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조현병 환자의 사회인지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개발되어 사용되어왔던 사회행동배열과제(Social Behavior Sequencing Task)의 개정판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기존의 사회행동배열과제에 대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왔던 제한점을 개선하고, 실시절차의 표준화 및 시대에 맞지 않는 문항을 새로운 문항으로 대체하고, 새로운 채점방식을 도입한 사회행동배열과제 개정판(Social Behavior Sequencing Task-Revised)은 기존과 동일하게 6문항으로 이루어져있으며, 시간변인을 채점에 포함하도록 하였다. 환자집단 30명과 일반인집단 34명에게 검사를 실시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분석하였다. 개정판의 내적 일치도는 .95로 높은 신뢰도를 보였다. 사회인지 영역을 측정하는 검사와 상관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기술과의 상관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행동배열과제 개정판으로 측정한 점수가 환자집단과 일반인 집단 사이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본 검사가 조현병 환자의 사회인지 능력을 측정하고 있으며, 이들 집단의 능력의 차이를 구분하는데 유용한 검사임을 나타내는 결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ocial Behavior Sequencing Task-Revised (SBST-R) measuring social-cognitive ability of schizophrenia. The outdated items were deleted and replaced and the scoring system was changed to improve the discrimination power of SBST. Response time was counted and the Signed Residual Time (SRT) scoring rule was implemented to increase the assessment function of SBST. SBST-R was administered to 30 schizophrenics attending the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s and 34 normal ad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ronbach alpha coefficient was .95 indicating high reliability. The result of the correlational analyse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of SBST-R with the score of the picture arrangement subset of KEDI-WISC, r=.57, p < .01, and social skill test, r=-.50, p < .01. In addition,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n of SBST-R was observed between the schizophrenia group and the normal group, t(64)=-6.68, p < .001.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Gilbert와 Allan(1998)이 개발한 패배감 척도를 번안하여 한국판 패배감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알아보고, 단일 요인 여부에 대한 논란이 있는 패배감과 속박감 척도의 요인구조를 파악하고자 수행하였다. 연구에 동의한 대학생들은 패배감 및 속박감, 관련 변인들로 구성된 질문지를 완성하였다. 연구1의 결과, 탐색적 요인분석에서 패배감은 12문항의 단일 요인으로 추출되었고(이질적 4문항 제외), 확인적 요인분석에서도 각 문항들의 요인부하량 및 적합도 지수가 양호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한국판 패배감 척도의 내적일치도 및 검사-재검사 신뢰도도 양호하였다. 또한 한국판 패배감 척도는 내적 속박감과 외적 속박감, 우울, 불안, 자살사고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여 수렴타당도가 검증되었고, 내적 속박감과 외적 속박감을 통제한 후에도 여전히 우울, 불안, 자살사고에 대해 유의한 증분 설명량을 보여 증분타당도가 검증되었다. 연구2의 평행분석 결과 패배감과 속박감 척도는 단일 요인이 아닌 다 요인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시사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Defeat Scale(K-DS) developed by Gilbert and Allan(1998), and examined defeat and entrapment may be best conceptualized as a single factor or not. University students who agreed to take part in this study completed the defeat/entrapment scale along with other psychometric measures. In study 1,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showed that single factor structure accounted for 57.89% of the variance on the K-DS including 12 item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demonstrated a satisfactory construct validity by showing good factor loadings and fit indices also showed the goodness-of-fit for a single factor model. The internal consistency, test-retest reliability, convergent validity and incremental validity were also acceptable. In study 2, based on the result of parallel analysis, defeat and entrapment may be best conceptualized as multi factors.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e current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전산화 집행 기능 재활이 조현병 환자의 인지 기능의 향상과 조현병 증상의 완화 및 삶의 질 향상에 효과적인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조현병 환자 30명이었으며, 이들을 각각 재활군(n = 15)과 통제군(n = 15)에 무선할당 하였다. 재활군은 주 3회 각 45분씩 6주에 걸쳐 총 18회의 집행 기능 재활을 받았고, 통제군은 어떠한 처치도 받지 않았다. 집행 기능의 재활에는 Bracy(1995)가 개발한 PSS CogReHab를 국내 상황에 맞게 수정하여 개발한 한국형 전산화 인지 재활 프로그램이 사용되었다. 