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권호 목록

우울을 호소하는 이명 환자들의 역기능적 신념
이소영(성균관대학교) ; 이동수(서울대학교) ; 김지혜(성균관대학교) ; 임승락(성균관대학교) ; 홍성화(성균관대학교) pp.709-72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우울을 호소하는 이명 환자들의 인지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 대상은 대학병원 이비인후과에 내원한 환자 중 이명 증상을 가지고 있는 120명(남자 72명, 여자 41명, 누락 7명)이었으며, 이들의 이명 특질, 정서 상태, 인지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이명 관련 기초 설문지(이명 특질 및 역기능적 신념), 이명 불편감 검사(THI), 다차원적 건강 통제 소재 척도(MHLCS), Beck 우울 척도(BDI), 상태 불안 척도(STAI-S), SCL-90-R의 신체화 척도(SCL-90-R의 SOM), 불안-취약 사고 경향 척도(AT&T)가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 이명 환자들의 우울 정도는 이명 기간과 내적 통제 소재를 제외한 주관적인 이명 크기, 역기능적 신념, 신체화, 불안, 이명으로 인한 사회적․정서적 불편감, 외적․우연 통제소재 모두에서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이고 있었다. 우울 상 집단과 우울 하 집단 간의 차이분석 결과도 상관 분석 결과를 지지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차이는 주관적인 이명 크기나 기간과 같은 요인을 통제한 후에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이명 특질 외의 다른 요인이 우울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시사되었다. 우울에 대한 위계적 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 주관적인 이명 크기, 이명에 대한 역기능적 신념, 이명으로 인한 정서적 불편감이 중요한 특성으로 확인되었으며, 경로분석 결과, 주관적인 이명 크기는 역기능적 신념을 매개하고, 역기능적 신념은 정서적 불편감을 매개하여 우울에 영향을 미치고 있을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이명과 같은 신체적 질병에도 인지적 요인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한 것이며, 인지적 특성을 다루어주는 것이 이들의 심리적 적응에 중요하게 작용할 것임을 시사하고 있는 것이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ognitive aspects of patients who suffer from tinnitus. The subjects were 120 patients with constant tinnitus, who visited the otolaryngology department of Samsung Medical Center. To examine their features of tinnitus as well as emotional and cognitive features, the following scales were administered; basic questionnaire for tinnitus features and dysfunctional beliefs, Tinnitus Handicap Inventory(THI), Multidimensional Health Locus of Control Scale(MHLCS),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State-Trait Anxiety Inventory(STAI-S), somatization subscale(SOM) of Symptom Checklist 90-revised, Anxious Thoughts and Tendencies(AT&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everity of depression correlated positively with the loudness of tinnitus, dysfunctional beliefs, somatization, anxiety, social and emotional handicap due to tinnitus, locus of control of chance and external except for the duration of tinnitus and locus of control of internal. Analysis of the difference of the highly depressed group from the lowly depressed group supports the above results. This result was maintained after controlling for the loudness and duration of tinnitus, and suggests other aspects except that tinnitus features affect depression. The results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for the severity of depression explored tinnitus loudness, dysfunctional beliefs of tinnitus, emotional handicap due to tinnitus which were important variables. In addition, the results of path analysis showed that dysfunctional belief mediates or moderates the loudness of tinnitus and emotional handicap mediates or moderates dysfunctional belief for the severity of depression. This results suggest that cognitive aspects play an important role in physical diseases, and for psychological adjustment we need to manage cognitive aspects.

