verbal and physical violence and identify gender differences in severity and associated variables of marital violence. Subjects consisted of 211 couples(husbands: 211, wives: 211) who were recruited in the community.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demonstrated between verbal and physical violenc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husbands and wives in the rate of verbal and physical violence against spouse. To determine the relative contributions of variables to explaining verbal and physical violenc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as conducted. In verbal violent group, it was demonstraed that demanding communcaion behaviors explained 16.2% of variance of husband's violent behaviors(under 40). Wife's demanding communication behaviors, wife's withdrawing communication behaviors, and mutual constructive communication behaviors explained 27.5% of variance of husband's violent behaviors(above 40). Demanding communcaion behaviors and impulsivity explained 14.7% of variance of wife's violent behaviors(under 40). Demanding communication behaviors explained 17.8% of variance of wife's violent behaviors(above 40). In physical violent group, verbal violence, aggressive interpersonal problems, demanding communcaion behaviors, and wife's demanding communication behaviors explained 67.3% of variance of husband's violent behaviors(above 40). Verbal violence, exploitive interpersonal problems, demanding communcaion behaviors explained 50.6% of variance of wife's violent behaviors(under 40). Verbal violence explained 21.9% of variance of wife's violent behaviors(above 40).

부부 의사소통패턴과 특징적 갈등대처방식
장문선(마인드플러스 심리상담센터) ; 김영환(경북대학교) pp.331-347 https://doi.org/10.15842/kjcp.2002.21.2.00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부부 의사소통패턴이 결혼만족도를 어느 정도 설명해 줄 수 있는가를 살펴보고, 의사소통패턴과 남편과 아내의 특징적 갈등대처방식과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의사소통패턴, 정서중심대처, 문제중심대처 및 자아방어기제를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남편과 아내는 공통적으로 인구통계학적 변인 중 연령, 학력, 자녀수 및 결혼기간이 결혼만족도와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고, 아내의 경우 이러한 변인과 함께 가족형태가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내었다. 둘째, 상호 건설적 의사소통이 결혼만족도와 가장 높은 정적 상관을 보인 반면, 상호 회피적 의사소통이 가장 높은 부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남편요구-아내철회 의사소통에 비해 아내요구-남편철회 의사소통이 결혼만족도와 더 높은 부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인구통계학적 변인, 부부 의사소통패턴, 정서중심대처, 문제중심대처 및 자아방어기제가 결혼만족도를 어느 정도 설명하는가를 분석한 결과 의사소통패턴의 설명력이 가장 높았다. 넷째, 남편의 경우 갈등대처방식은 결혼만족도를 유의미하게 설명해 주지 못하는 것으로 밝혀진 반면, 아내의 경우 정서중심대처와 자아방어기제가 결혼만족도를 유의미하게 설명해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아내의 부부의사소통패턴을 정서중심대처와 자아방어기제가 어느 정도 설명해 줄 수 있는가를 살펴본 결과 상호건설 의사소통은 분노조절, 수동공격이 유의미하게 설명하였으며, 상호회피 의사소통은 행동화, 타협, 수동공격이, 그리고 아내요구-남편철회 의사소통은 긍정적 해석이 유의미하게 설명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wa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marital communication patterns on marital satisfaction and the influence of conflict coping strategies on functional, dysfunctional marital communication patterns. For this purpose, marital satisfaction, couple communication pattern, emotion focused coping, problem focused coping and ego defense mechanism were measured.