재활 후 환자들의 인지 기능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집행 기능, 주의, 작업 기억, 비언어 기억과 언어 기억을 평가하는 신경심리검사를 재활 전과 후에 실시하였고, 이와 더불어 조현병 증상을 평가하는 양성-음성 증상 척도(The 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PANSS)와 조현병 환자의 삶의 질 척도(Schizophrenia Quality of Life Scale: SQLS)를 재활 전과 후에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재활 전 실시한 신경심리검사, PANSS 및 SQLS에서 재활군과 통제군 간의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재활 후 실시한 신경심리검사에서 재활군은 재활 전에 비해 위스콘신 카드분류 검사에서 유의하게 감소된 오반응수와 보속 오반응수와 유의하게 향상된 숫자 외우기 검사의 수행을 보인 반면 통제군에서는 이러한 수행 향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집행 기능의 재활이 조현병 환자의 집행 기능 및 작업 기억의 향상에 효과적이라는 것과 조현병의 치료에 집행 기능을 포함하는 인지 재활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executive rehabilitation on improvement of cognitive function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Thirty schizophrenia pati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wo groups, rehabilitation and control groups. Comprehensive neuropsychological tests including Wisconsin Card Sorting Test (WCST), Stroop test, Trail Making Test, Digit Span, Rey-Osterreith Complex Figure Test and Korea-California Verbal Learning Test were administered before and after rehabilitation for the two groups. In addition, schizophrenia symptoms and quality of life were measured using PANSS and SQLS, respectively. Participants in the rehabilitation group received executive rehabilitation three times a week for 6 weeks individually, whereas the control group did not receive rehabilitation. The two groups did not differ on the performances of any of the neuropsychological tests, PANSS and SQLS scores administered prior to rehabilitation training. The rehabilitation group showed significantly improved performances on the WCST (reduced total numbers of error and perseverative error) and Digit Span administered after the training. However, the control group did not show these improvement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xecutive rehabilitation is effective for improvement of executive function and working memory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본 연구는 성폭력 피해 아동을 대상으로 누적 아동기 외상과 정서조절, 외상후스트레스장애 증상간의 관계를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통하여 밝히고자 하였다. 선행 연구에 기초하여 정서조절이 누적 아동기 외상과 PTSD 증상간의 관계를 완전매개할 것으로 가정하였다. 아동성폭력 전담기관에 방문한 만 6-13세 성폭력 피해 아동 171명을 대상으로 신체학대, 가정폭력의 목격, 부모와의 외상적 분리, 방임, 현재 의뢰된 성폭력 사건 이외 가해자로부터의 성폭력 등 아동기 외상 경험 종류의 개수와 심각도, 지속기간을 평가하였다. 정서조절과 PTSD 증상은 정서조절체크리스트(ERC)와 부모용 외상증상체크리스트(TSCYC)로 부모에 의해 평가되었다.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결과, 완전매개모형이 부분매개모형보다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누적 아동기 외상과 PTSD 증상간의 관계에서 정서조절이 중요한 위험요인 및 보호요인의 역할을 한다는 점을 시사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의의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relations among cumulative childhood trauma, emotion regulation,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PTSD) symptom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literatures, the completed mediation model was proposed, in which emotion regulation fu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cumulative childhood trauma and PTSD symptoms. Data were collected on 171 children (ages 6-13 years) referred to a public counseling center for sexual abuse. Cumulative childhood trauma was defined on the basis of number of traumas(physical abuse, witnessing domestic violence, neglect, traumatic separation from parent, and sexual abuse by a perpetrator different from the one involved in the current allegation of sexual abuse), severity and duration of traumas. Emotion regulation and PTSD symptoms were evaluated by their parents using Emotion Regulation Checklist(ERC) and Traumatic Symptom Checklist for Young Children(TSCYC). SEM analyses confirmed the complete mediation model. These findings indicate the important role of emotion regulation as a risk or a protective mechanism in the link between cumulative childhood trauma and PTSD symptoms in sexually abused children.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long with future research.
