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메뉴

권호 목록

비파사나 명상과 인지행동 치료를 통합한 불안장애의 게슈탈트 심리치료
김정규(성신여자대학교) pp.475-502
초록보기
초록

불안장애의 게슈탈트 치료이론을 바탕으로 비파사나 명상과 인지행동 치료의 불안장애에 대한 치료적 접근을 통합하는 시도를 하였다. 불안장애의 게슈탈트 치료에 대한 논의는 미해결 과제와 접촉경계혼란의 개념을 바탕으로 전개했으며, 변화의 역설적 이론과 장 이론을 통하여 이론화 작업을 하였다. 비파사나 명상은 몸, 감각, 마음, 법의 사념처관을 중심으로 알아차림과 무비판적 수용에 대해 고찰하였다. 또한 통찰대화 명상법에 대해서도 간략히 소개하였다. 불안장애의 인지행동 치료는 Beck의 인지행동 치료이론을 중심으로 부정적 사고와 역기능적 신념의 역할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또한 증상교육, 긴장이완 훈련 및 노출법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세 접근법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짚어보면서 게슈탈트 치료를 바탕으로 다른 두 기법들의 통합전략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An attempt has been made to integrate Mindfulness meditation and CBT(Cognitive Behavioral Therapy) with the Gestalt Therapy approach in the treatment of anxiety disorders. The discussion of Gestalt Therapy approach to anxiety disorders focused on the two concepts, which are unfinished business and contact boundary disturbances, which were then theorized with the Paradoxical theory of change and the field theory. The exploration about Mindfulness meditation revolved around the topic of the Four foundations of the Mindfulness, that are body, feeling, mind and dharma, where Awareness and non-attachment acceptance was explained. Also a brief introduction to Insight Dialogue Meditation was added to. A survey to CBT was done on the basis of Beck's concepts like negative automatic thoughts and dysfunctional beliefs along with symptom education, relaxation training and exposure methods. A comparison was made regarding commonalities and also differences among three methods. Finally, the author tried to establish a strategy to integrate the three on the basis of the Gestalt Therapy.

신혼기 부부의 부모로부터의 심리적 독립과 결혼 후 친밀감에 미치는 원가족의 영향
남순현(호남대학교) ; 한성열(고려대학교) pp.505-52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성숙한 두 남녀가 만나서 건강한 가족을 형성하는데 미치는 원가족의 지속적인 영향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신혼 부부 188쌍의 회고적인 내용을 토대로 결혼 전부터 결혼 후까지의 원가족의 영향에 대한 인과모델을 검증해 본 결과, 남편과 아내 모두에게서 연구가설모델은 지지되었다. 신혼 부부들은 결혼 전 부모와 높은 수준의 가족분화를 보일수록 결혼 당시 부모로부터 분리되는데 있어서 불안감을 덜 느꼈고, 이러한 불안감은 결혼 후 부모와의 관계의 질에 영향을 미쳤을 뿐만 아니라 부부간의 친밀감에도 영향을 주었다. 한편 결혼 당시 지각되었던 심리적 불편감을 해소하기 위한 신혼 부부들의 노력은 원가족의 부모와의 관계의 질을 개선하는데 많은 영향을 주었으며, 이는 또한 부부간의 친밀감을 증진시켰다. 즉 부모와의 관계의 질이 매개역할을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건강한 개인이 건강한 가족을 형성한다는 기본 가정 하에서 결혼 전과 후에 성인 자녀에게 미치는 원가족의 영향을 살펴봄으로서, 한 개인의 발달과 가족생활주기에서 나타나는 구성원들간의 심리과정에 대한 변화추이를 탐색하는데 있어서 종단 연구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Abstract

In this research, we have studied the family of origin's lasting effect on the family making of wedded couples. The path model on the influence of the family of origin was established through the retrospection of the stages before and after marriage of 188 newly-wedded couples. The verification of the model shows that the hypothesis holds for both the husband's and wife's lineages. The higher the level of family differentiation before marriage, the less anxiety adult children at the time of marriage feel about being separated from their parents. The anxiety influences the quality of relationship with their parents after marriage, and also the marital intimacy of the wedded couple. On the other hand, the newly-wedded couples' efforts to overcome the psychological discomfort with parents perceived at the time of marriage made better the quality of the relationship with parents and also influenced marital intimacy. The quality of the relationship with the parents were found to be the mediator. This study took effect under the basic assumption that a healthy individual forms a healthy family, a research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family of origin on grown-up sons and daughters. This suggest implies that the progress of one's development and the psychological progress of the family members during the family life cycle should be investigated longitudinally.

