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권호 목록

Think Aloud 훈련이 ADHD 성향이 있는 아동의 주의력 결핍, 충동성 및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효과
두정훈(원광대학교) ; 손정락(전북대학교) pp.1-1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소리내어 생각하기(Think Aloud, TA) 훈련이 ADHD 성향이 있는 아동의 주의력 결핍, 충동성 및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J지역 초등학교 2학년 남학생 중 교사가 평정하는 단축형 코너스 평가 척도(Abbreviated Conners Rating Scale, ACRS)에서 17점 이상을 받은 15명을 선발하였다. 그 중 실험집단(TA 참가 집단)에 7명이 배정되었고, 대기통제집단에 8명이 배정되었다. TA 프로그램 실시 전과 실시 후에 아동의 주의력 결핍, 충동성 및 사회적 유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아동용 계층적 주의력 수행검사(Stratified Test of Attention, STA), 부모용 한국판 아동․청소년 행동평가척도(Korean Child Behavior Checklist, K-CBCL), 교사용 Maston의 아동 사회기술평가척도(Matson Evaluation of Social Skills with Youngsters, MESSY)를 실시하였다. TA 프로그램에 참가한 아동의 주의력 결핍과 충동성이 대기통제집단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사회적 유능성에서는 두 집단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Think Aloud(TA) training on attention deficit, impulsivity, and social competency of the ADHD-prone children. Fifteen second-grader boys in the elementary school with Abbreviated Conners Teacher Rating Scale(ACTRS) score above 17 were selected. The 7 boys were assigned in the TA training group and the 8 boys were assigned in the control group. The Stratified Test of Attention(STA) for children, the Korean Child Behavior Checklist(K-CBCL) for mother, and the Matson Evaluation of Social Skills with Youngsters (MESSY) for teachers were administerd before and after the TA training. After the all training sessions, there were significant reductions in the attention deficit and the impulsivity in the TA training group.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ocial competency between the TA training group and the control group. Finally, the sugges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우울집단과 사회불안집단의 부정적 정보에 대한 통제처리 및 자동처리 편향
강승석(연세대학교) ; 오경자(연세대학교) pp.17-3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우울집단과 사회불안집단의 부정적 자극에 대한 정보처리 편향인 기분일치기억(Mood Congruent Memory)을 암묵기억-외현기억 차원과 유사한 자동처리-통제처리 차원에서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중에서 우울집단, 사회불안집단, 그리고 통제집단을 각각 20명씩 선정하였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Jacoby(1991)가 제안한 처리해리절차(Process Dissociation Procedure)에 따라 부정적 단어 및 중립적 단어에 대한 통제처리, 자동처리 추정치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우울집단에서는 부정적 단어에 대한 통제처리 편향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으나, 자동처리 차원에서는 그러한 편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에 사회불안집단에서는 부정적 단어에 대한 자동처리 추정치가 세 집단 중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지는 않았다. 또한 사회불안집단에서는 부정적 단어에 대한 통제처리 추정치 자체는 통제집단과 유사한 수준이었으나 중립단어보다 부정적 단어를 보다 잘 기억하는 통제처리 편향 정도가 우울집단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실험결과를 부정적 정서자극에 대한 의식수준에서의 반추와 같은 우울증의 증상과 부정적 정서 자극에 대한 비의식적 수준에서의 회피 및 불편감과 같은 사회공포증의 증상들과 관련하여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information processing bias for negative stimuli associated with depression and social anxiety. Each 20 college students were screened for social anxiety and depression and control group. Students with BDI score in the higher 15%ile but SADS score in the lower 50%ile were assigned to the Depression Group and students with BDI score in the higher 15%ile but BDI score in the lower 50%ile were assigned to the Social Anxiety Group. Students with both BDI score and SADS score in the lower 50%ile constituted the Control Group. Process-dissociation procedure was used to measure the controlled and automatic processing as Jacoby(1991) had proposed. Results showed that the Depression Group showed significantly larger bias for negative words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controlled processing, but not in the automatic processing. In contrast, the group differences in the automatic processing bias did not reach statistical significance although the Social Anxiety Group showed the largest automatic processing bias for negative words among the three groups. The Social Anxiety Group also showed nearly the same degree of controlled processing bias for negative words. The findings were discussed in terms of its implications for symptoms of depression and social anxiety. Finally,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nd future directions for further study were discussed.