본 연구는 성격조직화 척도(Inventory of Personality Organization: IPO)(Kernberg & Clarkin, 1995; Clarkin, Foelsch, & Kernberg, 2001)의 주요 3개 하위 척도(원시적 방어기제, 정체감 혼란, 현실검증력 손상)에 대한 심리측정적 속성을 검토하였다. 대학생 477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IPO와 함께, 정적 정서 및 부적 정서 척도(PANAS), 공격성 척도(AQ-K), 한국판 역학연구센터 우울 척도(CES-D), 상태-특성 불안 척도(STAI), 정서곤란 척도(DERS-K) 등의 정서 관련 척도와 대상관계와 애착의 질을 반영하는 성인애착 척도(ASS), 그리고 각 하위 척도와 관련이 있는 개념을 측정하는 세 가지 척도, 즉 방어유형 측정 척도(DSQ), 자기개념 명료성 척도(SCS) 및 자기안정성 척도(SSS), 분열형 성격장애 척도 단축형(SPQ-B)을 실시하였다. 또한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측정하기 위해 4주 간의 간격을 두고 일부 참가자에게 IPO를 재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IPO는 양호한 내적 합치도와 높은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보였다. 둘째,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IPO 주요 척도의 요인구조를 알아본 결과, 원시적 방어기제, 정체감 혼란, 현실검증력 손상의 3요인 모델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IPO와 관련 척도 간의 상관분석에서 IPO의 수렴타당도와 준거타당도를 지지하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넷째, IPO의 각 하위척도 점수를 기준으로 신경증적 성격조직화 집단, 경계선적 성격조직화 집단, 정신증적 성격조직화 집단의 심리정서적 특성을 비교한 결과, 심리정서적 특성에 있어서 유의미한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IPO는 양호한 신뢰도와 타당도를 가진 척도인 것으로 판단된다.
This report describes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primary scales of the Inventory of Personality Organization(IPO; Kernberg & Clarkin, 1995; Clarkin, Foelsch, & Kernberg, 2001), which assess Primitive Defenses, Identity Diffusion, and Impairment of Reality Testing in a nonclinical sample. Participants (N=477) completed the IPO and measures of theoretically related concep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three IPO scales displayed adequate internal consistency and good test-retest reliability. Seco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upported a three-factor structure of the IPO (i.e., Primitive Defense, Identity Diffusion, and Impairment of Reality Testing). Third, each of the three IPO scales was associated with an immature defense mechanism, lack of self-concept clarity, and schizotypy. as well as a negative affect, aggression, anxiety, depression, emotional dysregulation, and insecure attachment. Finally,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and emotional features were observed between a neurotic personality organization group, a borderline personality organization group, and a psychotic personality organization group.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IPO possesses an appreciable reliability and validity.
본 연구에서는 양극성장애, 주요우울장애, 조현병 집단의 감별시 MMPI-2-RF 척도의 진단적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모든 대상자는 구조화된 임상적 면접 도구로 진단되었으며, 총 143명(양극성장애 44명, 주요우울장애 48명, 조현병 51명)이 포함되었다. MMPI-2-RF 척도 T점수 평균은 각 진단군의 주요한 특징과 일관되게 나타났으며,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는 진단군 간 변별을 가능하게 하는 MMPI-2-RF 척도들이 확인되었다. 특히 MMPI-2-RF 상위차원 척도인 정서적/내재화 문제(EID), 사고 문제(THD), 행동적/외현화 문제(BXD) 척도는 세 집단을 변별해 주는 가장 유용한 척도로 확인되었다. 그 외에도 진단군 간 변별에 유용한 척도들을 확인하고 이러한 결과가 각 집단의 임상적 특징과 일관되는지를 논의하였다.