성격, 주변인의 영향, 음주동기가 음주 및 음주문제에 미치는 영향
김인석(삼성교통안전문화연구소) ; 이연희(중앙대학교) pp.525-54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Cooper 등이 제안한 음주 동기모형에 근거하여 음주 및 음주문제를 가장 효율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모형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김인석 등(2001)이 Data mining을 통해 도출한 아홉 개 변인-성격(외향성, 새로운 경험추구, 불안, 적대감), 주변인의 영향(가족, 친구), 음주동기(고양, 대처, 사교)-에 대한 중재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음주동기를 최종경로로 하는 다섯 개의 연구모형을 가정하였으며, 개별 모형에 대한 부합도를 구조방정식 분석절차에 따라 비교하였다. 최종적으로 도출한 모형의 타당성은 중다 집단 비교분석을 실시하여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성격이 주변인의 음주영향과 음주동기를 경유하고 알코올 사용의 심각성(음주문제 2)에 이르는 직접경로를 통해 일상생활의 기능적 문제(음주문제 1)에 영향을 미치는 연구모형이 가장 적합하였다. 그리고 최종모형은 남성과 여성, 대학생, 일반성인 및 음주운전자에게도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일상생활 내에서 음주 및 음주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의 상대적 기여도와 그 인과적 관계성을 규명하였다는 의미가 있다. 향후에는 종단적 연구방법을 통해 개별 요인의 시간경과에 따른 설명력을 살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Abstract

This study develops an efficient prediction model of drinking & it's problems based on Cooper et al.'s drinking motivation theory. For this, depending on previous study(Kim et al., 2001), nine determinants have been derived to represent four independent latent variables such as behavioral undercontrol (extraversion, novelty seeking), negative affectivity (anxiety, hostility), social pressure(family & peer group), drinking motivation(enhancement, coping, social motive). In doing so, authors have compared five hypothesis models through a ‘moderate regression analysis’ and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and then found the most efficient prediction model. Finally authors have tested the validation of the proposed model based on the multi group analysis. As a result, the proposed prediction model shows that behavioral undercontrol and negative affectivity factors are directly linked to social pressure and drinking motivation. Further a drinking motivation factor is a proximal determinant of drinking indulgence and drinking related problems such as vocational, behavioral and familial problems, which is triggered by behavioral undercontrol, negative affectivity and social pressure. Also the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prediction model can be applicable to many other groups such as male, female, university students, adults and drinking drivers.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re are stronger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redetermined factors and drinking problems at least in the nonclinical sets. Longitudinal studies are needed for the future to examine the predictive value of the proposed model over time.

알쯔하이머형 치매 고 위험군과 저 위험군에 있어서의 암묵 기억과 외현 기억의 해리 현상
박재우(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정신과학교실) ; 고선규(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정신과학교실) ; 김도관(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정신과학교실) ; 김지혜(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정신과학교실) pp.543-555
초록보기
초록

주관적인 기억 능력의 감퇴를 호소하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7분 선별 검사를 통해 알쯔하이머형 치매 고 위험군과 저 위험군으로 구별한 후 두 집단에 있어서의 외현 기억과 암묵 기억의 손상 양상을 비교하였다. 먼저 외현 기억의 경우 알쯔하이머형 치매 고 위험군의 수행이 저 위험군의 수행에 비하여 유의미하게 더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암묵 기억의 경우에는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회귀 분석 결과에 따르면 알쯔하이머형 치매 저 위험군의 경우에는 K-MMSE로 측정한 인지 기능의 손상이 진행됨에 따라 외현 기억 능력의 저하가 시사되었지만 암묵 기억은 유의미한 변화가 없이 유지되었다. 알쯔하이머형 치매 고 위험군의 경우에는 K-MMSE로 측정한 인지 기능의 저하에도 불구하고 외현기억 능력에서는 변화가 없었으나 암묵 기억능력은 인지 기능의 손상에 비례하여 유의미하게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알쯔하이머형 치매 저 위험군에서는 인지 기능이 저하됨에 따라 외현기억 능력도 함께 저하되는 반면, 알쯔하이머형 치매 고 위험 군에서는 외현 기억 능력이 이미 저하되어 있어서 인지 기능의 저하에 따른 변화가 거의 없는데 비해 암묵 기억 능력이 저하됨을 시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의 결과는 치매 임상 집단을 대상으로 재검증되어야 하겠지만, 알쯔하이머형 치매의 저 위험군과 고 위험군에 있어서 암묵 기억 수행의 평균적인 수행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으나 알쯔하이머형 치매 고 위험군 내에서는 인지 기능의 손상이 진행됨에 따라 암묵 기억의 손상이 나타나는 것이 밝혀짐에 따라 암묵 기억 측정치가 이 유형의 치매의 진행 정도를 평가하는 한 지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In this study, to compare the explicit and implicit memory decline pattern of Alzheimer's disease high risk group with low group assigned by 7-minute screening test, ADAS-Cog and computerized priming task were administered to the old with subjective memory problem. At fist, there is significant mean difference in explicit memory performance but there is not in implicit memory performance between two groups. And as for low risk group, as the cognitive function measured by K-MMSE declines, the explicit memory significantly declines, too while the implicit memory maintains. As for high risk group, as the cognitive function declines, the explicit memory shows no change but the implicit memory declines. The dissociation of the two types of memory observed in this study indicates that as cognitive deterioration progresses the explicit memory declines first among the Alzheimer's disease low risk group while as cognitive deterioration progresses the implicit memory declines successively. According to this results, implicit memory can be a index indicating the severity of the Alzheimer's disease.