강박장애 환자의 시각적 기억 및 언어적 기억 손상과 조직화전략의 매개효과
박희수(경남대학교) ; 신민섭(서울대학교) ; 권준수(서울대학교) ; 이영호(가톨릭대학교) ; 하태현(서울의대정신과학교실) ; 노규식(서울의대정신과학교실) pp.725-74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강박장애 환자들의 시각적 기억 및 언어적 기억의 손상 여부와 이러한 기억 손상에 조직화전략이 매개하는지 알아보고자 했다. 각각 28명의 강박장애 환자집단과 정상인 통제집단에게 Rey 도형검사(RCFT)를 실시하여 시각적 기억과 시각적 조직화전략을 평가하였고, 한국판-캘리포니아 언어학습검사(K-CVLT)를 실시하여 언어적 기억과 언어적 조직화전략(의미적 군집화)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강박장애 환자집단은 정상인 통제집단에 비해 시각적 기억이 손상된 것으로 나타난 반면, 언어적 기억은 손상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시각적 기억의 손상은 시각적 정보를 부호화하는 동안 사용된 조직화전략에 의해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결과의 시사점과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에 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intended to investigate impairment of visual and verbal memory, and medi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strategies on the impaired memory of Obsessive-Compulsive Disorder(OCD) patients. In this study, Rey-Osterrieth Complex Figure Test(RCFT) and Korean-California Verbal Learning Test(K-CVLT) were administrated to 28 OCD patients and 28 normal control subjects to assess their visual memory and visual organizational strategies as well as verbal memory and verbal organizational strategies(semantic clustering). The results showed that a group of OCD patients indicated impairment in visual memory but didn't in verbal memory over a group of normal control. And impairment of visual memory was mediated by impaired organizational strategies used during encoding visual information. In conclusion, all the results from this study conducted were consolidated and their implications, the meanings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s well as sugges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직장암 환자들의 수술 전 삶의 질 양상: 남녀 집단별 비교분석
김유진(서울아산병원정신과) ; 한오수(울산대학교) ; 유희정(서울아산병원정신과) ; 김진천(서울아산병원일반외과) pp.743-76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1999년 12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수술을 위해 입원한 86명의 직장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Functional Assessment of cancer Therapy Scales for Colorectal Cancer (FACT-C), The Functional Living Index Cancer (FLI-C, Brief Profile of Mood States (BPOMS), Eastern Cooperative Oncology Group performance statusrating (PSR)을 사용하여 수술 전 삶의 질을 평가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전체 직장암 환자들은 수술전에 대체로 `보통`이상의 양호한 삶의 질을 보고하였다. 둘째, FACT-C 하위영역에서 사회영역, 기능영역, 대장직장암특정영역(이하 암특정영역)의 삶의 질이 신체영역과 정서영역에 비해 낮았다. 셋째,삶의 질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인구통계학적 변인은 직업, 교육수준, 성별 등이었다. 고졸집단의 삶의 질이 가장 양호하였고, 직업별로는 주부와 농업이 모든 평가영역에서 삶의 질이 가장 저조하였다. 여성 집단은 FACT-C 총점, 기능영역, 및 암특정영역 등에서 남성 집안보다 삶의 질이 유의미하게 낮았다. 넷째, FACT-C 하위 영역간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여성 집단은 정서영역이 신체, 사회, ,기능영역 각각과 유의한 상관을 보인 반면 암특정영역은 어떤 영역과도 유의한 상관이 없었다. 남성 집단은 암특정영역이 신체, 사회, 기능영역과 각각 유의한 상관을 보인 반면 정서영역은 신체영역과만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논의에서는 수술 전 평가가 갖는 의의와 인구통계학적 변인에서 남녀 집단이 상이한 결과를 얻음에 따라 성-특정적 삶의 질 평가도구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demographic variables, especially gender, and pre-operation quality of life (QOL) in rectal cancer patients. Eighty-six recently diagnosed rectal cancer patients (51 male, 35 female) participated in this prospective study 2 or 3 days before curative surgery and completed the following instruments: Functional Assessment of Cancer Therapy Scales for Colorectal Cancer (FACT-C), The Functional Living Index-Cancer (FLI-C), Brief Profile of Mood States (BPOMS), and Eastern Cooperative Oncology Group (ECOG) performance status rating(PSR). As a result, first, all patients reported a relatively high quality of life Second, Social/family, functional, and cancer-specific well-being were lower than physical and emotional well-being in FACT-C. Third, job, education, and gender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but stage was only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BPOMS total score. Patients who were high school graduates had better QOL than any other groups. Housewives and farmers were lowest in all areas of QOL. Females experienced significantly worse FACT-C total scores, functional well-being, and cancer specific well-being than males. Fourth, for males, cancer specific domain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hysical, social/family, and functional well-being in FACT-C, but emotional well-being correlated only physical well-being. For females, emotional well-being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hysical, social/family, and functional well-being, but cancer-specific well-being did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ny other area. The present results indicated that socio-demographic variables were more important than clinical condition in pre-operation QOL. In Korean colorectal cancer population, gender differences exist in socio-demographic starus and pre-operation QOL. Therefore, we suggested developing a gender specific QOL measure and need to investigate a psychological mechanism underlying in the QOL of rectal cancer patients.