In the current investigation, we examined the diagnostic utility of the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2-Restructured Form(MMPI-2-RF) in a bipolar disorder, major depressive disorder, and schizophrenia sample. All participants were diagnosed using the Structured Clinical Interview for DSM-IV Axis I Disorder(SCID-I). The data set used in this study was composed of 143 patients(44 with bipolar disorder, 48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and 51 with schizophrenia). Multivariate analyses showed a pattern of T-score differences among patient groups which nearly corresponded with the prominent features of each diagnostic group. The higher-order scales(H-O) including the Emotional/Internalizing Dysfunction(EID), Thought Dysfunction(THD), and Behavioral/Externalizing Dysfunction(BXD) scales were most useful in differentiating between groups. In addition, we identified several useful scales for differential diagnosis and discussed whether these results are relevant to clinical features of each diagnostic group.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을 대상으로 연령, 교육수준, 성별과 기억기능의 관련성을 살펴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16-69세의 건강한 한국인 736명에게 언어기억검사인 Auditory Verbal Learning Test와 도형기억검사인 Complex Figure Test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에서는 인구통계학적 변인간의 혼입을 통제하기 위하여 공변량분석을 사용하였고, 기억기능의 영역과 과정에 따른 차별성을 살펴보기 위해 짝점수 분석을 시행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연령에 따른 차이는 세 변인들 중 가장 현저하였으며 연령이 높을수록 기억기능이 낮았다. 연령에 따른 기억기능 약화는 언어기억 중에서 시간지연이 긴 조건이나, 인출책략이 필요한 조건에서 더 현저하였다. 둘째, 교육수준에 따른 차이는 연령 다음으로 현저하였으며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기억기능이 높았다. 교육수준과 기억기능의 연관성은 언어기억보다는 도형기억에서 더 뚜렷하였고, 도형기억 중에서는 인출책략이 필요한 조건에서 더 뚜렷하였다. 셋째, 성별에 따른 차이는 언어기억에 한정되었으며 여성이 남성보다 우세하였다. 언어기억 중에서는 인출책략이 필요한 조건에서 여성의 우세가 더 현저하였다. 결론적으로, 한국인의 기억기능은 연령, 교육수준,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으며, 이러한 차이는 기억기능의 영역과 과정에 따라 차별화되는 부분이 있다. 본 연구의 주요 의의는 청소년 초기에서 노년 초기에 이르는 대규모의 한국인 표집에서 기억기능을 분석한 점이다. 또한 측정치별 단순 비교에 그치지 않고 여러 짝점수를 구성하여 차별성을 분석한 점도 중요한 의의가 있다.
The aim of the current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and how memory functions of Koreans are related to their age, education, and gender. To this end, we tested a large number of healthy Korean participants (N=736) aged 16-69 years using two memory scales. One was a verbal memory scale called Auditory Verbal Learning Test and the other was a visuospatial memory scale called Complex Figure Test. The obtained data were subject to multiple analyses of covariance and multiple paired-scores analyses. The results indicated three main findings. First, age accounted for the largest variance in memory scores. The effects of age on verbal memory scores were greater in the condition associated with longer delay and the condition associated with strategic retrieval. Second, education accounted for the second largest variance. The effects of education were greater in visuospatial than verbal memory domain and, within visuospatial domain, greater in the condition associated with strategic retrieval. Third, the effects of gender were restricted to verbal memory scores and indicated superiority of females over males. This gender effect was greater in the condition associated with strategic retrieval. In conclusion, memory functions of Koreans are related to their age, education and gender and these relationships differ, in part, as a function of which memory domain or process is measured. A main value of the current study lies in use of a large Korean sample that includes adolescents, adults, and older adults. Another main value lies in the construction of several paired scores and their systematic analyses.
본 연구의 목적은 과제의 시작을 미루는 착수지연과 일의 마무리를 미루는 완수지연을 측정하는 타당한 도구를 개발하고, 각 지연행동 유형과 완벽주의 및 충동성의 관련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 1에서는 학업적 착수지연과 완수지연을 측정하는 도구의 예비문항을 구성하였고, 서울 소재 대학생 151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예비척도의 요인구조를 확인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학업적 착수지연과 완수지연의 두 요인을 확인하였으며, 최종적으로 18문항을 선정하여 학업적 착수-완수지연 척도(AICPS)를 구성하였다. 연구 2에서는 대학생 296명의 자료를 분석하여 AICPS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AICPS는 높은 내적 합치도와 적절한 수준의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보였으며,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2요인 구조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Aitken의 지연행동 척도(API), 한국판 CES-D 척도(CES-D), 로젠버그 자존감 척도(RSES)와의 상관분석 결과, AICPS의 수렴타당도가 확인되었다. 