외손상 뇌 손상 환자의 기억기능 연구- 뇌 손상의 심각도에 따른 비교
최성혜(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구로병원 신경정신과 임상심리실) ; 이현수(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구로병원 신경정신과 임상심리실) pp.33-5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외상성 뇌손상(TBI)을 심각도에 따라 경도(MTBI)와 중등도 및 심도(M-STBI)로 구분하고, MTBI군 46명, M-STBI군 60명, 정상군 60명을 대상으로 K-MAS의 수행특성을 비교함으로써 이들의 기억특성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M-STBI군은 정상군과 MTBI군에 비해 단기, 언어, 시각, 전체기억 등 기억력 전반에 걸쳐 유의미하게 저조한 수행을 보였고, MTBI군도 정상군에 비해 대부분의 기억과제에서 낮은 수행을 보였다. 회상형식에 대한 차이를 비교한 결과, MTBI, M-STBI 모두 회상에 비해 재인과제에서 현저한 수행향상을 보였으나, M-STBI의 경우 재인 및 회상수 자체는 비교집단에 비해 매우 낮았다. 파지기간에 따른 차이비교에서 MTBI와 정상군은 시간지연에 따른 안정된 파지력을 보인 반면, M-STBI군은 기억력 저하양상을 보였다. 그 외에도 M-STBI군은 비교집단에 비해 높은 침입율과 낮은 군집화 및 반복학습 효과를 보여 기억방략의 사용도 가장 저조했다. 하지만, MTBI군도 정상군에 비해 낮은 군집화와 높은 침입율을 보여 질적인 기억력 약화가 시사되었다. 판별분석 결과, M-STBI와 정상군, MTBI와 정상군, M-STBI와 MTBI에 대한 K-MAS의 전체 진단정확률은 각각 86.4%, 75.2%, 68.9%였고, MTBI와 정상군을 변별해주는 변인은 단어회상, 얼굴지연기억이었고, M-STBI와 MTBI군을 변별해주는 척도는 단어지연회상과제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후속 연구에 대한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nature of memory deficits in traumatic brain injury(TBI) patients compared to normal controls, using the Korean Version of Memory Assessment Scale(K-MAS).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 mild traumatic brain injury(MTBI) group(N=46), (b) moderate to severe traumatic brain injury(M-STBI) group(N=60), (c) normal control group(N=60). Three groups showed no difference in age, education level. Current findings are as follows: (a) MTBI and M-STBI groups performed most of K-MAS subtests worse significantly than control group. (b) M-STBI group showed less total recall and recognition score, less clustering and learning effect and more rapid forgetting rate than MTBI and control groups. (c) MTBI group showed more total recall and recognition score, higher clustering and learning effect than M-STBI group. (c) But MTBI and M-STBI groups didn't differ significantly in rate of intrusion and perseveration. This finding suggests that MTBI could show substantial memory deficits as well as M-STBI. Discrimination analysis between MTBI and M-STBI demonstrated 68.9% of diagnosis precision rate. And it was confirmed that Delayed List Recall Test has high discriminating power. Finally, the clin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신체형장애 환자들의 질병행동 특성
이기련(한마음상담연구소) ; 이영호(가톨릭대학교) pp.57-70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질병행동질문지 및 증상해석질문지를 사용하여 신체형 환자들의 질병행동 특성을 살펴보았다. 신체형장애 집단, 기분장애 집단, 불안장애 집단간에 질병행동질문지 및 증상해석질문지의 각 하위척도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신체형장애 집단은 기분장애 집단에 비해 질병확신과 건강염려를 더 많이 나타냈으며, 불안장애 집단은 기분장애 집단에 비해 건강염려를 더 많이 보였다. 부인 및 정서적 불안정에서는 집단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신체증상의 원인 해석에서는 신체형장애 집단과 불안장애 집단이 기분장애 집단에 비해 신체귀인과 정서귀인을 더 많이 보였다. 진단에 관계없이, 정신과 환자들의 신체증상 호소를 설명하는 변인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질병확신과 신체귀인이 신체증상 호소를 유의미하게 설명하는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두 변인이 신체증상 호소의 19.4%를 설명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및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illness behavior of somatoform disorder patients using Illness Behavior Questionnaire(IBQ) and Symptom Interpretation Questionnaire(SIQ). For this purpose, we compared somatoform disorder group(n=45), mood disorder group(n=81) and anxiety disorder group(n=27) on the subscales of IBQ and SIQ. The result showed that somatoform disorder group scored higher on disease affirmation and general hypochondriasis compared with mood disorder group. Anxiety disorder group scored higher on general hypochondriasis compared with mood disorder group. There was no difference on denial and affective disturbance between three groups. In regard to symptom interpretation, somatoform disorder group and anxiety disorder group are more likely to attribute symptoms to physical cause and emotional cause than mood disorder group. To find out which variables are most relevant to somatic complaints of psychiatric patients in gener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wo variables, disease affirmation and physical attribution, were significant. They explained 19.4% of the variance of somatic symptoms. Finally, sugges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자기개념 위협에 따른 편집성향자들의 주의편향 및 귀인양식에 미치는 영향