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Marital satisfaction was influenced by various demographic factors such as the number of children, education, marital durations, family size(for wives), and age. (2) Marital satisfaction positively related to constructive communication pattern, whereas negatively related to avoidant and demand-withdraw pattern. (3) In husbands, marital satisfaction was not influenced by the conflict coping strategies. Whereas in wives, marital satisfaction was influenced by emotion focused coping and ego defense mechanism. (4) In wives, anger control, passive-aggressive behavior influenced to constructive communication pattern and acting out, passive-aggressive behavior, compromise influenced to avoidant communication pattern. Wife demand-husband withdraw pattern was influenced to positive interpretation. (5) Finally,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뇌손상 심도에 따른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지능 장애와 기억 장애 비교
오상우(원광대학교) ; 이소영(경북대학교) ; 권혁철(경북대학교) pp.349-360 https://doi.org/10.15842/kjcp.2002.21.2.00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지능 장애와 기억 장애가 뇌손상 심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연구 대상은 외상성 뇌손상 환자 114명이었는데, 의식 소실 기간에 따라 가벼운 정도(30명), 중간 정도(17명), 심한 정도(67명)의 세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이들 세 집단은 성별, 연령, 교육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지능 평가를 위해서는 K-WAIS를 실시하였고, 병전 지능 추정은 김홍근(2000b)의 방식에 따랐다. 기억 평가를 위해서는 Rey-Kim 기억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먼저, 심한 정도의 뇌손상 환자 집단은 가벼운 정도의 뇌손상 환자 집단보다 현재 지능이 유의하게 낮았고, 병전 지능과 현재 지능의 차가 더 컸다. Rey-Kim 기억검사로 측정한 MQ는 심한 정도의 뇌손상 집단이 가벼운 정도의 뇌손상 집단보다 유의하게 더 낮은 점수를 보였다. 끝으로, 본 연구의 임상적 의의와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telligence and memory disturbances of patients with traumatic brain injury. The subjects consisted of three following groups by its severity: the patients with mild traumatic brain injury(n=30); the patients with moderate traumatic brain injury(n=17); the patients with severe traumatic brain injury(n=67). The K-WAIS and the Rey-Kim Memory Test was administered and scored by manual and premorbid intelligence was estimated Kim(2000)'s method. The following results could be obtained. First, measured IQ of the severe traumatic brain injury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mild brain injury group. Seco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remorbid IQ and the measured IQ of the severe traumatic brain injury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mild brain injury group. Third, the MQ of the severe group was lower than the MQ of the mild traumatic brain injury group. Finally, the clin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어머니의 애착유형이 아동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 미국 비교 연구
항영옥(서울여자대학교) pp.361-376 https://doi.org/10.15842/kjcp.2002.21.2.00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어머니의 애착 유형이 자아존중감, 우울감, 심리적 안녕감, 그리고 아동의 행동문제에 어떻게 영향을 주며 이러한 변인들이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이러한 특징들을 횡-문화적 입장에서 한국집단과 미국집단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첫째로 어머니의 애착 유형의 분포는 두 국가간에 차이가 없었고, 한국 어머니들이 미국 어머니들에 비해 자아존중감 수준이 유의하게 낮았다. 한편 아동행동문제에서는 한국 아동이 미국 아동에 비해 ‘신체적 호소’의 문제행동을 유의하게 많이 보인 반면, 공격성의 행동문제는 미국아동이 한국아동에 비해 유의하게 많이 보였다. 둘째로 한국집단과 달리 미국집단에서는 안정 애착유형을 지닌 어머니의 자녀가 불안정 애착유형을 지닌 어머니의 자녀에 비해 행동문제를 더 적게 나타내고 있듯, 미국집단에서 어머니의 애착유형이 자녀의 발달 전반에 매우 중요한 변인이 됨을 알 수 있었다. 셋째로 미국집단에서 어머니의 애착유형은 어머니의 우울감에 영향을 미치며, 이를 통하여 아동의 내재화 및 외현화 행동문제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이는 어머니의 애착이 아동의 행동문제를 일으키는 경로에서 어머니의 우울감이 악화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이다. 이와 같은 결과에 대한 논의가 있었다.