연구 3에서는 완벽주의와 충동성이 학업적 착수지연 및 완수지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충동성은 학업적 착수지연을 유의미하게 설명하였으나, 완벽주의의 영향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에 반해 학업적 완수지연의 경우, 완벽주의가 충동성보다 더 큰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 그리고 후속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In the current study, a measurement that assesses academic initiation-procrastination(AIP) and completion- procrastination(ACP) was developed and the relationships among the two types of procrastination, impulsiveness, and perfectionism were explored. In study 1, a preliminary version of Academic Initiation- Completion Procrastination Scale(AICPS) was constructed. Data were collected from 151 undergraduate student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The result showed that, the scale was composed of two factors, and 18 items were selected for the final version of AICPS. In study 2, data collected from 296 undergraduate students were used for analysis of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ICPS. AICPS demonstrated an adequate level of internal consistency and test-retest reliability. Two-factor structure was confirmed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convergent validity was verified through correlation tests among AICPS, Aitken's Procrastination Scale (API), Korean version of CES-D, and Rosenberg Self Esteem Scale (RSES). In study 3, the effects of impulsiveness and perfectionism on academic procrastination were investigated.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impulsiveness explained AIP whereas perfectionism did not. On the other hand, the influence of perfectionism on ACP was greater than that of impulsiveness. The implication, limitation,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a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외상적 사건이 부정적 인지정서조절과 우울, 불안, 분노를 거쳐 자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적응적 인지정서조절이 우울, 불안, 분노와 어떤 상호작용을 통하여 자해에 영향을 미치는지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외상적 사건이 부정적 인지정서조절과 우울, 불안, 분노를 이중매개로 하여 자해에 이를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이에 더해 적응적 인지정서조절이 우울, 불안, 분노가 자해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할 것이라는 경로모형을 가정하였다. 추가적으로 다집단 분석을 통해서 본 연구에서 가정한 경로모형이 남녀 대학생집단에서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대학생 415명을 대상으로 연구 참여에 대한 동의서를 받고, 생활사건 체크리스트, 인지적 정서조절 질문지, 병원 불안-우울 척도, 상태특성 분노검사, 자해행동척도를 실시하였다. 결과, 제안된 연구 모형의 적합도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상적 사건이 부정적 인지정서조절과 우울, 불안, 분노를 이중으로 매개하여 자해에 이르는 경로가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더해 적응적 인지정서조절은 우울, 불안, 분노와 상호작용하여 자해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즉, 우울, 불안, 분노가 평균이상일 경우 적응적 인지정서조절은 자해 수준을 낮추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 가정한 모형의 경로에서 남녀 집단에 따른 차별적 양상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e present study, using university students as participants, investigated how traumatic life events affect self-harm by going through the steps of nega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depression, anxiety, and anger. The study further examined how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s interactions with depression, anxiety, and anger, respectively, influence self-harm. Based on previous studies, we hypothesized that traumatic life events would affect self-harm through a dual mediation of nega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depression, anxiety, and anger. We also hypothesized that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will moderate the effects of depression, anxiety, and anger on self-harm. This study additionally examined gender differences in the hypothetical path model using Multi-Group analysis. A total of 415 university students who signed consent form participated and completed the Life Event Checklist, th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 the Hospitalized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the State-Trait Anger Expression Scale, and the Self-Harm Inventory. The proposed research model showed a very good fit for the data. The paths of how traumatic life events lead to self-harm by dual mediating effects of negativ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and depression, anxiety, and anger were significant. In addition, adaptiv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was found to affect self-harm by interacting with depression, anxiety, and anger. In other words, when the levels of depression, anxiety, and anger were over average, adaptiv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lowered the severity of self-harm. Finally, the hypothetical model presented by the current study showed variation in different gender groups. We further discussed the significance and the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based on the findings.
