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
E-ISSN : 2733-4538
본 연구에서는 임상가의 직접관찰과 면담을 통해 환자의 정신증적 상태를 평가하는데 널리 사용되는 Brief Psychiatric Rating Scale(BPRS)의 Anchored Version(Gabbard 등, 1986; Overall, 1962)의 평정자간 신뢰도를 조사하고, BPRS와 자기보고식 검사와의 상관을 알아보았다. 우선 21명의 입원 정신증 환자를 대상으로 두 명의 평정자와 한 명의 평정자가 각각 짝진면접과 개별면접을 통해 평정한 후 평정자들 간의 신뢰도를 비교하였다. 다음에는 환자가 자신의 상태를 직접평가한 SCL-90-R과 BPRS 유사문항과의 상관연구를 통해 평정방법의 차이에도 불구하고(삭제) 안정된 일치도를 얻을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짝진면접자간의 신뢰도가 18문항 중 15문항에서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수준에서 산출되어, 개별면접자간의 평정신뢰도에 비해 안정된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BPRS의 불안, 적대감, 의심 문항이 자기보고식 검사인 SCL-90-R의 불안, 적대감, 우울, 편집증, 대인민감성, 정신증 척도와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정적 상관을 나타내어 유사문항간의 관계성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국내에서 연구된 적이 없는 BPRS-Anchored Version(Gabbard 등, 1987)의 신뢰도를 조사한 것이며, 같은 증상들이 다른 평가방법으로 평가될 때의 결과의 일치도와 더불어 연구방법론상의 제한점과 장차 연구를 위한 보완점을 제시한 것이다.
This study purported to compare the inter-rater reliability of Korean Brief Psychiatry Rating Scale-Anchored Version(BPRS; Overall, 1962) between the joint interview and the separation interview and to study the correlation between BPRS and self-report test(SCL-90). The subjects consisted of 21 inpatients in University psychiatric hospital. In the joint interview, the two 10-month experienced clinical psychology trainees rated the BPRS 18 items. In the separation interview, another licenced clinical psychologist alone rated the same patients. Also SCL-90 scales were administered to the same patients. The scores of the clinician-rated BPRS were correlated with those of the SCL-90-R, a self-report measure. The results showed that joint interview produced higher reliability than separation interview. The analysis of correlations between the BPRS and SCL-90 indicated that Anxiety, Hostile, Suspicious items of theBPR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nxiety, Hostile, Depression, Paranoid Ideation, Interpersonal Sensitivity, Psychoticism scales of the SCL-90-R respectively. The limitations and clin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the recommentations for the future study were sugg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