심리적 피학대 여성의 수치심, 죄책감 및 사회적 지지가 외상후 스트레스장애(PTSD)에 미치는 영향
전철은(중앙대학교) ; 현명호(중앙대학교) pp.763-77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177명의 기혼여성을 대상으로 심리적 학대와 신체적 학대가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심리적 학대는 신체적 학대와 함께 학대받는 여성에게 매우 해로운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심리적 학대의 독립적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신체적 학대의 효과를 통제한 연구를 실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학대받는 여성의 PTSD발달에 있어서 중요한 정서적 변인으로서 수치심, 죄책감의 효과를 살펴보고, PTSD증상을 중재하는 변인으로서 사회적 지지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심리적/신체적 학대 모두 PTSD증상을 유의미하게 예측하였고, 신체적 학대를 통제한 후에도 심리적 학대의 독립적 효과가 유의하였다. 그리고 수치심은 심리적 학대와 PTSD를 매개하였으나 죄책감은 그렇지 않았다. 사회적 지지는 학대와 PTSD 증상을 중재하지 못했으나, 사회적 지지 중 가족지지는 PTSD 증상과 유의한 부적상관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학대받는 여성을 돕기 위해서는 사회적으로 지지해주기보다 우선적으로 그들이 가진 수치심을 제거하는데 초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신체적 학대뿐만 아니라 심리적 학대에 초점을 둔 가정폭력피해자와 가해자를 위한 프로그램, 가정폭력예방프로그램을 만들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psychological/physical abuse o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in 177 married women. Many empirical studies have showed that psychological abuse can be as harmful as physical abuse. In order to clarify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abuse on PTSD, we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independent effect of psychological abuse after statistically controlling for the effects of physical abuse. This study also examined shame and guilt as important affective experiences in the development of PTSD in abused women and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for PTSD symptoms. Result indicated that both psychological and physical abuse predicted PTSD symptoms significantly and that psychological abuse was a significantly independent predictor of PTSD symptoms even after controlling for the effects of physical abuse. In addition, psychological abuse was related to PTSD symptoms moderated by shame but not by guilt. Social support was not significant moderator between abuse and PTSD symptoms. However, support from family among social support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PTSD symptoms. Results suggest that clinician need to give a first priority to eliminating shame that abused women may have. Preventive programs focusing not only on physical abuse but also psychological abuse are need.

정신분열병 환자의 재인 기억 장애에 관한 사건관련전위 연구
권준수(서울대학교) ; 김명선(성신여자대학교) pp.777-792
초록보기
초록

연속재인과제와 사건관련전위를 사용하여 정신분열병 환자의 재인 기억과 즉각적 재인 및 지연 재인의 분리를 조사하였다. 14명의 정신분열병 환자와 연령 및 성에서 일치하는 14명의 정상인이 실험에 참여하였다. 240개의 한글 단어들 중에서 40개는 반복 제시되지 않았으며, 100개는 즉각적으로 반복 제시되었고 100개는 5개의 간섭 단어 후에 지연 반복 제시되었다. 정신분열병 환자군과 정상통제군 모두 지연 반복 제시된 단어나 처음 제시된 단어에 비하여 즉각적으로 반복 제시된 단어에 더 빨리 반응하였다. 그러나 환자군은 통제군에 비하여 즉각적으로 반복 제시된 단어와 지연 반복 제시된 단어에 대한 재인 반응정확율이 유의하게 낮았다. 사건관련전위에서, 정신분열병 환자들은 정상인들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된 N200, 후정전위정점(late positive component: LPC), N400 진폭을 보였다. 또한 환자군과 통제군은 N200 전위 분포에서도 다른 양상을 보였다. 통제군의 경우, 즉각적으로 반복 제시된 단어는 증가된 LPC 진폭과 짧아진 LPC 잠복기를 초래한 반면 지연 반복 제시된 단어는 감소된 LPC 진폭, 지연된 LPC 잠복기 및 N400의 생성을 초래하였다. 그러나 통제군에서 관찰된 즉각적 재인과 지연 재인의 분리가 정신분열병 환자군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정신분열병 환자가 재인 기억의 장애를 가지고 있고, 이 장애가 기억 과정의 초기 단계인 약호화와 후기 단계인 인출과 관련되어 있는 것을 시사한다.