이명원(서울대학교병원 신경정신과) ; 김중술(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신민섭(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pp.71-9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편집성향자들의 자기개념을 위협했을 때 자기관련 정보처리에서의 편향과 귀인 편향 및 외현적 자기개념을 검증하기 위해 편집성향 집단, 우울성향 집단, 정상통제 집단을 대상으로 실험을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개념에 위협을 받은 편집성향 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자기관련 단어에 더 주의편향을 보이며, 과제에서의 실패를 다른 사람에게 귀인하고, 자기기술 평정에서 자신을 긍정적으로 평정할 것이라는 가설을 실험으로 검증하는 것이었다. 연구결과, 편집성향자들이 자기에 대한 위협을 받았을 때는 자기와 관련된 자극에 더욱 민감해지며, 부정적 결과들을 다른 사람에게 귀인하고, 겉으로는 긍정적인 자기개념을 유지한다는 기본 가설이 지지되었다. 또한 이러한 인지적 특성들은 자기에 대한 위협을 받지 않았을 때는 현저하게 감소한다는 가설도 검증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앞으로의 연구방향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is paper confirmed the cognitive biases of people with paranoid tendencies in either threatening or enhancing self-concept: bias in the information processing relevant to the self, attributional bias, and explicit self-concept.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was that, when their self-concepts is threatened, people with paranoid tendencies become sensitive to stimuli related to self, attribute negative events to others, and explicitly perceive themselves positively. The another goal of this study was to demonstrate that such individuals reveal these cognitive biases when their self-concepts are threatened, but in the absence of threat, they reveal these biases to a much lesser degree. Cognitive biases were investigated in three groups of college students: one with paranoid tendencies, one with depressive tendencies, and one normal control group. The students in each category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wo groups. One group was given positive feedback regarding a disguised IQ test and the other was given negative feedback about the test. The hypothesis was that the paranoid subjects in the group whose self-concept was threatened (i.e., that was given negative feedback) would show more attention bias to words related to self than subjects from the control group, would attribute failure in the task to a partner, and would rate themselves positively in self-descriptive words. Another hypothesis of this study was that the paranoid members of the group in which self-concept was threatened but given positive feedback would show these cognitive biases much less.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supported these hypotheses. These findings are interpreted as consistent with the recent theories that paranoia functions as a defense against low self-esteem and that the paranoid have underlying weak self-concepts and are very sensitive to threats to self. When under threat, they show so external attributional bias that they may preserve their positive self-concept.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사회공포증의 사이버 집단상담 효과
장현아(서울대학병원 소아정신과) ; 안창일(고려대학교) pp.93-10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CMC(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를 기반으로 하여 사회공포증에 대한 사이버 집단치료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인터넷에 사이버 상담실을 마련하고 치료자를 포함하여 4-6명의 소규모 폐쇄집단으로 운영하였다. 총 34명의 내담자가 본 연구에 참여하였는데 치료 프로그램 도중 12명이 탈락하여 치료집단에 총 18명, 대기자집단에 4명이 치료를 마쳤다. 프로그램은 인지행동적 접근으로 한 회기는 약 90분 가량 소요되며 전자 대화 형식의 집단상담이 주 2회 총 10회기동안 진행되었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치료전과 후에 사회적 회피 및 불안 척도(SADS),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척도(FNE), 상태·불안척도, 역기능적 사고 척도 중 부정적 자기개념 척도를 사용하였고, 치료 후에는 프로그램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를 위한 개방형 질문지와 집단상담 치료요인 질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연구 결과, 치료집단에서 사이버 집단상담 후에 실시한 모든 척도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여 사회공포증의 치료에 인지행동적 접근의 사이버 집단상담의 효과가 검증되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의의를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cyber group therapy for social phobia. The setting was a closed user group on internet site in which 4-6 clients including a counselor were assigned. A total of 34 clients participated at the beginning and 2 dropped, and remaining 22 clients, 18 with social phobia as experimental group and 4 in control group, had been surveyed to the end of the study. Ten 90 minute sessions of cyber group therapy, which was primarily focused on cognitive behavioral treatment, were conducted over a 5-week period. The clients were given e-mailed reading material for review before each session and were assigned homework after the group therapy. An 24 hour accessible cyber-bulletin board was prepared for the clients to post their assignment results. Outcome was assessed on measures of Social Avoidance and Anxiety Scale(SADS), Fear of Negative Evaluation Scale(FNE), State Trait Anxiety Inventory, Dysfunctional Test, based on the client responses on a questionnaire answered at the beginning and closing of the study. After the study, the clients were also asked to answer the open-type questionnaire to evaluate the study in terms of assessment of program. The findings of the study demonstrated that change, in this cyber group therapy, was detected with a significant reduction in phobia symptoms on entire outcome measures. The clients satisfaction with the session program was also high, marking 4 in the questionnaire anchored to 5-point rating scale. The main treatment reason was attributed to easy access to psychological information, self-understanding and then generality of the study. The results are interpreted as supporting the efficiency of group therapy in cyber space, which could induce changes in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aspects associated with social phobia. Further study is needed to examine the usefulness and a specific role of this group therapy in addition to traditional treatment method for social phobia.

