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E-ISSN : 2733-4538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stress response of people who have experienced a disaster and to determine stress coping methods for victims in order to minimize suffering from stress resulting from the Hebei Spirit oil spill accident, which occurred in the Taean coastal area on December 7th, 2007. A total of 186 residents of Taean aged older than 20s were chosen for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interviewed by telephone three times; first in Feb 2008, second in Sep 2008, and third in Sep 2009. First, a path model was built up using older data collected, and was analyzed. Next, hierarchical regression was used to examine whether self-disclosure intervenes in the process in which suicide ideation after traumatic events lowers subjective well-being. It was found that the worse damage suffered by Taean residents, the more depression, anxiety, and hostility for the first test. It was also reported that the worse damage they suffered, the higher the score for suicide ideation for the second test. In addition the first time-point depression score decreased the second suicide ideation and the third subjective well-being. Likewise suicide ideation on the second test decreased the third subjective well-being. The level of damage had an effect on suicide ideation by depression as a mediator, and the level of damage also influenceds the subjective well-being by depression and suicide ideation as mediators. Next, three factors interaction effect of level of damage, suicide ideation, and self-disclosu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discussion, other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presented.
권석만 (2000). 우울증: 침체와 절망의 늪. 서울: 학지사.
권석만 (2009). 현대 이상심리학. 서울: 학지사.
김광일, 김재환, 원호택 (1984). 간이 정신 진단 검사 실시요강.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김교헌 (1986). 자기노출 행동이 노출대상에 대한 매력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김교헌 (1992). 친교 관계에서 자기노출의 기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1(1), 196-222.
김교헌 (2005). 분노 스트레스 상황에서 자기노출이 생리적 각성, 정서 및 경험 이해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4(1), 237-252.
김교헌, 권선중 (2007).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가 태안 주민들의 심리적 건강에 미친 영향. ECO: 환경사회학연구, 12(1), 83-107.
김교헌, 권선중 (2008).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가 주민들의 심리적 건강에 미친 영향. ECO: 환경사회학연구, 12, 83- 107.
김교헌, 권선중 (2009). 태안 주민들의 재난 후 스트레스 반응: 사고 후 2개월과 8개월 시점의 지역별 비교를 중심으로. ECO: 환경사회학연구, 13(1), 89-125.
김교헌, 김수현, 권선중 (2012).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 후 3년간의 심리적 부적응 증상 변화 추세: 피해 지역별 차이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7(4), 1045-1065.
김교헌, 전겸구 (1997). 분노, 적대감 및 스트레스가 신체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1), 79-95.
김순진, 김 환 (2000).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충격적 경험의 후유증. 서울: 학지사.
김영환, 김지혜, 오상우, 임영란, 홍상황 (2001). PAI 표준화 연구: 신뢰도와 타당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0, 311-329.
노진철 (2009). 고도 불확실성의 재난 상황에서 삶의 질 저하에 대한 인지와 소통: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 사고를 중심으로. ECO: 환경사회학연구, 13(1), 49-88.
박명실 (2005). 대학생 자살위험 집단유형의 분류, 평가 및 집단 상담치료 적용.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신영아 (2007). 대구지하철 화재 부상자들의 시간경과에 따른 정신과적 임상 특성의 변화.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오마이뉴스 (2010). http://www.ohmynews.com. 2013년 1월 26일 인출.
오현자 (2007). 가출청소년의 외상경험에 대한 자기노출이 부적 정서경험과 침입적 외상 재경험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우채영, 박아청, 정현희 (2010). 성별 및 학교 급별에 따른 청소년의 인간관계, 스트레스, 우울과 자살생각 간의 구조적 관계. 교육심리연구, 24(1), 19-38.
원호택 (2000). 이상 심리학. 서울: 법문사.
이강찬 (2003). 일반계 고등학생들의 부적응 행동, 공격성, 학교불안과 자살생각과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이은정 (2005). 신경증과 외향성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우울과 긍정적 정서의 중요성.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장미희, 김윤희 (2005). 노인의 스트레스, 우울 및 자살생각간의 관계. 정신간호학회지, 14(1), 33-42.
정동하, 정미현 (2011). 청소년 스트레스가 비행행동과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경로분석. 한국가족복지학, 16(3), 171-187.