Abstract

Recognition memory and the dissociation of immediate and delayed recognition in schizophrenic patients were investigated using event-related potential (ERP) and a continuous word recognition task. Fourteen schizophrenic patients and 14 age and gender matched control subjects participated. Among 240 stimulus words, 40 words were not repeated, 100 were repeated immediately and 100 were repeated after 5 intervening words. Both schizophrenic and control groups responded faster to words repeated immediately than to words repeated after a delay and to first-presented words. However, schizophrenic patients responded less accurately to words immediately and to words repeated after a delay than the controls. In terms of ERP, schizophrenic patients showed significantly reduced N200, LPC and N400 amplitudes, and a more frontally distributed N200 topography than the controls. For controls, immediate repetition was associated with a large LPC amplitude and the absence of N400, while delayed repetition was associated with a small LPC amplitude and the presence of N400. However, this association between immediate and delayed repetition was not observed in schizophrenic patients. All of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chizophrenic patients have recognition memory impairment, the cause of which may range from early encoding, and memory search to late retrieval.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장애 아동의 사회적 이해와 행동
온싱글(서울대학교) ; 김은정(아주대학교) pp.793-81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특성을 보이는 아동의 사회적 이해와 행동을 연구하였다. 사회적 이해 과제는 조망 수용, 공감, 사회적 상황 이해, 고통에 대한 반응성을 측정하였고, 사회적 행동 과제는 친사회적 행동, 잠재적 공격성, 외현적 공격성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사회적 이해의 경우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특성을 보이는 아동은 정상 아동에 비해 조망수용, 공감, 고통에 대한 반응성이 부족하였고, 사회적 상황 이해에서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특성을 보이는 아동과 정상 아동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사회적 행동의 경우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특성을 보이는 아동이 정상 아동에 비해 친사회적 행동을 적게 나타냈으며 공격적인 행동을 많이 나타내었다. 이런 결과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특성을 보이는 아동이 정상 아동과 비교해서 사회적 이해와 행동에 손상이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임상적 의의와 제한점 및 미래 연구에 대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social understanding and behaviors in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ADHD). Measures of social understanding included perspective taking, empathy, social context understanding, and concern to distress. Measures of social behavior included prosocial behaviors, potential aggression, and externalized aggression. In social understanding measures, children with ADHD showed less perspective taking, empathy, and concern to distress competence than children with non-ADHD. The measure of social context understanding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children with ADHD and non-ADHD. In social behavior measures, children with ADHD showed less prosocial behavior, and more aggressive behavior than children with non-ADHD. The measure of social context understanding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children with ADHD and non-ADHD. Consequently, children with ADHD showed impairment of social understanding and behaviors. Finally, clinical implication and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were discussed, and the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대학 4학년생의 성격특성과 성별에 따른 취업 스트레스 및 정신건강
신현균(성신여자대학교) ; 장재윤(성신여자대학교) pp.815-82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구직 활동을 시작하고 있는 대학 4학년생들을 대상으로 성격특성과 성별에 따른 취업 스트레스와 정신건강 상태를 분석해, 향후 종단적인 변화 연구의 토대로 삼고자 하는 것이다. 2,530명에 대한 자료 분석 결과, 79%의 응답자들이 대체로 혹은 매우 많이 취업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평균 비교와 상관 및 중다회귀분석 결과, 스트레스를 받는 정도는 성격 특성 및 성별에 따라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신경증과 부정적 자존감이 높을수록, 자아탄력성, 긍정적 자존감, 외향성, 우호성, 경험에 대한 개방성은 낮을수록, 그리고 여대생이 취업 스트레스가 더 크고 우울, 불안, 적응력 등 일반정신건강에서 부정적인 결과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의 의의와 종단적 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personality characteristics, gender, job-seeking stress and mental health in 2,530 college seniors. 79% responded that they had job-seeking stress. The results from mean compariso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showed that degree of stress differed according to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gender. That is, the more neuroticism and negative self-esteem, and the less ego-resilience, positive self-esteem, extraversion, agreeableness, openness to experience they had, the more job-seeking stress and negative mental health such as depression, anxiety, and social maladjustment they experienced. And women experienced more job-seeking stress and negative mental health than men. Suggestions for this study and further research about longitudinal study were discussed.

한국판 아동 신체화척도의 신뢰도, 타당도 및 초등 고학년생의 신체증상 경험 특성
신현균(서울임상심리연구소) pp.829-84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아동 신체화척도를 번안해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하고 초등학교 고학년생의 신체증상 경험 특성을 조사하였다. 서울시내 초등학교 5, 6학년생 266명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척도의 내적 일관성 신뢰도와 검사-재검사 신뢰도가 양호하였다. 타당도 연구 결과, 신체화척도가 우울, 불안 척도와 유의미한 상관을 보여 공존 타당도가 양호하였다. 요인 타당도의 경우 제 1 요인이 전반적인 신체증상을 나타내는 등, 선행 연구 결과와 다소 다르게 나타났다. 성과 학년에 따른 신체화 점수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고, 자주 경험하는 신체 증상들은 두통, 복통, 어지러움 순이었다. 이런 증상들로 인해 공부나 친구관계에 방해가 되는 등 적응과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Korean Children's Somatization Inventory (K-CSI) and somatic symptoms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Subjects were 266 5th and 6th grade children. K-CSI produced high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and test-retest reliability. K-CSI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and Trait Anxiety Inventory for Children. Factor analysis revealed somewhat different results compared to those of antecedent researches. No differences were found in gender and grade. Most commonly reported symptoms were headaches, stomach pain and dizziness. These symptoms were correlated with adjustment problems such as problems in academic achievement and peer relationships. The implications, imitations of these finding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섭식절제척도와 식이행동질문지의 여대생 규준
이임순(숙명여자대학교) pp.847-85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여대생의 섭식절제척도(RS)와 식이행동질문지(DEBQ)의 규준을 제시하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여대생 396명을 대상으로 섭식절제척도와 식이행동질문지를 실시하였으며, 각 하위척도의 원점수를 T점수로 환산하여 제시하였다. 신경성 폭식증 환자집단(n=11)에게도 섭식절제척도와 식이행동질문지를 실시하였다. 여대생 집단을 다이어트 집단(n=168)과 비다이어트 집단(n=228)으로 구분하여 각 척도 점수를 비교하였다. 다이어트 집단과 비다이어트 집단은 섭식절제척도 전체와 식이행동질문지의 절제된 섭식척도와 정서적 섭식척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식이행동질문지의 외부적 섭식척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신경성 폭식증 환자집단의 척도 점수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제한점과 활용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Korean college women's norms of Restraint Scale(RS) and Dutch Eating Behavior Questionnaire(DEBQ). The subjects were female college students(n=396). All subjects performed the RS and the DEBQ. And the T-scores of theirs were presented. The Bulimia Nervosa patient(n=11) performed the RS and the DEBQ, too. Female college students were divided into the diet group(n=168) and the nondiet group(n=228).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diet group and nondiet group in the RS and the DEBQ restrained eating and emotional eating scale. But,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diet group and nondiet group in the DEBQ external eating scale. The RS and the DEBQ scores of the Bulimia Nervosa patient(n=11) were presented. The limitations and the application of the study were discussed.