Abstract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a maternal attachment style influences the self-esteem, depressi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behavioral problems of her children. This is a cross cultural study in which a Korean population is compared with an American popul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distribution of maternal attachment styles between Korea and America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level of Korean mothers' self-esteem was lower than that of American mothers. In addition, the 'somatic complaints' behavioral problem was more frequent in the Korean child group. But the 'aggression' behavioral problem was more frequent in the American child group. Second, in the American group the children of mothers with an unstable attachment style showed more frequent behavioral problems than the children of mothers with a stable attachment style. It becomes clear that a maternal attachment style is a very important variable that affects the child development. Lastly, when examining the paths through which a maternal attachment style influences her child's behavior, this researcher discovered that in the American group, the maternal attachment style indirectly influenced both internalized and externalized behavioral problems of the children through the maternal depression. This suggests that the maternal depression works as an antagonizing factor along the path in which a maternal attachment style influences her child's behavior.

정신분열병 환자의 인지결함
리광철(원광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오상우(원광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정일관(원광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백영석(원광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박민철(원광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pp.377-389 https://doi.org/10.15842/kjcp.2002.21.2.008
초록보기
초록

정신분열증 환자 20명, 외상성 뇌손상 환자 20명, 정상인 20명을 대상으로, K-WAIS, Rey-Kim 기억검사, WCST를 사용하여, 정신분열증 환자가 인지 결함이 있는지, 만일 인지 결함이 있다면 인지 기능 전반에 걸쳐서 나타나는지 아니면 특정 인지 기능에서만 결함이 나타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정신분열증 환자 집단은 병전 지능에 비하여 현재 지능이 유의하게 저하되어 있었고, 언어성 지능, 동작성 지능, 전체 지능 모두에서 정신분열증 환자 집단은 정상 대조 집단보다 유의하게 낮았는데, 외상성 뇌손상 환자 집단과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정신분열증 환자 집단은 인지적 융통성, 언어적 이해력, 공간적 조직화 능력, 시각 운동 처리와 주의, 청각 처리와 주의, 청각 기억, 그리고 시각 기억에서 정상 대조 집단보다 유의하게 저조한 수행을 보였으나, 외상성 뇌손상 환자 집단과는 의미 있는 차가 없었다. 이런 결과는 정신분열증 환자가 정상인에 비해 전반적인 인지 결함을 보이나, 특히 청각 처리와 주의, 시각 운동 처리와 주의, 청각 기억, 언어적 이해력에서의 결함이 두드러짐을 시사한다.

Abstract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ognitive deficits of patients with schizophrenia. Twenty schizophrenics, twenty traumatic brain injury patients, and twenty normal control were performed the K-WAIS, Rey-Kim Memory Scale, and WC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emorbid intelligence and present intelligence in groups of schizophrenic patients. Schizophrenic group were lower score than normal control in verbal IQ, performance IQ, full scale IQ,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chizophrenic patients and traumatic brain injury patien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chizophrenic patients and controls in cognitive flexibility, verbal comprehension, spatial organization, visual motor processing and attention, auditory processing and attention, auditory memory, and visual memory,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chizophrenic patients and traumatic brain injury patients in all variabl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schizophrenics showed generalized cognitive impairment relative to controls and showed more severe cognitive deficit in auditory processing and attention, auditory memory, visual motor processing and attention, and verbal comprehension than other functions.

한국형 대인관계문제검사의 타당화: KIIP-C와 KIIP-PD의 신뢰도와 타당도
김영환(경북대학교) ; 권정혜(고려대학교) ; 홍상황(진주교육대학교) ; 진유경(Dept. of Health andCommunity Systems University of Pittsburgh) ; 조용래(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 ; 박은영(대구정신병원) pp.391-411 https://doi.org/10.15842/kjcp.2002.21.2.009
초록보기
초록

KIIP-C와 KIIP-PD는 내적 합치도, 검사-재검사 신뢰도, 수렴타당도와 변별타당도 측면에서 신뢰롭고 타당하다고 하겠다. 뿐만 아니라 99개 문항을 한 번에 실시함으로써 대인관계 전 영역을 파악하고 성격장애를 선별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임상심리학의 이론적 연구와 임상 실제, 그리고 다른 여러 장면에서 매우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마지막으로 본 연구에는 향후 연구에서 몇 가지 보완되어야 할 점들이 있다. 첫째, 본 연구는 대학생과 성인의 두 정상집단에 대해서만 연구되었으므로 연구대상을 임상표본을 포함한 다양한 집단에게로 확장하여 본 연구의 결과를 교차타당화할 필요가 있다. 둘째, KIIP-PD의 경우 우리 나라 연구들을 종합하여 문항분류를 원판과 달리 일부 조정하기는 하였으나 미국에서와 마찬가지로 우리 나라에서도 정상인과 다양한 임상진단집단을 대상으로 성격장애의 유무와 성격장애 군집의 유형을 선별할 때의 임상적 유용성, 그리고 분할점수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하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was intended to examin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s(KIIP). KIIP-Circumplex scales(KIIP-C) and KIIP-Personality disorder scales(KIIP-PD) are two independent measures that are derived from the IIP. KIIP-C is composed of eight scales which measure interpersonal problems in the circumplex space, comprehensively. KIIP-PD is included with 5 scales, three PD scales that distinguish between patients with any versus no PD and two scales that distinguish between patients with a cluster C personality disorders and the other disorders. Using the sample of university student(N=1,460) and adult(N=1,474) standardization sampl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KIIP were calculated. Internal consistency of KIIP-C and KIIP-PD were .69~.93, .68~.85, test-retest reliability were .59~.84, .61~.80, respectively. Also, the correlation of validity indices seemed to be appropriate. Theses results are consistent with previous studies and support the utility of KIIP-C and KIIP-PD as a general interpersonal problem measure and a screening tool for the presence or absence of personality disorders.