본 연구에서는 양성증상이 더 많은(이하 양성형) 조현병 환자집단과 음성증상이 더 많은(이하 음성형) 환자집단의 시계 그리기 검사 수행양상을 분석하여 봄으로써 시계 그리기 검사(Clock Drawing Test; CDT)의 임상적 유용성을 확대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은 양성형 조현병 환자 20명, 음성형 조현병 환자 20명이었고, 이들에게 자유 그리기 조건, 원제시 조건, 시계바늘 그리기 조건에서 CD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양성형 조현병 환자집단과 음성형 조현병 환자집단은 CDT의 자유 그리기 조건, 원제시 조건, 시계바늘 그리기 조건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오류유형을 분석해 본 결과 음성형 조현병 환자집단은 그리기의 어려움, 개념결함, 수배열과 계획오류에서 높은 빈도의 오류를 보였다. 따라서 CDT로도 주요증상에 따른 조현병 환자들의 현실검증력의 손상 및 시공간적 구성능력의 저하, 경직성, 계획력 결여, 집행기능 약화와 같은 인지 및 사고기능의 손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CDT를 통해 조현병 환자들의 사고혼란과 인지기능의 손상을 살펴봄으로써 CDT가 정신증적 환자들의 사고특성과 인지적 결함을 선별하는데 유용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는 의미를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usefulness of the Clock Drawing Test(CDT) in schizophrenia by comparing CDT performance between positive schizophrenics and negative schizophrenics. Each group included 20 subjects evaluated using the 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PANSS). Some demographic and clinical variables including age, education, duration of illness, and medication state were controlled. Three types of CDT_(‘free-drawn’, ‘pre-drawn’ and ‘examiner’ conditions) were administered to all participants. The main result was that the difference of CDT scores between positive schizophrenics and negative schizophrenics was significant. Negative schizophrenics had significantly lower scores on the three CDT conditions than- positive schizophrenics. In the error type analysis of CDT, negative schizophrenics showed higher frequency in graphic difficulties, stimulus-bound response, conceptual deficit, and spatial and planning error than positive schizophrenics. Qualitative analysis of performance in negative schizophrenics showed specific errors relating to frontal processes: difficulty in placing numbers in the correct position, failure to indicate the minute targets, displacement of the minute hand from the minute number, and failure to draw a longer minute. The fact that the CDT is sensitive enough to detect the cognitive impairment of schizophrenia makes this test useful in assessing cognitive state in schizophrenia.
본 연구에서는 실험과제에 대한 행동적 반응으로 고통 감내력을 측정하고, 이러한 고통 감내력이 자기보고로 측정한 고통 감내력과 유의미한 상관을 가지는지, 우울이나 불안 수준이 높을수록 행동적 반응으로 측정한 고통 감내력이 낮은지 살펴보았다. 연구 1에서는 대학생 88명에게 자기보고식 측정도구인 고통 감내력 척도, 우울 척도, 불안 척도와 행동적 고통 감내력 측정과제인 Distress Tolerance Test (DTT)를 실시하였다. 하지만 연구 1의 결과, 경도의 불안 집단이 정상 수준인 집단에 비해 DTT 지속시간이 더 길었으며, 고통 감내력 척도의 총점과 DTT의 행동적 고통 감내력 측정치 간에 상관이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DTT 측정치가 고통 감내력을 타당하게 반영하지 못하였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연구 2에서 고통을 견디는 것의 개인적 가치를 변인으로 추가하여 DTT를 수정하고, 대학생 102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DTT에서 유발된 부적 정서와 개인적 가치를 통제하였을 때 자기보고로 측정한 고통 감내력이 낮을수록 DTT 지속시간이 더 짧은 경향성이 있었다. 또한 DTT에서 유발된 부적 정서와 개인적 가치를 통제하였을 때 우울 수준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DTT 지속시간이 더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추후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eported distress tolerance and behavioral distress tolerance in addi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behavioral distress tolerance and depression or anxiety. For this, two studies were completed. In the first study, 88 university students completed Distress Tolerance Scale (DTS), Center for Epidemiologic Scale-Depression (CES-D), Beck Anxiety Inventory (BAI) and Distress Tolerance Test (DTT).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elf-reported distress tolerance and DTT task persistence. In addi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TT task persistence between high depression group and low depression group. Mild anxiety group persisted in DTT longer than normal group when controlling for negative affect. These results suggest that persistence in DTT does not reflect behavioral distress tolerance and the contextual variable such as personal importance of DTT can affect the persistence in the test. Therefore, DTT was modified to include the personal value of the test. In the second study, 102 university students completed DTS, CES-D, BAI and modified DTT. There was a tendency for self-reported distress tolerance to show correlation with behavioral distress tolerance when controlling for negative affect and value. And, low depression group persisted in DTT longer than high depression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TT persistence between high anxiety group and low anxiety group. Based on the overall findings, the meaning and clinical implications of the current study were discussed.