청소년기 사회불안의 발생과 유지의 심리적 기제 Ⅱ: 6개월 추적조사
오경자(연세대학교) ; 양윤란(연세대학교) pp.557-57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아동 및 청소년기 사회불안의 지속성 정도를 평가하고 사회불안의 지속에 기여하는 변인들을 밝히기 위해 초등학교 4, 5학년 364명, 중학교 1, 2학년 518명, 고등학교 1, 2학년 373명, 총 1255명(남자 689명, 여자 566명)을 대상으로 사회불안과 함께 행동억제기질, 부모의 양육태도, 외상경험, 역기능적 인지도식 등 사회불안에 기여하는 것으로 밝혀진 요인들과 우울, 적응방해정도 등을 조사하고 6개월 후 추적조사를 통하여 다시 한번 사회불안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6개월 간격을 두고 동일한 측정도구로 평가된 대인 및 수행 상황에서의 불안점수 상관관계계수가 .54-.74로 나타났으며 평균에서 1SD 이상의 높은 불안을 보이는 집단 중 약 1/2 만이 2차 평가에서도 기준점 이상의 불안이 지속되었고 나머지는 기준점 이하로 사회불안 점수가 감소되었다. 사회불안의 지속에 기여하는 요인을 밝히기 위한 중다회귀분석 결과, 1차 시기의 사회불안수준과 행동억제기질, 외상경험 등이 2차 시기의 사회불안에 기여하는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고등학교 집단의 대인불안 자료에서는 내현화문제행동이 중요한 변인으로 나타나서 사회불안이 우울 등의 다른 내현화 문제와 함께 나타날 때 지속될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하였다. 또한 높은 수준의 불안이 6개월 후 지속되는 집단은 변동집단에 비하여 1차 평가에서의 대인 및 수행불안 점수와 행동억제기질, 그리고 외상경험 등이 높았고, 그 외에 우울 점수와 K-ASQ, K-CATS 등의 부정적 인지 점수가 높은 경향이 있었다. 특히 고등학교 대인불안 지속집단은 변동집단에 비하여 1차 대인불안점수, 행동억제기질, 외상경험 이외에 K-CATS, 우울 그리고 내현화 문제행동 점수에서도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Abstract

In an attempt to assess the stability of social anxiety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and identify variables contributing to the stability, a total of 1255 children and adolescents(364 4th-5th graders, 518 7th-8th graders, and 373 10th-11th graders) were given self-report measures of social interaction and performance anxiety, retrospective account of behavioral inhibition, traumatic experience, family environment, dysfunctional cognition, depression and interference. The same measures of social interaction and performance anxiety were repeated 6 months later. The correlation between the 1st and 2nd social anxiety scores in the 3 age groups ranged from .54-.74. and approximately half of the high anxiety group (with anxiety score 1SD above the mean) showed a drop in their anxiety scores below the criterion at the 6 month follow-up.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e level of social interaction and performance anxiety at the 1st assessment, behavioral inhibition and traumatic experience to be significant contributing factors to the social interaction and performance anxiety at the 2nd assessment. In addition, in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emerged as a significant contributing factor in the group of 10-11th graders. Those with high level of anxiety at both assessments had higher initial anxiety level, behavioral inhibition, and traumatic experience scores compared to those with transient anxiety. The persistent anxiety group also had higher depression and negative cognition measures.

청소년기 사회불안의 발생과 유지의 심리적 기제 Ⅰ: 행동억제기질, 부모양육태도 및 외상경험의 영향
오경자(연세대학교 심리학과) ; 양윤란(연세대학교 심리학과) pp.577-597
초록보기
초록