「노인삶의질척도(Geriatric Quality of Life scale)」의 표준화
이형석(삼성생명과학연구소) ; 김지혜(성균관대학교) ; 김도관(성균관대학교) ; 고혜정(성균관대학교) ; 구형모(삼성생명과학연구소) ; 권의정(성균관대학교) pp.859-881
초록보기
초록

저자들은 노인 집단에 독특한 삶의 질 영역과 인지 기능상 제한점을 고려하여 노인의 삶의 질을 측정하기 위한 총 25문항의 ‘노인삶의질척도(GQOL)’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척도를 표준화하고,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함으로써 척도의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55세 이상의 신체, 정신 건강한 노인 340명에게 ‘노인삶의질척도’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Cronbach's α 및 문항-총점 상관 등 내적 일치도가 우수하였으며, 검사-재검사 신뢰도에서도 시간의 경과에 따라 비교적 안정적인 척도임이 입증되었다. 또한, 각 항목과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 문항간 높은 상관을 나타내어 기준 타당도가 입증되었으며, 삶의 질 프로파일 개념에 따라 포함된 인지, 심리적 안녕감, 행동 및 일상 활동 능력을 측정하는 도구들과의 상관도 높아 적절한 수렴 타당도를 가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요인 분석 결과, 총 설명 변량 48.7%인 4개의 구성 요인을 채택하였으며, 각 요인은 신체적 건강, 심리적 건강, 사회 관계 및 경제 수준, 물리적 환경 등으로 명명되었다. 정상 노인에게 본 척도를 실시했을 때 총점 및 세부 항목에서 성별, 연령, 교육 수준 및 거주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성별과 연령을 고려한 규준을 마련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노인삶의질척도’를 노인 집단에 적용하는데 큰 어려움이 없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본 척도가 향후 연구 및 임상 장면에서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Abstract

The authors developed the 'Geriatric Quality of Life scale(GQOL)' to assess the quality of life in the geriatric group, considering the quality of life domains specific to the geriatric group and the limitation in the cognitive functioning of the geriatric group. The present study was intended to standardize GQOL and to test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GQOL. The standardization sample was composed of 340 old people who were all over 55 years of age and physically and mentally normal. In the results, the internal consistency such as Cronbach's α and item-total correlation was good, and the test-retest reliability revealed the stability across time. Criterion validity was revealed by high correlation between each item and global quality of life item, and adequate correlation between GQOL and scales assessing cognition, psychological wellbeing, behavior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cluded in this study according to the quality of life profile convinced convergent validity. In the result of factor analysis, 4 factors with a variance percentage of 48.7% were extracted, and factors were termed by physical health, psychological health, social relationship/economic state, and environment. When GQOL was administrated to normal old peopl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sex, age, educational level and region, and the norm considering sex and age was framed.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no difficulty for old people to carry out GQOL, and this is suggestive that GQOL will be useful in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내측 측두엽 간질의 병소를 기억 검사로 편측화할 수 있는가?
정지현(계요병원) ; 강중구(울산대학교) ; 이상암(울산대학교) ; 유희정(울산대학교) ; 황성훈(계요병원) pp.883-895
초록보기
초록