정희진 (2008). 여성의 복합외상경험이 자기역량의 변화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조성겸 (1990). 전화조사 응답자의 표집방법으로서 CNU방법과 비례확률 표집방법의 비교연구. 언론정보연구, 27, 93-106.
한보람 (2012). 경찰 공무원의 외상성 사건과 PTSD 증상 및 우울의 관계: 직무스트레스의 조절 효과.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한덕웅, 박준호, 김교헌 (2004). 스트레스 사건에 관한 자기노출, 반복생각 및 정서경험이 신체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9(1), 99-130.
홍세희 (2000).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1), 167-177.
홍세희 (2001). 임상심리학의 이론의 경험적 검증을 위한 최신 연구방법론: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한 매개모형과 잠재평균 모형의 분석. 한국임상심리학회 워크샵 자료집.
Adixon, W. A., Rumford, K, G., Heppner, P., & Lips, B. J. (1992). Use of different sources of stress to predict hopelessness and suicide ideation in a college population.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9, 342-349.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94). 정신장애의 진단 및 통계 편람 제4판. (이근후 외 역). 한국: 하나의학사.
Brannon, L., & Freist, J. (2010). 건강 심리학. (한덕웅 외 역). 서울: 센게이지러닝코리아(주).
Calhoun, K. S., & Resnick, P. A. (1993).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D. H. Barlow (Ed.), Clinical Handbook of Psychological Disorder (pp.48-98). New York: Guilford.
Diener, E., & Lucas, R. E. (1999). Personality and subjective well-being. In D. Kahneman, E. Diener, and N. Schwarz (Eds.), Well-being: The Foundation of Hedonic Psychology. New York: Russell-Sage.
Diener, E., & Lucas, R. E. (2000). Subjective emotional well-being. In M. Lewis and J. M. Haviland (Eds.). Handbook of Emotion (pp. 325-414). New York: Guilford Press.
Goleman, D. (1995). Emotional Intelligence. New York: Bantam Books.
Klein, K., & Boals, A. (2001). Expressive writing can increase working memory capacity.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General, 130(3), 520-533.
Mcfarland, C., & Alvaro, C. (2000). The impact of motivation on temporal comparisons: Coping with traumatic events by perceiving personal growth.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9, 327-343.
Meffert, S., Metzler, T., Henn-Haase, C., McCaslin, S., Inslicht, S., Chemtob, C., et al. (2008). A Prospective study of trait anger and PTSD symptom in police. Journal of Trumatic Stress, 21(4), 410-416.
Paez, D., Velaco, C., & Gonzalez, J. L., (1999). Expressive writing and the role of alexithymia as a dispositional definition self-disclosure and psychologicla health.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7, 630-641.
Pennebaker, J. W., & Beall, S. K. (1986) Confronting a traumatic event: Towards an understanding of inhibition and disease.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95(3), 274-281.
Pennebaker, J. W. (1988). Confiding traumatic experience and health. In S. Fisher and J. Reason (Eds.), Handbook of Life Stress, Cognition and Health (pp.669-682). New York: John Wiely & Sons.
Pannebaker. J. W. (1992). Inhibition as the linchpin on health. In H. S. Friedman (Ed.), Hostility, coping, & health (pp.127-139).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Pennebaker, J. W. (1997). Writing about emotional experiences as a therapeutic process. American Psychological Society, 8, 162-166.
Salovey, P., & Mayer, J. D. (1990). Emotional intelligence. Imagination, Cognition, and Personality, 9, 185-211.
Schimmack, R., Oishi, S., Furr, R. M., & Funder, D. C. (2004). Personality and Life Satisfaction: A Facet-Level Analysi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30(8), 1062-1075.
Sieber, J. E. (1977). Anxiety, Learning, and Instruction. New York: John Wiley & Sons.
Stiles, W. B. (1987). I have no talk somebody: A fever model of disclosure. In V. J. Derlega & J. H. Berg (Eds.), Self-disclosure (pp. 257-282). New York: Plenum Press.
White, J. L. (1989). The Troubled Adolescent. New York: Pergamon Press.
Wilburn, V. R., & Smith, D. E. (2005). Stress, self-esteem, and suicidal ideation in late adolescents. Adolescence, 40, 33-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