사회적 문제 해결 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최이순(연산정신병원) pp.413-428 https://doi.org/10.15842/kjcp.2002.21.2.010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사회적 문제해결 능력을 평가하는데 유용하다고 입증된 SPSI의 개정판 SPSI-R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경험적 자료에 근거하여 5개의 요인구조가 적합하다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대학생 400명이 SPSI-R과 PSI에 응답했다. 검사의 내적 합치도와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비교적 높은 편이었고 PSI와의 관계도 유의한 상관을 보여서 검사의 타당함을 밝혔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좋은 적합도 지수를 나타내어 5요인 모형으로 분류하는 것이 적절함이 확인되었다. 사회적 문제해결 과정에 있어서 성 차이가 있는지 조사한 결과 남자가 여자보다 ICS에서 더 높은 점수를 얻었다. 연구 결과 5요인 모델의 적합성 의미와 임상적 결함평가 및 치료평가라는 측면에서 논의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of the Social Problem Solving Inventory-Revised(SPSI-R). Also this study seeks to confirm and compare 5 factor constructs in social problem solving inventory- revised. SPSI-R and PSI were administered to 400 college students. These revealed high internal consistency and high test-retest and concurrent validity. The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firmed 5 construct factors of social problem solving inventory-revised. Gender differences were found in ICS(impulsive/careless scale), as one of the five factors. Several discussions were made, analyzed about five construct factor. Th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also discussed.

한국판 아동청소년용 사회 불안 척도의 타당화 연구
문혜신(연세대학교 심리학과) ; 오경자(연세대학교 심리학과) pp.429-443 https://doi.org/10.15842/kjcp.2002.21.2.01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한국판 아동ㆍ청소년 사회 불안의 측정도구를 구성하고 신뢰도 및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한국판 아동 청소년용 사회 불안 척도는 Beidel, Turner와 Morris(1993)의 아동용 사회공포증 및 불안 척도와 LaGreca와 Stone(1993)의 개정판 아동용 사회 불안 척도를 번안한 내용을 기초로 구성되었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5년 255명, 중학교 1-2년 221명, 고등학교 1-2년 273명이었다. 연구 결과, 한국판 아동ㆍ청소년용 사회 불안 척도는 수행 불안,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회피 행동 및 사고, 낯선 것에 대한 두려움, 비주장성이라는 5개의 하위 요인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하위요인의 내적 일치도 계수는 .79-.92였다. 또한, 타당도도 비교적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판 아동ㆍ청소년용 사회 불안 척도를 통해 초, 중, 고 남녀 학생의 사회 불안 점수를 비교해 보았을 때, 연령 및 성별에 따른 차이는 모두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중심으로 한국판 아동ㆍ청소년용 사회 불안 척도의 유용성 및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co develop the Korean version of Social Anxiety Scale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and confirm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Grounded on translations of Social Anxiety Scale for Children-Revised(LaGreca & Scone, 1993) and Social Phobia and Anxiety Inventory for Children(Beidel, Turner, & Morris, 1993), the Korean Social Anxiety Scale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was constructed and psychometric properties were evaluated. Participants were 753 students(255 in 5th grade, 221 in 7th through 8th grade, and 273 in 10th through 11th grade). The results of a factor analysis indicate that the scale consists of 5 factors: Performance anxiety, Feat of negative evaluation, Avoidance, Fear of new situation or unfamiliar peer, and Nonassertiveness. Internal consistencies for its subscales were ranged .79-.92, and construct validity was good. Both age and gender difference of scores on the Korean Social Anxiety Scale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were not significant. On the basis of this result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instrument were discussed.