측두엽 간질에서 나타나는 재료 특정적인 기억 손상의 패턴은 간질 병소를 편측화하는 이론적 근거를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바탕으로 기억 검사가 측두엽 간질의 병소를 편측화할 수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측두엽 간질로 진단되어 신경 심리 검사가 의뢰된 환자들중 선발 기준에 만족하는 90명을 대상으로(우측두엽 간질 41명, 좌측두엽 간질 49명) WMS-R의 수행을 분석하였다. 이들은 모두 해마 병변이 확인된 내측 측두엽 간질의 사례였다. 분석은 두 가지 방법을 취했다. 첫째, WMS-R에서 기억 재료에 따른 수행 패턴이 간질 병소에 따라 차별화되는지를 봤으며, 두 번째로 WMS-R의 소검사를 예측 변인으로 했을 때 병소의 위치를 얼마나 판별하는지를 분석하였다. 가정한 대로 간질의 병소와 기억 재료의 유의미한 상호작용이 얻어졌다. 그 양상을 보면, 언어 기억에서는 좌측두엽 간질이 우측두엽 간질에 비해 떨어지나, 시각 기억의 경우는 두 집단간 차이가 없었다. 즉, 재료 특정적 기억 손상 가설중 좌측두엽 간질의 언어 기억 결함만이 지지되었다. 따라서 ‘내측 측두엽 간질의 병소를 기억 검사를 통해 편측화할 수 있는가’에 대한 대답은 ‘반만 그렇다’인 셈이다. 한편, 판별 분석에서는 WMS-R이 간질을 정확하게 편재화하는 비율이 73.9%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수치는 선행 연구에 비해 높은 것으로서 WMS-R이 재료 특정적 기억 손상 가설의 관점에서는 절반의 타당도를 가진 것이지만, 병소 편재화에 유의미하게 공헌함을 말해준다. 끝으로, 우측두엽 간질에서 시각 기억 결함이 검출되지 않은 이유를 논의했고, 이를 탐지하기 위한 대안적인 기억 평가 방법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material-specific memory impairment(MSMI) assumed to be found in temporal lobe epilepsy patients(TLE) provides the rationale to lateralize the seizure focus. Based upon it we tried to determine to what extent memory assessment can lateralize epileptogenic focus in TLE. From patients who were referred for presurgical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 41 right and 49 left TLE cases were selected according to inclusion criteria, one of which was that the subject should have hippocampal sclerosis. The results were analyzed in two ways. One way, it was tested whether the performance in Wechsler Memory Scale-Revised(WMS-R) according to memory material interact with the seizure laterality. Another way, it was analyzed to what extent WMS-R subtests discriminate between the left and right TLE. As assumed, memory material did interact with seizure laterality significantly. In verbal memory the left TLE was significantly inferior to the right TLE. But in visual memory tasks the two groups did not perform differently. That is, concerning MSMI hypothesis, only one half(verbal memory deficit in left TLE) was confirmed, but the other half(visual memory deficit in right TLE) was not. Therefore, to the question whether memory assessment can lateralize the seizure focus, the answer is that it can do by half. On the other hand, in the discriminant function analysis, WMS-R diagnosed the focus of seizure laterality correctly in the 73.9% of cases. This level of discrimination is higher than that of previous research. These findings lead to the conclusion that WMS-R, though only half-valid in the perspective of MSMI hypothesis, significantly contributes to the lateralization. At the end, the reasons why impairment of visual memory wasn't found in right TLE were discussed and alternative methods to detect visual memory deficit were listed.

한국형 성인 ADHD 척도의 타당화 연구: 대학생 표본을 중심으로
김은정(아주대학교) pp.897-911
초록보기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Korean Adult ADHD Scale(K-AADHDS). The scale was based on the 18-item Murphy와 Barkley(1995)'s Adult ADHD Scale and was translated to Korean version. Several self-report inventories were administered to 553 college students. The results showed that K-AADHDS was highly reliable in terms of internal consistency, temporal stability and item-total correlation coefficients. Factor analysis revealed that K-AADHDS had the factors labeled 'Inattention" and 'Hyperactivity-Impulsivity'. K-AADHDS correlated positively with Lee Ji-Yeon's(1996) adult ADHD scale and negatively with Self-Esteem Scale, Problem Solving Skill Scale, and the percentage of attendance. In conclusion, K-AADHDS appears to be a highly reliable and valid measure to assess adult ADHD symptoms.