청소년용 미네소타 다면적 인성검사한국판의 요인구조분석
임지영(서울대학교) pp.109-12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한국 정상 청소년집단과 임상집단을 대상으로 청소년용 미네소타 다면적 인성검사(MMPI-A) 한국판을 실시하여 표준척도와 내용척도의 요인구조를 분석하였다. 3가지 타당도 척도와 10 가지 임상척도로 이루어진 표준척도 셋트와 15가지 내용척도 셋트의 원점수에 대해 각각 주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표준척도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정상 남자 청소년 집단과 정상 여자 청소년 집단, 그리고 남녀 결합진단에 대해 3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다. 추출된 3개의 요인들은 일반적 부적응, 억압/과도통제, 그리고 내향성으로 명명되었다. 남녀 결합 임상집단에서는 이들 3요인 외에도 남성성-여성성의 제4요인이 추출되었다. 내용척도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모든 집단에서 2개의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추출된 2개의 요인들은 외현화 경향과 사회적 불편감으로 명명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청소년용 미네소타 다면적 인성검사(MMPI-A) 한국판의 요인구조가 성별과 집단(정상집단, 임상집단)에 관계없이 비교적 유사함을 시사하였다. 본 연구의 제한점을 보완함으로써 향후 청소년용 미네소타 다면적 인성검사(MMPI-A) 한국판의 요인구조를 확립하는 데에 초석이 될 것이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 structure of the MMPI-A basic and content scales based on the data of Korean normal and clinical adolescent samples. Principal factor analyses were conducted on the raw score data for 13 MMPI-A basic scales and 15 content scales, respectively. Analyses of the 13 basic scales yielded a three-factor solution for boys and girls in the normal sample and for the combined normal group. The three factors were labeled general maladjustment, repression/overcontrol, and social introversion. The fourth factor, masculinity-femininity, was obtained for the combined clinical group. Analyses of the 15 content scales produced a two-factor solution for all samples. The two factors were considered as externalizing tendencies and social discomfor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factor structure of the Korean MMPI-A may be seen as relatively robust and stable within and across gender and settings. Given the limitations of this investig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be an important step toward establishing the factor structure of this new instrument.