전산화된 치매선별 검사(Computerized Dementia Screening Test: CDST)의 규준 연구
최진영(서울대학교) ; 김상윤(서울대학교) ; 조비룡(서울대학교) ; 양동원(가톨릭대학교) ; 박미선(서울대학교) pp.445-460 https://doi.org/10.15842/kjcp.2002.21.2.012
초록보기
초록

CDST는 치매선별검사로서 타당하고, 한국 노인들에게 적절한 검사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규준과 경계 점수는 피검자의 수행을 이해하고 진단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검사는 한국 최초로 컴퓨터를 이용하여 치매 선별 검사를 새로 개발하였다는 의의를 지닌다. 이에 더해, 치매 선별을 보다 정교하게 하기 위해 단순한 총점이 아닌 치매 가능성 여부에 대한 해석까지 자동으로 제공된다. 이에 더해 본 연구의 결과들은 이후에 다양한 목적으로 개발될 수 있는 전산화된 신경심리검사 제작에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해 줄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This study purported to develop norms for the Computerized Dementia Screening Test (CDST) in elderly Korean population. In order to develop valid norms, effects of demographic variables on the test performance were examined as well as the validity of the test itself. Normative sample consisted of one hundred twenty elderly volunteers whose ages were between 55 and 84 living in Seoul, Kyungki-do, and Kwangju. Age and education proved to be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CDST performance, while gender and literacy proved to be of minimal importanc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CDST and the K-DRS performance was .53 (p < .001).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ith AD patients and normal participants matched for age and education produced superb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92%. A rank method was utilized to develop standardized scores that would provide cut-off scores which can be utilized to a wider range of elderly samples. These cut-off scores based on standardized scores yielded excellent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88%, which were superior to cut-off scores based on raw scores. A multi-component decision-making procedure introduced in this study used in conjunction with the standardized scores appear to be a more informative and valid approach for screening dementia.

위스콘신 카드 분류검사의 발달추세연구-7~11세 아동을 중심으로-
고려원(연세대학교) ; 강연욱(한림대학교) ; 오경자(연세대학교) ; 박미자(연세대학교) pp.461-478 https://doi.org/10.15842/kjcp.2002.21.2.01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학령기 정상 아동집단을 대상으로 위스콘신 카드분류검사(WCST)의 10개 채점지표에 나타나는 발달추세를 검증하고 이들 채점지표가 측정하는 인지요인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컴퓨터 버전 WCST(Heaton, 1991)을 7세에서 11세 연령범위의 초등학생 160명에게 실시하였다. KEDI-WISC로 측정하였을 때 이들 아동의 전체지능은 80에서 138(M=112.02, SD=11.77)의 범위에 속하였으며 연령집단별 전체지능의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WCST의 10개 채점지표를 사용하여 주축요인화법(principal axis factoring)을 사교회전 방법(oblique rotation)을 사용하여 실시한 결과 아이겐값이 1이상인 3개의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이들 요인은 ‘개념형성(요인 Ⅰ: 설명변량 60.24%)’, ‘보속성(요인 Ⅱ: 설명변량 18.52%)’, ‘주의유지능력(요인 Ⅲ: 설명변량 12.12%)으로 해석되었다. 7-11세까지 5개의 연령집단의 수행을 분석하였을 때 10개의 채점지표중 ‘지속실패’를 제외한 9개의 채점지표에서 연령집단의 주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성별 및 성별과 연령의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요인 Ⅰ에 가장 높은 요인 부하값을 나타낸 ‘전체 시행수’, ‘비보속오류수’, ‘개념수준반응수’, ‘완성범주수’와 ‘첫범주완성시행수’의 5개 채점지표는 모두 7세에서 8세 사이에 유의미하게 수행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요인 Ⅱ에 높은 요인 값을 나타낸 ‘보속오류수’는 9세에 비하여 11세에서 유의미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WCST가 단일 인지기능을 측정하기보다는 서로 다른 발달 경로를 가진 중다인지기능을 측정하는 도구임을 지지하는 것이다.

Abstract

Although the Wisconsin Card Sorting Test (WCST) has been widely used to evaluate the frontal lobe functioning, there is no published data on normal children in Korea which results in limitation of its clinical validity in children.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developmental trends of normal children`s performance on the WCST. The computerized version of WCST (Heaton, 1991) was administered to 160 elementary school children aged 7 to 11 years. Their Full Scale IQs measured by the Korean version of WISC-R ranged from 80 to 138 (M=111.02, SD=11.77). Children did not differ in FSIQ, VIQ, and PIQ when compared based on age. However, very moderat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FSIQ, VIQ, and PIQ scores and the scoring variables. Out of the 10 WCST scoring variables, 9 variables except Failure to Maintain Set showed age effect, but sex difference was not found in any variables. There was also no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age and sex. Important differences in developmental trends were found among the 10 WCST scoring variables. The nature of these differences was effectively explained by the three factors. From the principal axis analysis with oblique rotation using the 10 WCST scoring variables, three factors with eigenvalue greater than 1 emerged, interpreted as conceptual formation (Factor Ⅰ: accounted for 60.24% of variance), perseveration (Factor Ⅱ: 18.52% of variance), and ability to sustain attention (Factor Ⅲ: 12.12% of variance). The growth curves for the 5 scoring variables constituting Factor Ⅰ(Total Number of Corrects, Nonperseverative Errors, Conceptual level Responses, Number of Categories Completed, and Trials to Complete First Category)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from age 7 to 8, suggesting a developmental spurt during that period. By contrast, Perseveration Errors included in Factor Ⅱ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age 9 to 11, while Failure to Maintain Set included in Factor Ⅲ showed no age effec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WCST performance requires multiple cognitive functioning with different developmental trends.

