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013-0799
  • E-ISSN2586-2073
  • KCI

KCI Impact Factor

1.30 KCI Impact Factor(2023)

2002 - 2024논문 발행년도

방문자 수

조회수

다운로드 수

전체 논문 목록
browse articles 바로가기

최신 논문

41권 4호

14개 논문이 있습니다.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에서는 광역대표도서관의 지역자료 장서개발이 인구감소와 지방소멸 시대에 지역 정체성 유지와 지역문화의 후대 전승을 위한 기반이 될 수 있도록 정책적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지역자료 장서개발 관련 법제적 고찰, 지역자료의 장서개발 현황 및 광역대표도서관 담당자 인식조사를 실시하였다. 정책적 방안으로는 지역자료의 장서개발을 위한 법적 근거 강화 및 납본 제도 개선, Open Access(OA) 리포지터리 구축을 통한 지역자료의 디지털 아카이빙 및 온라인 접근성 강화, 지역자료의 범위와 유형의 다양성 확대, 지역자료 장서개발 및 서비스를 위한 전문가 배치, 지역자료 수집 확대를 위한 지역사회와의 협력체계 구축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광역대표도서관은 지역 고유의 역사와 문화를 보존하고 후대에 전승할 수 있도록 돕고, 지역사회에 공공서비스를 강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is study presents policy measures for the collection development of local collections within metropolitan representative libraries to establish a foundation for sustaining regional identity and transmitting local culture to future generations amid declining populations and the potential dissolution of regional communities. To this end, a legal review of collection development for regional materials, an examination of the current status of collection development for regional materials, and a survey of perceptions among officials at metropolitan representative libraries were conducted. The proposed policy measures include reinforcing the legal framework for collection development of local collections and refining the deposit system, establishing an open access (OA) repository to strengthen digital archiving and online accessibility for local collections, broadening the scope and diversity of local collection types, appointing specialists to support collection development and services related to local collections, and creating a cooperative framework with local communities to enhance the acquisition of local collections. By implementing these measures, metropolitan representative libraries can play a pivotal role in preserving and passing down the distinct history and culture of their regions to future generations, while also enhancing public services for the local community.

박현지(전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박사과정) ; 박주현(전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pp.23-45 https://doi.org/10.3743/KOSIM.2024.41.4.023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에서는 매슬로우의 욕구 이론에 근거하여 대학도서관 공간을 구성하고, 대학생의 도서관 이용경험을 살펴보았다. 매슬로우 욕구단계별 대학도서관 공간 항목틀을 개발하여 대학생 18명에게 반구조화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대학생의 도서관 이용 경험에 대해 분석하였다. 공간 항목틀로 (1) 생리적 욕구공간에는 공용시설인 화장실/식음공간, (2) 안전의 욕구공간에는 공용시설인 홀/엘리베이터/계단/사물함 등, (3) 소속과 애정의 욕구공간에는 스터디활동과 교육을 위한 공간, (4) 자기존중의 욕구공간에는 자료열람실, 멀티미디어 공간, 열람실 등 (5) 자아실현의 욕구공간에는 창작활동을 위한 공간, 전시공간으로 구성하였다. 분석 결과, 욕구단계별 대학도서관 공간에 대해 주로 불만 혹은 요구사항이 언급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단계별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is based on Maslow’s hierarchy of needs theory to structure university library spaces, and aims to explore undergraduate student’s library usage experiences. A framework for university library spaces was developed using Maslow’s hierarchy of needs, followed by a semi-structured survey of 18 undergraduate students to analyze their library usage experiences. The framework was organized library spaces based on Maslow’s hierarchy: (1) restrooms and dining areas for physiological needs, (2) lobbies, ELEV, staircases, and lockers for safety needs, (3) study and educational spaces for belonging needs, (4) reading rooms, multimedia areas, and study rooms for esteem needs, and (5) creative and exhibition spaces for self-actualization. As a result, it revealed frequent dissatisfaction and requests regarding library spaces based on a hierarchy of needs, leading to propose a step by step potential improvements.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의 학제간연구 분야 학술지들을 대상으로 다학문성과 학제성을 측정하고, 이들과 학술지 인용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74종의 학술지를 대상으로 참고문헌과 인용문헌의 분야 다양성을 엔트로피로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KCI 학제간연구 분야 학술지들은 일반 분야에 비해 다학문성이 높게 나타났으나, 학제성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학술지의 다학문성과 학제성 사이에는 약한 상관관계가 존재하였으나, 다학문성 상위 학술지들과 학제성 상위 학술지들은 서로 일치하지 않았다. 셋째, 학술지의 다학문성은 인용영향력과 무관한 반면, 학제성은 인용영향력과 강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다학문성과 학제성은 모두 다학문적 영향력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학제적 영향력과는 학제성만이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다섯째, 다학문적 영향력과 학제적 영향력 사이에는 역U자형 관계가 관찰되어서 지나친 다학문성은 오히려 바람직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학제성이 여러 학문분야를 단순히 병치한 다학문성과는 구별되는 개념임을 시사하며, 학술지의 인용영향력 향상을 위해서는 다양한 분야를 단순히 포괄하는 것보다 실질적인 학제적 융합이 중요함을 보여준다.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measure the multidisciplinarity and interdisciplinarity of journals in the Interdisciplinary Research category of the Korea Citation Index (KCI) and analyze their relationships with journal citations. By analyzing 74 journals and using entropy to measure the diversity of referenced and citing fields, several key findings were observed. First, journals in the KCI Interdisciplinary Research category exhibited higher multidisciplinarity compared to general fields, bu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erdisciplinarity. Second, there was a weak correlation between a journal’s multidisciplinarity and interdisciplinarity, and top-ranked journals in these areas did not overlap. Third, a journal’s multidisciplinarity was not related to its citation impact, while interdisciplinarity showed a strong correlation with citation impact. Fourth, both multidisciplinarity and interdisciplinarity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multidisciplinary impact, but only interdisciplinarity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interdisciplinary impact. Finally, an inverted U-shaped relationship was observed between multidisciplinary impact and interdisciplinary impact, suggesting that excessive multidisciplinarity may be undesirable.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interdisciplinarity is distinct from merely the juxtaposition of multiple disciplines (multidisciplinarity). They also indicated that substantive interdisciplinary integration, rather than just encompassing diverse fields, is important for enhancing a journal’s citation impact.