한국판 청소년 인터넷 중독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김은정(아주대학교 심리학과) ; 이세용(삼성생명공익재단 사회정신건강연구소) ; 오승근(삼성생명공익재단 사회정신건강연구소) pp.125-13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한국판 청소년 인터넷 중독 척도를 개발하기 위하여 Young(1998)의 인터넷 중독 척도를 기초로 하여 20문항을 제작하고, 이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1035명의 초등학교 5, 6 학년 및 중고생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한국판 청소년 인터넷 중독 척도는 내적 합치도, 검사-재검사 신뢰도, 문항-총점간 상관이 매우 높았다. 요인분석 결과, ‘의존성 및 금단 증상’, ‘부정적인 결과’, ‘내성’ 등의 3요인이 추출되었다. 인터넷 중독 척도는 이용시간 및 인터넷 기대 척도와는 정적 상관을 보이며 자기통제력 척도와는 부적인 상관을 보여 타당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한국판 청소년 인터넷 중독 척도는 매우 신뢰롭고 타당한 척도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의 방향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Korean Adolescent Internet Addiction Scale(K-AIAS). The scale was based on the 20-item Young(1998)'s Internet Addiction Scale and was converted to Korean adolescents. Several self-report inventories were administered to 1035 adolescents. The results showed that K-AIAS was highly reliable in terms of internal consistency, temporal stability and item-total correlation coefficients. Factor analysis revealed that K-AIAS had three factors labeled 'Dependence and 'Withdrawal', 'Negative consequences', and 'Tolerance'. K-AI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hours per week, frequency per week, and Internet Expectancy Sale. On the other hand, K-AI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elf-control Scale. In conclusion, K-AIAS appears to be a highly reliable and valid measure to assess adolescent internet addiction.

지능검사와 신경심리검사는 무엇이 다른가?
김홍근(대구대학교) pp.141-158
초록보기
초록

신경심리검사의 외적인 성장에도 불구하고 많은 임상가들이 신경심리검사의 정체성에 대해 상당한 개념적 혼란을 갖는다. 본 논문은 신경심리검사란 무엇인가?라는 의문을 지능검사와의 비교라는 관점에서 접근하였다. 이러한 논의의 출발점은 지능검사와 신경심리검사가 인지검사라는 점에서 기본적으로 유사한 검사라는 인식이다. 본 논문은 지능검사와 신경심리검사의 차이점이 무엇인가?를 세 가지 측면, 즉 측정의 목적(왜 측정하는가?), 측정의 방법(어떻게 측정하는가?), 측정의 영역(무엇을 측정하는가?)에서 논의하였다. 주요 결론은 지능검사와 신경심리검사가 측정의 목적이나 방법에서는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지만, 측정의 영역에서는 명확한 차이를 보인다는 것이다. 지능검사는 주로 주의, 언어, 시공간기능에 국한된 인지검사인 반면에, 신경심리검사는 주의, 언어, 시공간기능, 기억, 관리기능의 주요한 인지영역을 모두 측정한다. 그러므로 지능검사와 신경심리검사는 후자가 보다 종합적인 인지검사라는 점에서 가장 실질적인 차이가 있다. 이러한 지능검사와 신경심리검사의 차이가 인지검사를 실시하려는 임상가들에게 시사하는 바를 논의하였다.