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본 연구는 2007년 12월 7일 태안군 앞 바다에서 발생한 유조선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의 피해자들이 경험한 스트레스 반응을 시간의 흐름을 바탕으로 살펴보고, 재난 피해자들의 스트레스 반응을 최소화할 수 있는 대처 방법을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1차(2008년 2월), 2차(2008년 9월), 3차(2009년 9월) 시점 조사에 모두 참여한 충청남도 태안군에 거주하는 20대 이상의 성인 186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전화를 통한 면접방식으로 조사가 진행되었다. 우선, 각 시점의 측정치들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경로를 설정하고 분석하였고, 다음으로 외상 사건으로 인한 자살사고가 이 후의 주관적 안녕 저하에 영향을 미치는데 자기노출이 중재할 수 있는지를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그 결과, 태안주민들은 사고피해정도가 클수록 1차 시점의 우울, 불안, 적대감과 2차 시점의 자살사고를 더 높게 보고하였고, 1차 시점의 우울은 2차 시점의 자살사고와 3차 시점의 주관적 안녕 저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차 시점의 자살사고는 3차 시점의 주관적 안녕을 저하시켰다. 또한 사고피해정도는 우울을 매개로 하여 자살사고에 영향을 미쳤으며, 사고피해정도는 우울과 자살사고를 매개로 하여 주관적 안녕 저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사고피해정도, 자살사고 및 자기노출의 삼원상호작용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stress response of people who have experienced a disaster and to determine stress coping methods for victims in order to minimize suffering from stress resulting from the Hebei Spirit oil spill accident, which occurred in the Taean coastal area on December 7th, 2007. A total of 186 residents of Taean aged older than 20s were chosen for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interviewed by telephone three times; first in Feb 2008, second in Sep 2008, and third in Sep 2009. First, a path model was built up using older data collected, and was analyzed. Next, hierarchical regression was used to examine whether self-disclosure intervenes in the process in which suicide ideation after traumatic events lowers subjective well-being. It was found that the worse damage suffered by Taean residents, the more depression, anxiety, and hostility for the first test. It was also reported that the worse damage they suffered, the higher the score for suicide ideation for the second test. In addition the first time-point depression score decreased the second suicide ideation and the third subjective well-being. Likewise suicide ideation on the second test decreased the third subjective well-being. The level of damage had an effect on suicide ideation by depression as a mediator, and the level of damage also influenceds the subjective well-being by depression and suicide ideation as mediators. Next, three factors interaction effect of level of damage, suicide ideation, and self-disclosu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discussion, other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presented.
검사점수의 정규성이 가정될 수 없는 심리검사의 규준은 평균과 표준편차보다는 특정 분위수로 추정된다. 또한 검사점수의 규준은 검사가 측정하는 속성이 관련 변인과 일정한 함수적 관계를 갖는다고 가정될 수 있는 경우 통계적 모형을 이용하여 추정될 수 있다. 본 연구는 검사점수의 정규성이 가정되지 않지만 검사가 측정하는 속성이 관련 변인과 함수적 관계를 갖는다고 가정될 수 있는 경우, 분위수 회귀모형을 이용해 검사점수의 분위수 규준을 추정하는 절차를 소개하였다. 분위수 회귀모형에 대한 기본적 개념을 설명하고 이것이 검사 규준을 추정하는데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예시하였다. 정상 장/노년 1060명을 대상으로 실시된 12점 만점의 계산능력 검사 점수에 대해 연령과 교육 수준에 따라 구분된 하위 집단의 제5, 제10. 제25 백분위수를 분위수 회귀모형을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모형에 의해 추정된 분위수들은 각 하위 집단별로 계산된 표본 분위수와는 달리 연령과 교육수준에 따른 계산능력의 차이에 대한 이론적 모형과 부합하는 규준을 제공하였다.
Norms of not normally distributed psychological tests could be better estimated by quantiles instead of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Psychological test norms can also be estimated using statistical models when the measured attribute has a functional relation with related covariates. The current study introduced a normative-quantile-estimation procedure using the quantile regression model when a test score is not expected to have normal distribution but assumed to have a functional relation with related covariates. The idea of the quantile regression model was briefly explained and its application to estimation of a test norm was illustrated. The 5th, 10th, and 25th percentiles of the calculation ability test scores with range of 0-12 were regressed on age and education by the quantile regression model using a normative sample of 1060 normal elderly. The estimated quantiles provided a norm that supports a theoretical model of the relations between calculation ability and the covariates of age and education.