아동 및 청소년기의 사회불안 발생 경로를 알아보고자 초등학교 4-5학년 407명, 중학교 1-2학년 556명 그리고 고등학교 1-2학년 399명, 총 1362명(남자 756명, 여자 606명)을 대상으로 대인관계 및 수행 상황에 대한 불안을 각각 평가하고, 발달 단계별로 행동억제기질, 부모의 양육태도, 그리고 외상경험이 대인불안 및 수행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 대인 상황에서의 불안은 세 연령군과 남녀 집단 모두에서 공통적으로 행동억제기질의 직접경로가 유의하였고 초등학교 집단을 제외한 모든 집단에서 외상경험의 직접경로가 유의하였으나, 부모의 양육태도는 대인불안과의 직접 경로가 모든 집단에서 유의하지 않았다. 수행불안의 발생에는 초등 및 중학교 집단, 그리고 여학생 집단에서는 행동억제기질의 직접 경로가 유의하였고 고등학교 집단과 남학생 집단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 외상경험의 직접경로는 초등학교 집단을 제외한 모든 집단에서 유의하였다. 그러나 부모의 양육태도는 대인불안 및 수행불안과의 직접 경로가 유의하지 않았다. 대인불안과 수행불안에서 공통적으로 연령이 증가할수록 행동억제기질의 영향력은 감소하는 한편 외상경험의 영향력은 증가하였다. 또한 행동억제기질의 영향력은 남학생 집단보다 여학생 집단에서 더 높았으며 외상경험은 남학생 집단에서 상대적으로 더 강한 영향력을 보였다. 본 연구의 임상적 의미와 방법론상의 문제점을 논하였다.

Abstract

In order to investigate psychological mechanism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social anxiety, a total of 1362 children and adolescents(765 boys and 606 girls; 407 4th-5th graders, 556 7th-8th graders and 399 10th-11th graders) were given self report measures of anxiety in interpersonal and performance situations, retrospective account of behavioral inhibition, parental attitude, and traumatic experience in social situations. The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dicated that behavioral inhibition and traumatic experience have direct influence on social anxiety but the effects of parental attitude on social anxiety appears to be primarily mediated through the correlation with behavioral inhibition and traumatic experience. Strength of the direct path from behavioral inhibition to social anxiety decreased with age while the opposite was true of the path from traumatic experience. Similarly, the direct path form behavioral inhibition was stronger for girls compared to boys, while the opposite was true of the traumatic experience factor. Methodological limitations and clinical implic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숫자 바로 따라 외우기와 거꾸로 따로 외우기의 차이에 관한 규준 연구
김홍근(대구대학교) ; 박태진(전남대학교) pp.599-613
초록보기
초록

숫자외우기의 전통적인 채점 방법은 바로 따라 외우기(DF)와 거꾸로 따라 외우기(DB)의 점수를 합산하여 단일하게 채점하는 것이다. 그러나 DF와 DB의 개별적 채점 및 양자의 비교 필요성이 여러 연구자들에 의하여 제기되어 왔다. 이러한 견해를 수용하여 Wechsler 지능척도의 최신판인 WAIS-III는 요강 자체가 DF와 DB의 차이(DF-DB)에 대한 규준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DF-DB의 규준이 아직 제시된 바 없어서 양자의 차이에 대한 객관적 평가가 어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상인 201명의 자료에 기초하여 DF-DB에 관한 한국인 규준을 제시하였다. 연령, 학력, 지능 수준이 DF-DB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그러므로 DF-DB의 규준은 연령, 학력, 지능 수준의 구분 없이 단일하게 작성하였다. 규준의 형식은 DF의 자릿수에서 DB의 자릿수를 뺀 결과를 백분위 점수화한 형식을 취하였다. 규준을 검토해보면 DF- DB가 3이하면 백분위 35.3%이상으로 ‘정상’ 수준이며, 4면 백분위 16.4%로 ‘경계선’ 수준이고, 5이상은 백분위 6.5%이하로 ‘비정상’ 수준이다. DF는 정보의 유지만을 요하지만 DB는 정보의 유지뿐 아니라 조작을 요한다. 이러한 점에서 DF는 단기기억을 측정하지만 DB는 단기기억과 더불어 작업기억(working memory)을 측정한다. 그러므로 DF-DB는 작업기억의 한 지표로 활용될 수 있다.

Abstract

The traditional method of scoring Digit Span Test is to sum the scores of digits forward (DF) and digits backward (DB). However, several researchers have articulated the need for scoring DF and DB separately and comparing the two. The WAIS-III accepts the view and includes a U.S. norm for the difference between DF and DB. However, no Korean norm for the difference between DF and DB has been published yet. Thus,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provide a Korean norm for the difference between DF and DB. A total of 201 Korean normal subjects were administered DF and DB. The effects of age, years of education, or FIQ on the difference between DF and DB were minimal and statistically nonsignificant. Thus, the norm for the difference between DF and DB was constructed regardless of age, years of education, or FIQ. The unit of measurement for the norm was the number of digits forward minus the number of digits backward. The difference of 3 or smaller corresponded to 35.3%ile and may be classified as normal; the difference of 4 corresponded to 16.4%ile and may be classified as borderline; and the difference of 5 or greater corresponded to 6.5%ile and may be classified as abnormal. The DF requires short-term maintenance of information, whereas the DB requires short-term manipulation as well as short-term maintenance of information. Thus, the DF is a short-term memory task, whereas the DB is both a short-term memory task and a working memory task. Viewed in this way, the difference between DF and DB could be used as an index of working memory capacity.