Abstract

외모 관련 사회문화적 태도 설문지의 타당화 연구
이상선(연세대학교) ; 오경자(연세대학교) pp.913-926
초록보기
초록

우리나라 여대생 360명을 대상으로 외모 관련 사회문화적 태도 설문지에 대한 타당화 연구를 실시하였다. 요인 분석 결과, 4 요인이 추출되었으나, Scree plot과 해석 가능성을 고려하여 원 척도의 요인 분석 결과와 동일한 2 요인 구조가 더 적합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요인 각각을 인식 소척도와 내면화 소척도로 명명하고, 분석한 결과, 각 소척도는 신체 불만족과 섭식 장애 증상을 측정하는 척도들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현재 체중 감량 시도의 유/무, 과거 체중 감량 시도 횟수의 다/소, 섭식 장애 증상의 고/저로 집단을 구분하여 외모 관련 사회문화적 태도 척도의 점수를 비교한 결과, 현재 체중 감량 시도 집단, 과거 체중 감량 시도 횟수가 많은 집단, 섭식 장애 증상 정도가 높은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평균 점수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 설문지는 섭식 장애 병리의 위험 요인 확인이나 예후 예측시, 적절한 평가 도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The Korean version of Sociocultural Attitudes towards Appearance Questionnaire(SATAQ) was administered to 360 Korean female university student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vealed a 4 factor model is fit for data, but, scree plot and interpretability of factors supported a 2 factor model. Correlation between SATAQ and other measures of body dissatisfaction and eating disorder symptoms were significant. Mean score of the SATAQ was higher in the present weight-control group, the group with more experiences of weight-control and the high eating disorder symptom group than the no weight-control group, the group with less experiences of weight-control and the low eating disorder symptoms group, respectively. So, the SATAQ seems to be an adequate assessment tool for identification of risk factors and prognostic indicators of eating disorders.

알코올 환자들의 사회적 문제해결 능력 결함
최이순(연산정신병원) pp.927-93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사회적 문제해결 능력을 평가하는데 유용하다고 입증된 SPSI의 개정판 SPSI-R의 유용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즉, 알코올 환자들의 사회적 문제해결력에 결함을 밝힘으로서 이 도구의 유용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알코올 환자 70명과 정상집단 60명에게 MAST를 실시하여 집단을 선별한 후 SPSI-R의 반응을 파악했다. 그 결과 집단간 사회적 문제해결력(문제지향과정, 문제해결기술과정)의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어 검사의 타당함을 밝혔다. 향후 알코올 환자들의 치료 후 평가를 위한 도구로서의 유용성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SPSI-R(social problem solving inventory-revised) was validated to demonstrate it's discriminant validity. That is, alcoholics and normals investigated difference in two aspects of problem-orientation and problem-solving proper. MAST and SPSI-R were administered to 60 normal persons and 70 alcoholic patients. Alcoholic patients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MAST score. The results were validated to demonstrate it's discriminant validity. That is, five subscale scores of SPSI-R were found to successfully separate alcoholics from normals. Specifically, alcoholics and normals significantly differed in two aspects of problem-orientation and problem-solving proper. The suggestions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s of future study were discussed.

한국판 정적 정서 및 부적 정서 척도 (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Schedule; PANAS)의 타당화 연구
이현희(부천시장애인종합복지관) ; 김은정(아주대학교) ; 이민규(아주대학교) pp.935-94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정적 정서와 부적정서를 측정하기 위해 Watson 등(1988)이 개발한 정적 정서 및 부적 정서 척도(the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Schedule; PANAS)를 재번안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살펴보았다. PANAS 척도는 내적 합치도가 .84로 비교적 높은 내적 일관성을 보였고, 정적 정서 척도와 부적 정서 척도는 서로 독립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요인분석 결과, 부적 정서와 정적 정서 두 요인이 산출되어 PANAS 척도가 처음 개발될 당시의 두 요인과 같은 결과를 나타내었고, 원척도의 정적 정서 요인이었던 ‘기민한(alert)’ 요인이 본 연구에서는 부적 정서 요인에 포함되었다. PANAS 척도의 구성 타당도 및 외적 타당도를 보기 위해 기분 측정 도구인 POMS 및 간이정신진단검사(SCL-90-R)와의 상관을 살펴보았다. PANAS 척도의 정적 정서 요인은 POMS의 하위 요인 중 ‘의기소침과 낙심요인’ 및 ‘피곤과 무기력 요인’과는 부적 상관을, ‘생기와 활력 요인’ 및 ‘우호 요인’과는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SCL-90-R에서는 우울과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또한, PANAS 척도의 부적 정서 요인은 POMS의 하위 요인 중 ‘긴장 불안 요인’, ‘혼돈과 당황 요인’, ‘분노와 적개심 요인’ 및 SCL-90-R의 나머지 요인에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와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Abstract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Korean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Schedule(PANAS) which had been developed to assess 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by Watson et al(1988) and translated into Korean by Lee(1994). The PANAS were shown to have high internal consistency coefficient of .84, with the two factors largely uncorrelated. The result of factor analysis showed that the PANAS had a two-factor structure representing '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each. This factor structure is quite same as that of the original PANAS. However, the 'alert' item which belongs to the positive affect factor in the original scale was included in the negative affect factor in this study. To confirm the construct validity and external validity of PANAS, we administered the correlation analyses between PANAS and the POMS and SCL-90-R. The PANAS PA scale is negative correlated with 'depression-dejection factor' and 'fatigue-intertia factor' of the POMS. Also it is positive correlated with 'vigor-activity factor' and 'friendliness factor' of the POMS. The PANAS NA scale is positive correlated with 'tension- anxiety factor', 'confusion-bewilderment factor' and 'anger-hostility factor' of the POMS. The result showed that the PANAS can reflect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very well.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한국형 대인관계문제검사(KIIP) 무선반응과 인상관리의 탐지
홍상황(진주교육대학교) pp.947-960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한국형 대인관계문제검사(KIIP)의 비일관성척도와 두 가지 인상관리 지표를 구성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관이 높은 문항쌍을 찾아내고 문항의 위치와 의미를 고려하여 8개의 문항쌍으로 이루어진 비일관성척도를 구성하고, 자료를 단계적 판별분석하여 부정적 인상과 긍정적 인상을 시도한 반응을 찾아내기 위한 두 가지 지표를 도출하였다. 부정적 인상지표는 자기중심성(BC), 대인적 비수용성(PD2) 등 2개 척도, 긍정적 인상지표는 냉담(DE), 자기희생(LM), 공격성(PD3), 사회적 인정욕구(PD4) 등 4개 척도가 포함된 판별함수로 구성하였고, 이러한 척도들을 포함하는 판별함수의 전체 분류정확률은 98.2%와 80.3%였다. 그리고 비일관성척도와 부정적, 긍정적 인상 지표의 해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대학생과 성인 규준표본에 적용하여 기술통계치를 계산하고 그 규준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inconsistency scale and two impression management index of Korean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s(KIIP). First, pairs of items with high correlation were identified and as a result, inconsistency scale, which consisted of eight pairs of items, was developed by considering location and meaning of items. Second, two impression management index were derived by employing stepwise discriminant analysis. Index of negative and positive impression management were composed of 2 scales (BC, PD2) and 4 scales (DE, LM, PD3, PD4), respectively. Overall classification rates of these two discriminant functions were 98.2%, 80.3%, respectively. Third, descriptive statistics and their norms of inconsistency scale and two impression management indices of university and adult normative samples were presented in order to make interpretation of inconsistency scale and impression index easier. Finally, the meaning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was discussed