본 연구에서는 자살의 대인관계-심리학적 이론을 기반으로 자살 위험성을 평가하고자 개발된 대인관계 욕구 질문지(Interpersonal Needs Questionnaire: INQ)를 번안하여, 한국판 K-INQ의 요인구조를 확인하였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알아보았으며, 척도의 임상적 유용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요인분석을 위해 복지관에서 모집된 일반 노인 집단 130명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 분석을 실시하여 원안과 같은 2요인 구조를 확인하였으며 각 요인은 짐이 되는 느낌(Perceived Burdensomeness)과 좌절된 소속감(Thwarted Belongingness)에 해당하였다. 또한 K-INQ는 높은 신뢰도를 보였으며, 자살생각 및 자살 위험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자아 존중감 및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유의한 부적 상관, 우울감, 외로움 및 절망감과는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각 하위요인 또한 자살생각 및 자살 위험성과 관련된 것으로 알려진 여러 요인들과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K-INQ는 우울증으로 정신건강의학과 진료를 받고 있는 노인 집단에서의 점수가 정신건강의학과를 방문한 적 없는 일반 노인 집단의 점수와의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으며 이는 각 하위요인도 마찬가지였다. 그러나 자살 생각 유무에 따른 집단 차이를 비교했을 때, 자살 생각이 있는 집단의 노인이 그렇지 않은 집단의 노인보다 높은 점수를 보여, 자살 생각 및 위험성을 적절하게 평가할 수 있었다. ROC 곡선을 통해 알아본 결과 K-INQ의 AUC는 .81로 나타났으며 절단점 36.5점보다 클 때 민감도와 특이도의 합이 최대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Interpersonal Needs Questionnaire(INQ) was developed for evaluating suicidal risk in the perspective derived from Interpersonal Theory of suicide.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translate the INQ in korean, to examin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korean version of INQ (K-INQ), and to investigate clinical efficacy of the K-INQ using older adults samples of psychiatric patients (n=25) and healthy controls from senior welfare center (n=130). Results of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f the healthy older adults showed a two-factor structure: perceived burdensomeness and thwarted belongingness. The total scores of the K-INQ indicat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uicidal idea as well as with other risk factors of suicide including depression, hopelessness, low self-esteem, loneliness, and low social support. No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psychiatric sample and the healthy sample in the total scores of the K-INQ and the sub-scale scores of perceived burdensomness. However,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ose scores were indicated between the group with and without suicidal idea. ROC analysis was also performed to examine clinical efficacy. Implication and limitations are further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현실과 인터넷게임에서의 자기효능감, 인터넷게임 이용동기, 자기조절이 인터넷게임 몰입과 병리적 인터넷게임 사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인터넷게임 몰입과 병리적 인터넷게임 사용 간의 차이와 관계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실제로 인터넷게임을 사용하는 B지역의 대학생 184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고, 단계적 중다회귀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인터넷게임몰입과 병리적 인터넷게임사용 모두 인터넷게임 이용동기와 평균사용시간, 인터넷게임 자기효능감과 현실자기효능감이 공통된 예측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인터넷게임 몰입에서와 달리 병리적 인터넷게임사용에서는 자기조절이 예측변인으로 포함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경로분석 결과, 현실 및 인터넷게임 자기효능감은 자기조절을 매개로 병리적 인터넷게임사용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인터넷게임몰입과 인터넷게임 이용동기가 병리적 인터넷게임사용에 미치는 경로를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 그리고 후속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how self-efficacy in internet-game and reality and use motivation affect internet-game use. In addition, we examined to self-regulation meditate in flow experience and pathological use of internet-game. To achieve this goal, we collected internet-game use questionnaires from 184 adults internet-game user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athological internet-game use and flow experience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self-efficacy in reality, self-regulation, but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internet-game use motivation and self-efficacy in internet-game. And pathological internet-game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flow experience of internet-game. Seco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use motivation, average use time and self-efficacy in internet-game and reality are able to screen flow experience of internet-game. In pathological internet-game use, use motivation, average use time, self-efficacy in internet-game and reality and self-regulation were extracted. Finally, path analysis indicated relationship among self-efficacy in internet-game and reality, use motivation, self-regulation, flow experience and pathological use of internet-game. Therefore, pathological internet-game use would partly mediate by self-regulation. Implication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