숫자 바로 따라 외우기와 거꾸로 따라 외우기의 차이에 관한 규준 연구
김홍근(대구대학교 재활심리학과) ; 박태진(전남대학교 심리학과) pp.599-613
초록보기
초록

숫자외우기의 전통적인 채점 방법은 바로 따라 외우기(DF)와 거꾸로 따라 외우기(DB)의 점수를 합산하여 단일하게 채점하는 것이다. 그러나 DF와 DB의 개별적 채점 및 양자의 비교 필요성이 여러 연구자들에 의하여 제기되어 왔다. 이러한 견해를 수용하여 Wechsler 지능척도의 최신판인 WAIS-III는 요강 자체가 DF와 DB의 차이(DF-DB)에 대한 규준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DF-DB의 규준이 아직 제시된 바 없어서 양자의 차이에 대한 객관적 평가가 어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상인 201명의 자료에 기초하여 DF-DB에 관한 한국인 규준을 제시하였다. 연령, 학력, 지능 수준이 DF-DB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그러므로 DF-DB의 규준은 연령, 학력, 지능 수준의 구분 없이 단일하게 작성하였다. 규준의 형식은 DF의자릿수에서 DB의 자릿수를 뺀 결과를 백분위 점수화한 형식을 취하였다. 규준을 검토해보면 DF-DB가 3이하면 백분위 35.3%이상으로 '정상' 수준이며, 4면 백분위 16.4%로 '경계선' 수준이고, 5이상은 백분위 6.5%이하로 '비정상' 수준이다. DF는 정보의 유지만을 요하지만 DB는 정보의 유지뿐 아니라 조작을 요한다. 이러한 점에서 DF는 단기기억을 측정하지만 DB는 단기기억과 더불어 작업기억(working memo교)을 측정한다. 그러므로 DF-DB는 작업기억의 한 지표로 활용될 수 있다.

Abstract

The traditional method of scoring Digit Span Test is to sum the scores of digits forward (DF) and digits backward (DB). However, several researcher have articulated the need for scoring DF and DB separately and comparing the two. The WAIS-III accepts the view and includes a U.S. norm for the difference between DF and DB. However, no Korean norm for the difference between DF and DB has been published yet. Thus,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provide a Korean norm for the difference between DF and DB. A total of 201 Korean normal subjects were administered DF and DB. The effects of age, years of education, or FIQ on the difference between DF and DB were minimal and statistically nonsignificant. Thus, the norm for the difference between DF and DB was constructed regardless of age, years of education, or FIQ. The unit of measurement for the norm was the number of digits forward minus the number of digits backward. The difference of 3 or smaller corresponded to 35.3%ile and may be classified as normal; the difference of 4 corresponded to 16.4%ile and may be classified as borderline; and the difference of 5 or greater corresponded to 6.5%ile and may be classified as abnormal. The DF requires short-term maintenance of information, whereas the DB requires short-term maintenance as well as short-term maintenance of information. Thus, the DF is a short-term memory task, whereas the DB both a short-term memory task and a working memory task. Viewed in this way, the difference between DF and DB could be used as an index of working memory capacity.