피해망상 집단과 우울증 집단의 사건확률 추론
이훈진(서울대학교) pp.961-971
초록보기
초록

피해망상 환자 집단과 우울증 환자 집단, 정상인 통제집단의 긍정적, 부정적 미래사건에 대한 확률 추론과 사건 발생의 우연-의도성 추론을 알아보았다. 피해망상 환자 20명, 우울증 환자 20명, 정상인 통제집단 20명을 대상으로 14개의 긍정 사건과 14개의 부정 사건이 자신 및 타인에게 일어날 확률을 추정하도록 하였고, 각 사건 발생의 우연-의도성을 평정하도록 하였다. 연구 결과, 피해망상 집단은 긍정 및 부정 사건이 자신에게 일어날 확률을 다른 집단보다 높게 추정하였고, 타인에게 부정 사건이 일어날 확률도 다른 집단보다 높게 추정하였다. 우울 집단의 경우 자신에게 긍정 사건이 발생할 확률은 가장 낮게, 부정 사건 확률은 가장 높게 추정하였고, 부정 사건은 타인보다 자신에게 더 많이 발생할 것으로 추정하였다. 통제 집단의 경우, 자신과 타인 모두 부정 사건보다 긍정 사건을 경험할 확률이 높다고 추정하였고, 긍정 사건은 타인보다 자신이, 부정 사건은 자신보다 타인이 많이 경험할 것으로 추정하였다. 우연-의도성 추론에서는 피해망상 집단이 다른 두 집단에 비해 부정사건 발생의 의도성을 높게 평정하였다.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추후 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obabilistic judgments and the accidentality-intentionality judgments for positive and negative future events in persecutory deluded, depressed, and normal subjects. Twenty persecutory deluded patients, 20 depressed patients, and 20 normal controls were asked to rate the probability and the accidentality-intentionality for 14 positive and 14 negative events. The persecutory deluded patients rated positive and negative events as occurring more frequently to themselves in comparisons to the depressed patients or the normal controls. They rated negative events as occurring more frequently to others in comparisons to the depressed and the normal controls. The depressed patients rated positive events as occurring less frequently and negative events as occurring more frequently in comparisons to the persecutory deluded or the normal controls. They rated negative events as occurring more frequently to themselves in comparison to the others. The normal controls rated positive events as occurring more frequently than negative events. They rated positive events as occurring more frequently to themselves in comparison to the others, and rated negative events as occurring less frequently to themselves in comparison to the others. In accidentality-intentionality judgments, the persecutory deluded patients rated negative events as occurring more intentionally in comparisons to the depressed and the normal controls. The suggestions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s of future study were discussed.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