자기개념 수준에 따른 편집증 하위유형의 탐색
이훈진(한림대학교) pp.479-486 https://doi.org/10.15842/kjcp.2002.21.2.014
초록보기
초록

자기개념, 타인개념, 귀인양식 등 편집증의 핵심 변인을 중심으로 편집증의 하위유형을 탐색하였다. 대학생 223명에게 편집 척도, Beck 우울 척도, 적대감 척도, 자기개념 질문지, 타인개념 질문지, 사회적 자기개념 질문지, 귀인양식질문지를 실시한 후 편집 척도 점수를 기준으로 편집 집단을 선발하였다. 편집증 하위 유형 탐색을 위해 선발된 편집 집단을 군집 분석하여 두 하위 군집을 추출하였으며, 자기개념 수준에 따라 두 하위 집단을 구분하였다. 그 결과, 자기개념이 상대적으로 긍정적인 편집증 하위집단은 자기개념이 부정적인 하위집단에 비해 우울 수준이 낮고, 사회적 자기개념이 긍정적이며, 긍정 사건을 내부로 귀인하였다. 높은 적대감과 부정적 타인개념은 두 집단의 공통 특성이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추후 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ubtypes of paranoia with the core variables of paranoia, such as the self-concept, the other-concept, and the attributional style. The Paranoia Scale,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 the Hostility Scale, the Self-concept Scale, the Other-concept Scale, the Social Self-concept Scale, and the Attributional Style Questionnaire were administered to 223 college students, and the paranoid students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score of the Paranoia Scale. Using the K-means Cluster Analysis two subgroups were extracted. And also, the paranoid group was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self-concept. The subgroup with relatively high self-concept was showed more high social self-concept and less depression, and attributed the positive events more internally than the subgroup with relatively low self-concep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hostility and other-concept. The suggestions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s of future study were discussed.

한국판 공격성 질문지의 타당화 연구
서수균(서울대학교) ; 권석만(서울대학교) pp.487-501 https://doi.org/10.15842/kjcp.2002.21.2.015
초록보기
초록

공격성, 분노감, 적대감은 정신장애의 주요증상들로, 이에 대한 평가를 위해서 공격성 질문지(Aggression questionnaire, Buss & Perry, 1992)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격성 질문지 한국판을 개발하고자, 대학생 565명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분노감 하위척도에 속한 두 문항이 다른 요인에서 더 높은 요인계수를 보여, 이 두 문항을 제외하고 탐색적 요인분석을 다시 실시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4요인 모델이 적절히 지지되었으며 이에 기초해서 한국판 공격성 질문지를 구성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살펴보았다. 한국판 공격성 질문지의 내적합치도는 적절하였으며, 검사-재검사 신뢰도도 높은 수준을 보여 시간적으로 안정적인 것으로 시사되었다. 공격성 질문지(AQ)와 공격성 관련 다른 질문지의 상관분석에서도 AQ의 타당성을 일관되게 지지하는 결과들이 나왔으며, AQ의 하위척도들이 각각의 측정 영역을 변별력 있게 측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e Aggression Questionnaire(Buss & Perry, 1992) is often being used to measure anger, hostility, aggression which are major symptoms of mental disorders. To develope the Aggression Questionnaire- Korean version, a battery of scales was administered to 565 university student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showed that two items of anger subscale had higher loadings at other factors than targer factor. So after omitting the two item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done again. The results revealed that 4 factor model was adequately supported by omitting 2 items. Based on this results, the Aggression Questionnaire Korean-version was constructed an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is questionnaire was investigated. Internal consistency was acceptable, and test-retest reliability was high, so the AQ seemed to be stable over time. Correlations with other aggression inventories supported consistently validity of the AQ, particularly subscales of the AQ seemed to be measure target traits.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