로샤 검사의 EA 및 es 반응요소 유무에 따른 주관적 평정의 차이
고영건(고려대학교) ; 안창일(고려대학교) pp.615-62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로샤 검사의 EA 및 es 반응요소 유무에 따른 피검자의 로샤 카드에 대한 정서평정치들 간 차이를 검증하려 한다. 피검자로는 대학생 65명(남자 32명, 여자 33명)이 참여하였다. 피검자들에게 표준화된 절차로 로샤 검사를 실시한 후, 10장의 로샤 카드를 보여주면서 각 카드별로 쾌-불쾌, 이완-긴장, 흥분-우울의 세 가지 정서차원에 대해 9점 척도로 평정하도록 하였다. 그 후 피검자의 로샤 반응들을 “EA 포함반응”과 “EA-es 공존반응”, “es 포함반응” 그리고 “EA-es 비포함반응“으로 분류하였다. 그 결과, “EA 포함반응”에 비해 “es 포함반응”과 “EA-es 비포함 반응”이 산출된 로샤 카드들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더 불쾌하고 긴장되며 우울하다고 평가하였다. 그리고 “EA-es 공존 반응”을 포함하고 있는 로샤 카드에 대해서 피검자들은 세 가지 정서차원 모두에서 “EA 포함반응”과 “es 포함반응”의 중간 수준으로 평정하였다. 본 연구는 표본오류 편향의 가능성을 고려하여 새로운 피검자들로 구성된 검증표본을 통해 분석결과를 재검증하였다. 이 때 검증 표본의 피검자로는 대학생 58명(남자 31명, 여자 27명)이 참여하였다. 그 결과, 일부 통계적인 검증 결과에서 차이를 보이기도 했지만, 해석적인 의미 면에서는 이전의 분석과 동일한 결과를 산출하였다. 논의에서 카드별 주제 해석을 할 때 EA와 es 변인을 고려하는 방안에 대해서 검토하였으며 또한 연구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examined if there's any difference on affect ratings for Rorschach cards in relation to the actual patterns of control related variables. The subjects were 65 volunteered undergraduate students(male 32, female 33). The Rorschach test was administered according to the standard procedure. Then the subjects were shown the Rorschach cards again one by one and asked to rate each card on 9 point scales on three dimensions; pleasure-displeasure, relaxation-tension, excitement-depression. All the responses were classified into following four groups; "responses with EA", "responses with EA-es", "responses with es", and "responses without EA-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ubjects rated cards including "responses with es" or "responses without EA-es" more displeasing, tensive, depressive than cards including "responses with EA". Second, cards including "responses with EA-es" were rated at the middle between cards including "responses with EA" and cards including "responses with es" on all three dimensions. For the retest of the results, the Rorschach test was administered to new subjects(58 undergraduate students; male 31, female 27). Even though there were some minor differences on the statistical data, the results of the two analyses were basically same in terms of general level of hypothesis testing. Finally, limitations and future directions for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사회행동 배열과제의 개발과 타당도 연구: 정신분열병 환자의 사회인지 능력을 측정하는가?
권정혜(고려대학교) ; 전진수(고려대학교) ; 최기홍(고려대학교) pp.629-63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The Schema component sequencing task (Corrigan, Wallas, & Green, 1992)를 기초로 우리나라 정신분열병 환자들의 사회인지 능력을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고, 그 타당도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예비연구에서는 대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10개의 사회적 상황을 제시한 후 각 상황을 이루는 구체적 행동들을 개방형으로 기술하고, 그 순서를 정하게 하였다. 이 자료를 분석하여 우리나라 문화에서 일반적인에게 친숙한 사회적 상황을 6개 선정하고, 각 상황을 이루는 9개 구체적 행동들과 그 순서를 정하였다. 이와 같이 선별한 6개 문항으로 이루어진 사회행동 배열과제를 총 네 곳의 정신재활센터에 등록한 정신분열병 환자 42명에게 실시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사회행동 배열과제의 내적 일치도 계수는 .87으로 나타나 높은 신뢰도를 보였다. 다음으로 사회행동 배열과제가 과연 사회인지 능력을 측정하는지 검토하기 위하여 사회행동 배열과제와 다른 검사들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우선 사회인지 능력을 측정하는 것으로 밝혀진 KEDI-WISC의 ‘차례 맞추기’ 소검사와 사회행동 배열과제의 상관계수(r)를 계산한 결과 .47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반적인 인지 능력을 재는 K-WAIS ‘어휘력’ 소검사와의 상관계수는 .14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사회행동 배열과제와 사회기술을 측정하는 대인관계 기능평가와 사회생활기술척도와의 상관계수를 구해본 결과 각각 .44와 .58의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 사회행동 배열과제는 높은 신뢰도와 타당도를 가지는 것으로 보여 정신분열병 환자들의 사회인지 능력을 재는 데 유용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Social Behavior Sequencing Task (SBST) measuring social-cognitive ability of schizophrenics and examine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The Social Behavior Sequencing Task was developed following the format of the Schema component sequencing task used by Corrigan, Wallas, & Green(1992). The final six items of the Social Behavior Sequencing Task were selec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liminary study in which 10 items were administered to 200 college students. To establish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the Social Behavior Sequencing Task was then administered to 42 schizophrenics attending the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s and 46 normal adults.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Cronbach alpha coefficient was .87 indicating high reliability. It was also shown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chizophrenic group and the normal group on the mean of the SBST, t(86)=-3.40. p < .01. The results of the correlational analyses indicated that the score of the SBST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score of the picture arrangement subtest of KEDI-WISC, r=.47, p < .01 but not with the vocabulary subtest of K-WAIS, r=.14, ns. The SBST was also found to b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wo measures of social skills(r=.44 & -.58), demonstrating high validity. Implications of the results were discussed along with its limitations.