Abstract

While neuropsychological testing has been proliferating in recent years, many clinicians have some doubts about its identity. The present review addressed the issue of ‘what is a neuropsychological test?’ by way of comparing intelligence and neuropsychological tests. The basic premise underlying this approach is that both intelligence and neuropsychological tests are examples of a cognitive test and thus similar in nature. Intelligence and neuropsychological tests were compared in terms of measurement aim, measurement method, and measurement domain. The main conclusion is that intelligence and neuropsychological tests exhibit no obvious differences in measurement aim or method, but clearly differ in measurement domain. An intelligence test measures attention, language skill, and visuospatial function, whereas a neuropsychological test measures attention, language skill, visuospatial function, memory, and executive function. Thus, the main difference between intelligence and neuropsychological tests lies in the fact that a neuropsychological test is a more comprehensive cognitive test than an intelligence test. Implications for this conclusion for practicing clinicians are discussed.

로샤 반응에 나타난 공격행동의 예측변인: 공격적 운동반응과 공백반응을 중심으로
김태경(길병원신경정신과) ; 김재환(한양대학교) pp.159-171
초록보기
초록

로샤 검사에서 공격성 예측변인으로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공격적 운동 반응(AG)과 공백 반응(S) 및 비교적 최근에 개발되어 신뢰도와 타당도가 입증되고 있는 공격적 내용(AgC) 변인이 실제 공격행동을 얼마나 예측해주는지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정신과 입원환자 71명이었으며, 실제 공격행동은 수정된 명백 공격행동 척도(MOAS)로 평정되었다. 연구 결과, 공격적 운동 반응은 자신 및 타인에 대한 공격행동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그리고 공백반응은 자신에 대한 공격행동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공격적 운동집단(AG>2, S<4), 공백반응집단(AG<3, S>3) 및 비교 집단(AG<3, S<3)으로 구분하여 집단간 비교분석을 실시한 결과, MOAS 점수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공격적 운동집단은 입원전의 물건 및 타인에 대한 공격행동에서, 그리고 공백반응 집단은 입원 기간중의 자신에 대한 공격행동에서 나머지 두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나머지 로샤 변인의 집단간 비교분석 결과, 순수 색채반응과 병적인 내용이 공격적 운동 집단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공격적 내용은 공격행동을 유의하게 예측해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함의와 몇 가지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if Rorschach aggression variables(AG, S, AgC) are valid predictors of overt aggressive behaviors. 71 Rorschach protocol were randomly sampled among closed ward inpatients. Modified Overt aggression Scale(MOAS) was used for rating of overt aggression behaviors. At the result, AG was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ggressive behavior toward self and persons, and S was significant correlation aggressive behavior toward self. Also, AG group(AG>2, S<4) and S group (S>3, AG<3)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 than compare group(AG<3 and S<4) in MOAS. Especially, AG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 MOAS toward objects and persons at pre-admission periods, and S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 MOAS toward self during admission. It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ggressive Contents and MOA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ADHD 아동의 Rey-Osterrieth Complex Figure 검사 수행 특성
정은경(한양대학교) ; 김재환(한양대학교) ; 안동현(한양대학교) pp.173-18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Rey-Osterrieth Complex Figure 검사를 통해 ADHD 아동의 시공간 조직화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ADHD집단에는 7-11세 아동 23명, 정상 집단에는 동일 연령의 아동 24명이 포함되었으며, 이들에게 ROCF 모사와 즉시회상, 지연회상과제 실시하여 그 결과를 Osterrieth 채점방식과 Waber와 Holmes의 발달채점체계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모사 정확성 점수에서는 ADHD 집단과 정상집단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지만, 회상시에는 ADHD 집단이 정상집단에 비해 구조요소와 주변요소 모두를 부정확하게 그렸다. 반면, 모사 시행에서는 ADHD 집단의 조직화 점수가 유의미하게 낮았으나 회상에서는 두 집단간 차이가 없었다. 오류에서는 보속성을 비롯한 오류 총합이 모사 시행시 ADHD 집단에서 유의미하게 많았으나 역시 회상 시행에서는 두 집단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모사양식에서는 ADHD 집단이 정상 집단에 비해 외부부분/내부윤곽양식을 훨씬 많이 사용하였다. ROCF 검사가 두 집단을 얼마나 잘 변별하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된 판별분석 결과, ADHD 집단과 정상 집단에 대한 전체 분류정확률은 68.1%이었고, ADHD 집단의 69.6%가, 정상 집단의 66.7%가 정확하게 분류되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ROCF에 있어서 ADHD 아동의 시공간 조직화 및 기억 능력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ADHD) on the Rey-Osterrieth Complex Figure Test using Osterrieth scoring method and the Developmental Scoring System. Twenty-three children with ADHD got lower score on structural and incidental accuracy recall scores, and performed at lower levels of copy Organization than did 24 controls. ADHD group committed more total errors, especially perseveration errors on copy drawing and used more frequently Outer part/Inner configuration copy style than did normal group. Additionally, discriminant analysis demonstrated 68.1% of diagnosis precision rat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외상성 뇌손상 환자군간 K-WAIS와 Rey-Kim 기억검사 반응 비교
장은영(인하대학교) ; 유지숙(인하대학교) pp.187-20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외상성 뇌손상 환자들이 지능검사 및 기억검사 반응에서 드러내는 차이를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피험자 중 외상성 뇌손상 환자는 51명으로 DSM-Ⅳ(APA, 1994)에 의한 최종 진단이 두부외상으로 인한 달리 분류되지 않는 정신장애(Mental Disorder Not Otherwise Specified Due to Head Trauma: NOS), 뇌진탕후 장애(Postconcussional Disorder: PD), 두부외상으로 인한 기억장애(Amnestic Disorder Due to Head Trauma: AD) 및 두부외상으로 인한 치매(Dementia Due to Head Trauma: DD) 중 하나로 진단받은 사람들이었다. 이 진단군에 따라 지능검사와 기억검사의 소척도 및 총점이 달라지는지 알아보았고, 뇌손상이 확인되지 않고 적응장애(Adjustment Disorder: ADD) 진단을 받은 14명의 환자군의 검사 반응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ADD군에서는 대부분의 인지기능이 유지되었고, DD군에서는 대부분의 인지기능이 손상되었다. AD군에서는 기억능력의 문제로 인해 정보의 등록, 보유 및 인출을 반영하는 인지기능이 손상되었다. 또한 PD군과 NOS군에서는 뇌손상에 의해서 쉽게 영향을 받지 않는 소검사에서는 인지기능이 유지되는 점이 나타났으나, 일부 정보처리가 필요한 인지기능 및 일부 고등사고를 반영하는 인지기능에서 어려움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telligence and memory disturbance of patients with traumatic brain injury. The fifty-one subjects were the patients finally diagnosed to one of the following four groups by DSM-Ⅳ(APA, 1994) criteria: Mental Disorder Not Otherwise Specified Due to Head Trauma(NOS), Postconcussional Disorder(PD), Amnestic Disorder Due to Head Trauma(AD) or Dementia Due to Head Trauma(DD). Then the K-WAIS scores and Rey-Kim Memory Test scores were compared among diagnostic groups. In addition, the scores of fourteen patients diagnosed to Adjustment Disorder(ADD) were compared to those of traumatic brain injury pati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In ADD group, almost cognitive functions were maintained. And in DD group, almost all cognitive functions were impaired. In AD groups, because of memory impairment, the cognitive functions related to registration, retention and retrieval of information were impaired. In PD group and NOS group, the cognitive functions which are not affected by brain injury were maintained, but the cognitive functions which needs information processing and higher mental processing were impaired. Finally, the results were discussed and the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suggested.

정신감정이 의뢰된 범죄자들의 MMPI 프로파일 양상 예비연구
박지선(건국대학교병원) ; 이민규(경상대학교) pp.203-21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정신감정이 의뢰된 범죄자들의 MMPI 프로파일 양상을 알아보려 하였다. 언어성 지능지수가 80이상인 59명의 연구 대상으로부터 얻은 383형 MMPI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MMPI의 하위 척도를 입력변인으로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4개의 군집을 추출하였다. 그 결과 5번 척도(Mf)를 제외하고는 각 척도에서 집단 간 평균 차가 유의하였다. 군집 1(n=12)은 정상적인 양상을 보였고, 군집 2(n=11)는 자신의 증상을 과장하는 특성을 보였다. 군집 3(n=19), 군집 4(n=17)는 각각 병리적 특성이 현저하였고 주의가 요망되는 집단이었다. 각 군집별로 범죄 유형 등에 대한 세부 사항을 논하였으며 연구의 한계점과 미래 연구에 대한 제안점을 제시하였다.

Abstract

Present research aimed to investigate MMPI response characteristic of criminal offenders who are referred to perform a psychological evaluation. The 59 criminal offenders' 383 MMPI data, that verbal IQ was above 80, were used. The cluster analysis was administered with input variable of MMPI subscales, and extracted four groups. The result showed that the group mean differences in most of the scales were significant except for Mf subscale. The first group(n=12) showed relatively a normal MMPI profile patterns. The second group(n=11) tended to overstate one's trouble in validity scale of MMPI. The third group(n=19) and forth group(n=17) were paid attention because they had clearly psychopathologic symptoms in adaptation. This result was discussed not only criminal type of each cluster group in detail, but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the further research.

Functional Assessment Cancer Therapy-General(FACT-G)의 한국판 개발 및 타당화
김환(서울아산병원정신과) pp.215-22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암환자의 삶의 질을 평가하는데 유용하다고 입증된 Functional Assessment of Cancer Therapy-General(FACT-G)의 한국판을 제작하고 이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알아보았다. 한국판은 Cella(1997)의 FACT-G를 번안한 내용을 기초로 구성되었다. 번안된 FACT-G가 포함된 질문지 배터리가 349명의 암환자들에게 실시되었다. 요인분석 결과 본래의 4 하위 척도 구성과 달리 5요인이 도출되었다. 신체, 정서, 기능 영역은 개념적으로 타당함이 확인되었으나 사회/가족 영역의 문항들은 서로 다른 두 요인으로 나뉘었다. 사회/가족 영역에서 가족들의 지지를 언급한 문항과 친구/이웃의 지지를 언급한 문항들은 서로 다른 구성개념에 근거한 것으로 보였고, 이는 기존 연구들과 동일한 결과였다. 한국판 FACT-G의 내적 일치도는 .865였고, 암환자의 삶의 질을 측정하는 다른 측정도구들과의 상관도 높았으며, 암의 진행단계나 거동 수준에 따른 삶의 질의 차이를 잘 반영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한국판 FAC-G의 유용성 및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velop the Korean version of Functional Assessment of Cancer Therapy-General(FACT-G), which was designed to evaluate quality of life of cancer patients. Korean FACT-G was constructed on the ground of translations of FACT-G(Cella, 1997). To confirm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questionnaire battery including FACT-G was administered to 349 cancer patients. Factor analysis proposed 5 factor solution, which does to match original 4 subscales of the questionnaire. Although physical, emotional and functional subscale of FACT-G seemed to be constructively valid, social/family subscale items were divided on two different factors. For social/family subscale items concerning family support were loaded to different factor from items concerning friends/neighbor support, and this was exactly same replication of previous factor analysis findings. Internal consistency for this Korean FACT-G was .86, its correlation to other questionnaire of quality of life was significantly high, and the change of QOL according to cancer stage or performance status was well reflected by this scale. On the basis of this result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instrument were discussed

한국판 벤튼신경심리검사(K-BNA)에서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사병 모사 집단의 수행비교
김진아(고려대학교 의료원 구로병원 신경정신과) ; 이현수(고려대학교 의료원 구로병원 신경정신과) ; 박병관(한국 심리자문 연구소) pp.231-24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중등도 이상 뇌손상 집단, 경도 뇌손상 집단, 사병 모사 집단 및 정상 집단이 한국판 벤튼신경심리검사(K-BNA)에서 어떻게 다른 수행 양상을 보이는지 살펴보았으며, 특히, 감별 시에 주의를 요하는 경도 뇌손상 집단과 사병 모사 집단의 수행 차이에 초점을 맞추었다. 외상성 뇌손상은 의식소실정도 및 뇌영상 소견에서 병변이 드러나는 지의 여부에 따라서 중등도 이상 뇌손상과 경도 뇌손상 집단으로 나누었으며, 중등도 이상 뇌손상 집단은 37명, 경도 뇌손상 집단은 74명이었다. 사병 모사 집단은 47명의 여자대학생이었고, 정상 집단은 91명이었다. 집단 간에 연령과 교육연도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고 있어서, 공변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네 집단의 변별력을 보고자 판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네 집단이 모든 소검사에서 유의미하게 차이가 나타났으며, 전체적인 수행양상을 볼 경우, 정상 집단, 경도 뇌손상 집단, 중등도 이상 뇌손상 집단 및 사병 모사 집단의 순서로 수행저하가 나타났다. 사병 모사 집단과 경도 뇌손상 집단은 연속숫자학습을 제외한 모든 소검사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사병 모사 집단은 경도 뇌손상 집단에 비해서 유의미하게 많은 오류를 보이고 있다. 두 집단의 정확 판별률도 97.5%여서, 사병 모사 집단과 경도 뇌손상집단의 감별에 K-BNA가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

Abstract

In this study we observed differences in four subject groups: mild head injuries, moderate to severe head injuries, malingering simulated head injuries, and normal subjects, using the Korean version of Benton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 In particular we focused on performance differences between mild head injury subjects, and malingering simulated head injury subjects, which need special care when examined. The traumatic brain injury group is divided into mild head injuries, and moderate to severe head injuries, which depends on loss of consciousness and extent of lesions appearing on the brain images. The subjects of moderate to severe head injuries number 37, and the subjects of mild head injuries number 74. The subjects of malingering simulated injuries number 47 female university students, and the normal group numbers 91. Amongst the four groups, age and years of education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The statistical method used in this study is ANCOVA, and discriminant analysis. The results are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appearing in every subtest and performance of these four groups, descending in order from normal group, to mild head injuries, moderate to severe head injuries, and then to malingering simulated subjects. Malingering simulated subjects and mild head injuries offer significant differences in every subtest except serial number learning. The malingering simulated group offers a significant increase in error rate in contrast with that of mild head injury subjects. The correct rate of discriminant analysis is 97.5%. In conclusion, K-BNA can be used as a neuropsychological tool to discriminate mild head injuries from malingering simulated subjects.