분노-억압 집단의 방어적 투사
고영건(고려대학교) ; 안창일(고려대학교) pp.641-660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MMPI와 로샤 검사를 통해 분류한 분노-억압 집단이 정신역동 이론과 사고억제 이론에서 예언하는 것처럼, 실제로 방어적인 투사를 보이는 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피험자로는 한 대학의 심리학 관련 교양과목 수강생 55명(남자 29명, 여자 26 명)이 참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MMPI와 로샤 검사 결과에 기초하여 피험자들을 높은 분노 집단, 낮은 분노 집단 그리고 분노-억압 집단의 세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그 후 세 집단에게 공격적으로 행동하는 인물에 대한 자료를 주고서 자신이 그러한 인물과 얼마나 다른 지를 평가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 결과, 분노-억압 집단은 높은 분노 집단과 낮은 분노 집단보다 공격적인 인물에 대해 더 높은 차별화 점수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험자들은 공격적으로 행동하는 인물에 대해서 긍정적인 특성에는 상대적으로 낮은 점수를 그리고 부정적인 특성에는 상대적으로 높은 점수를 주었으므로, 공격적인 인물과 자신이 다르다고 평가한 정도, 즉 차별화 점수는 사실상 투사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끝으로 분노의 억압을 평가하는 임상적인 의미와 본 연구의 제한점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examined if the anger-repression group showed defensive proj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psycho-dynamic theory and the thought suppression theory. The subjects were 55 undergraduates(male 29, female 26) who were taking a cultural course of Psychology. They were divided into 3 groups(high anger group, low anger group, anger-repression group) by the multimethod using MMPI and the Rorschach test. The each group was asked to rate the actor having done certain violent behavior.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anger-repression group showed substantially higher scores on the ratings of psychological discrimination against others under the violent condition than the other two groups.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higher the score is, the more negative the judgement is. Therefore, the anger-repression group classified by the multimethod seems to have a biased interpersonal perception, namely defensive projection. The clinical meaning of anger-repression and suggestions for psychological interventions were discussed.

로샤 검사에서의 증상가장 탐지
김진영(서울여자대학교) ; 안창일(고려대학교) pp.661-682
초록보기
초록

지금까지 나쁘게 왜곡하기와 관련해서 많은 로샤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MMPI처럼 독립된 지표를 개발하는 데까지는 도달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초하여 임상장면에서 정상인이 보상금을 받거나 또는 법적인 책임을 회피하기 위해서 증상을 가장하고자 시도할 경우, 로샤 검사를 이용하여 그러한 시도를 적절히 감별해낼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이 정신분열병 환자를 가장한 상태에서 수행한 로샤 검사 결과와 실제 정신분열병 환자의 로샤 검사 결과를 극적인 반응 변인을 중심으로 비교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총 반응수 중 극적인 반응비율 변인과 극적인 반응수 중 o 형태질 반응비율 변인이 정신분열병을 가장하는 시도를 가장 잘 감별해 주는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로샤 증상가장지표로서 “총 반응수 중 극적인 반응비율 .20 이상 그리고 극적인 반응수 중 o 형태질 반응비율 .30 이상”의 기준을 적용한 결과, 분류의 정확도는 89.19%로 나타났다. 그리고 표본오류편향을 방지하기 위해 이러한 분류기준을 또 다른 표본에 적용해본 결과 분류의 정확도는 91.31%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정신분열병을 가장한 집단이 보인 극적인 반응비율의 평균은 .43~.49였다. 반면에 PTSD를 가장한 집단의 극적인 반응비율의 평균은 .30~.34였다. 또 동일한 로샤 증상가장 지표를 사용할 경우, 정신분열병 집단의 경우에는 분류의 정확도가 89.19~91.31%이었지만, PTSD집단의 경우에는 83.65%로서 정확도가 다소 떨어지는 양상을 나타냈다. 이처럼 분류의 정확도가 떨어지는 것은 PTSD를 가장한 피험자들이 정신분열병을 가장한 피험자들보다 덜 심각한 정신병리를 가장하려고 노력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결과는 증상을 가장하는 시도를 감별하는 경우, 목표증상의 심각도를 신중하게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해 준다.

Abstract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is to construct an index which can detect faking responses on the Rorschach test.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mpared the Rorschach responses of normals pretending schizophrenia with those of true patients with schizophrenia focusing on the ratio of dramatic responses variable. And the index constructed in study 1 was applied to the faking group pretending to have PTSD symptoms. This procedure was done to examine the cross validity related to the severity of symptom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or detecting the subject faking schizophrenia on the Rorschach test, it seems to reasonable to use the following criterion; 'the ratio of dramatic responses over .20 and the ratio of dramatic responses with form quality o over .30'. Second, there may be a better chance of detecting the subject faking PTSD with the criterion; 'the ratio of dramatic responses over .15 and the ratio of dramatic responses with form quality o over .25'. Therefore, in order to detect the faking case, the type and severity of target symptoms that the subject intends to malinger must be considered carefully. Third, the Rorschach Faking Index should be applied with flexibility in clinical settings.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mentioned.