한국 노인을 위해 수정된 Trail Making Test(TMT)의 규준 연구
박미선(서울대학교) ; 최진영(서울대학교) pp.247-259
초록보기
초록

TMT의 임상적 및 경제적 유용성에도 불구하고, 국내 임상 장면에서는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지 못하고 있다. 그 이유로 첫째, TMT에 대한 국내 규준 연구가 부족하고, 둘째, 저학력자나 문맹이 많은 한국 노인들에게 숫자와 글자로 이루어진 기존의 TMT를 실시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TMT를 문자 능력의 요구를 최소화하도록 수정하였고, 그 타당성을 확인했을 뿐만 아니라 수정된 TMT의 완성 시간과 오류 수에 대한 규준 자료들을 제시한데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들은 노인용 심리 검사의 필요성을 독려할 뿐만 아니라 향후 노인 연구나 임상적 평가에 유용한 지침이 되어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This study purported to develop norms for the Modified Trail Making Test(TMT) in the elderly Korean population. In order to develop valid norms, we examined the correlations of demographic variables with the test performance. We also investigated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Modified TMT. Triangles and squares were substituted for letters, to minimize the effects of literacy. Normative sample consisted of one hundred and twenty elderly volunteers whose age were between 55 and 84 living in Seoul, Kyungki-do, and Kwangju. Age and education proved to be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the response time of the Modified TMT, but not the number of errors. Gender and literacy didn't affect the performance on the Modified TMT. Correlational analyses of the Modified TMT and the subtests of K-DRS and CDST supported that Modified TMT is valid as a test for visual attention, cognitive flexibility, and general cognitive measure. Analyses on the response time and the error rates suggest that the Modified TMT-C demand more cognitive effort and is more difficult than the A and the B test. Normative data of the time and error rates, which were stratified by age and education, were presented.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necessary for further research on and clinical assessment of the aged Korean population.

한국판 Beck Anxiety Inventory의 요인구조: 정신과 환자를 대상으로 한 확인적 요인분석의 적용
한은경(조선대학교) ; 김상훈(조선대학교) ; 박상학(조선대학교) ; 조용래(조선대학교) ; 김학렬(조선대학교) pp.261-270
초록보기
초록

Beck Anxiety Inventory (BAI)의 요인구조에 관한 연구들이 지금까지 많이 나와 있으나, 요인의 개수 및 각 요인의 문항구성에 관해서는 일치된 의견을 보이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판 BAI의 요인구조를 검증하기 위하여, 203명의 정신과 환자들이 한국판 BAI에 반응한 자료에 대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적용함으로써 선행 연구들에서 보고된 여섯 가지 대안적 모형들의 적합도를 비교 평가하였다. 그 결과, 여섯 가지 기존 요인모형들의 적합도는 나쁘거나 미흡했던 반면에, 위계적 4 요인모형에서 문항구성을 일부 수정한 모형은 수집된 자료에 잘 부합되었다. 이 결과는 일차 요인에 대한 문항구성이 원판 BAI와 일부 다르기는 하였으나, 한국판 BAI가 주관적 불안, 신경생리학적 불안, 자율신경계 불안 및 공황적 불안이라는 4개의 일차 요인과 1개의 이차 요인이 위계적인 구조를 이루고 있음을 시사한다. 위계적 4 요인모형에서 일차 요인에 대한 문항구성이 원판 BAI와 약간 다른 이유를 한국인이 불안을 경험하거나 해석하는 방식과 한국판 BAI의 일부 문항에 대한 번역상의 오류가 있을 가능성의 견지에서 논의하였다.

Abstract

Despite several factor-analytic studies of the Beck Anxiety Inventory(BAI), the number of factors and the specific items composing them are not entirely consistent. This study evaluated the fit of six competing models to data provided by a sample of 203 psychiatric patients to examine the factor structure of a Korean version of the BAI us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modified hierarchical four-factor model fit the data well, whereas the other existing six models didn't. The finding suggests that the Korean BAI, like the original BAI, is hierarchically structured, with correlated first-order factors of subjective, neurophysiological, autonomic, and panic symptoms loading on a single second-order factor of general anxiety. It also indicated that they may be slightly different in the constellations of symptoms that make up the first-order factors. The reasons for the difference were discussed in terms of both the way Koreans experience or interpret anxiety and the possible errors in translation of some BAI items into Korean.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