Brief Psychiatric Rating Scale - 평정방법에 따른 평정자간 신뢰도와 자기보고식 검사와의 상관연구
김민경(가톨릭대학교) ; 이봉건(충북대학교) ; 전양환(가톨릭대학교) pp.685-69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임상가의 직접관찰과 면담을 통해 환자의 정신증적 상태를 평가하는데 널리 사용되는 Brief Psychiatric Rating Scale(BPRS)의 Anchored Version(Gabbard 등, 1986; Overall, 1962)의 평정자간 신뢰도를 조사하고, BPRS와 자기보고식 검사와의 상관을 알아보았다. 우선 21명의 입원 정신증 환자를 대상으로 두 명의 평정자와 한 명의 평정자가 각각 짝진면접과 개별면접을 통해 평정한 후 평정자들 간의 신뢰도를 비교하였다. 다음에는 환자가 자신의 상태를 직접평가한 SCL-90-R과 BPRS 유사문항과의 상관연구를 통해 평정방법의 차이에도 불구하고(삭제) 안정된 일치도를 얻을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짝진면접자간의 신뢰도가 18문항 중 15문항에서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수준에서 산출되어, 개별면접자간의 평정신뢰도에 비해 안정된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BPRS의 불안, 적대감, 의심 문항이 자기보고식 검사인 SCL-90-R의 불안, 적대감, 우울, 편집증, 대인민감성, 정신증 척도와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정적 상관을 나타내어 유사문항간의 관계성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국내에서 연구된 적이 없는 BPRS-Anchored Version(Gabbard 등, 1987)의 신뢰도를 조사한 것이며, 같은 증상들이 다른 평가방법으로 평가될 때의 결과의 일치도와 더불어 연구방법론상의 제한점과 장차 연구를 위한 보완점을 제시한 것이다.

Abstract

This study purported to compare the inter-rater reliability of Korean Brief Psychiatry Rating Scale-Anchored Version(BPRS; Overall, 1962) between the joint interview and the separation interview and to study the correlation between BPRS and self-report test(SCL-90). The subjects consisted of 21 inpatients in University psychiatric hospital. In the joint interview, the two 10-month experienced clinical psychology trainees rated the BPRS 18 items. In the separation interview, another licenced clinical psychologist alone rated the same patients. Also SCL-90 scales were administered to the same patients. The scores of the clinician-rated BPRS were correlated with those of the SCL-90-R, a self-report measure. The results showed that joint interview produced higher reliability than separation interview. The analysis of correlations between the BPRS and SCL-90 indicated that Anxiety, Hostile, Suspicious items of theBPR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nxiety, Hostile, Depression, Paranoid Ideation, Interpersonal Sensitivity, Psychoticism scales of the SCL-90-R respectively. The limitations and clin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the recommentations for the future study were suggested.

Happy-QoL 척도의 교차 타당화: 확인적 요인분석을 이용하여
국승희(전남대학교) ; 손정락(전북대학교) pp.699-708
초록보기
초록

Happy-QoL 척도는 정신분열병 환자의 삶의 질(Quality of Life, QoL)을 평가하기 위해 개발된 척도이다. 탐색적 요인분석에서 이 척도는 5개 요인(경제적 영역, 일반적 영역, 신체적 영역, 직업/사회적 영역, 정서적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Happy-QoL 척도의 요인모델이 새롭게 표집된 정신분열병 환자들의 자료에도 잘 부합되는 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상이한 시간간격에서 QoL 척도에 대한 정신분열병 환자의 반응이 시간적 안정성이 있는 지도 알아보았다. 연구자가 제안한 모델은 5개 요인간에 상호 상관이 있는 모델이었으며, 대안모델은 요인간 상관이 없는 모델 및 요인 1(경제적 영역)과 요인 4(직업/사회적 영역), 요인 2(일반적 영역)와 요인 3(신체적 영역)간의 상관을 가정한 모델이었다. 연구대상은 정신분열병 환자 270명이었다. χ2 차이 검증 결과, 대안모델들에 비해 5개 요인간 상관을 가정한 제안모델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주, 2주, 4주 간격 각각에서 Happy-QoL 척도에 대한 정신분열병 환자들의 반응은 시간적 안정성이 있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을 간략하게 논의하였다.

Abstract

Happy-QoL Scale was developed to assess the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c disorder and composed 5 factors(economic domain, general domain, physical domain, occupational/social domain, and affective domain). This study was intended to confirm that the factor model of the Happy-QoL scale developed by explanatory factor analysis could be fitted to the newly collected data from the subjects and to examine the responses to the QoL scale had a time stability over the different time intervals. The principally proposed model was consisted of five factors which were correlated each other. The alternative models suggested were as follows: the model supposed no correlation among 5 factors; the model supposed correlation between factor 1(economic domain) and factor 4(occupational/social domain), and between factor 2(general domain) and factor 3(physical domain). The subjects were composed of 270 patients with schizophrenic disorder. The results of χ2 difference test showed that the model supposing five factors were correlated each other was best fitted. The responses to the Happy-QoL scale had the time stability on each periods of week 1, week 2, and week 4. Finally, the suggestions of this study were briefly described.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