이용민(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박사) ; 이지연(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pp.71-99 https://doi.org/10.3743/KOSIM.2024.41.4.071
초록보기
초록

정보탐색의 수행은 정보 필요성 인식, 적절한 정보원 선택 및 평가를 포함하는 다양한 인지 활동으로 이루어진다. 이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과제 수행 과정에서 나타나는 정보탐색의 어려움이 인지적 장벽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인지적 장벽은 인간의 인지적 판단 과정에서 정보 접근을 방해하거나 지연시키는 장애물로 정의된다. 대학생이 경험하는 주요 인지적 장벽의 유형과 영향 요인을 탐색하기 위해 문헌 연구, 심층 인터뷰와 개인 검색 과정 영상 데이터를 포함한 데이터 수집과 내용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도출된 주요 인지적 장벽은 무지, 부족한 검색 기술, 유용성 무인지, 그리고 주제 지식 부족 등으로 나타났다. Dervin의 의미형성접근법을 활용하여 이러한 인지적 장벽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도서관 디지털 자료와 인터넷 자료의 연계성을 이해하고 유용성을 인식하도록 지원할 필요성을 강조한다. 아울러, 정보탐색 역량의 격차를 고려한 정보 리터러시 교육을 마련할 것과 이를 대학 이전 정규 교육과정에 포함할 것을 제안한다.

Abstract

Completing an information search task involves various cognitive activities, from recognizing the need for information to selecting and evaluating it. This study aims to explore and comprehensively analyze the difficulties university students encounter while performing information searches for academic tasks to determine whether these difficulties are related to cognitive barriers. In this context, ‘university students’ information search’ refers to searches conducted for assignments or research tasks rather than everyday information needs. A cognitive barrier is defined as an obstacle in the human cognitive process that prevents or delays access to information. Through literature review, in-depth interviews, data collection including scripts and videos, and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we explored the types and influencing factors of major cognitive barriers experienced by university students. The main cognitive barriers identified were lack of knowledge, insufficient search skills, insufficient awareness of information usability, and lack of subject knowledge. Dervin’s Sense-Making Approach was employed to analyze the factors that contribute to these cognitive barriers and present our findings. The study highlights the necessity of supporting university students in understanding the interconnectedness and usefulness of library digital resources and internet materials. Furthermore, it also suggests the need to develop information literacy strategies that recognise the gaps in information search skills and include them in the pre-university curriculum.

오경한(전북대학교 인문대학 기록관리학과 박사과정) ; 김건(전북대학교 기록관리학과 / 문화융복합아카이빙연구소) pp.101-122 https://doi.org/10.3743/KOSIM.2024.41.4.10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국내 대학교 외국인 전임교원의 정착 단계별 정보요구와 정보추구 행위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은 8명의 외국인 전임교원을 대상으로 결정적 사건기법(CIT)을 활용한 반구조화 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자는 면접을 통해 출국 전, 초기 정착 단계, 현재의 세 단계로 나누어 각 단계에서 중요하거나 어려웠던 사건을 중심으로 정보요구와 정보원 활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참가자의 정보요구는 출국 전에는 한국 문화, 직장, 일상 등의 일반적인 정보요구가 있었으나, 정착 단계를 거쳐 현재에는 개인의 관심사에 따른 구체적이고 개인적인 정보요구로 변화하였다. 둘째, 참가자에게 외국인 친구․동료가 중요한 정보원이었으나, 자녀 교육, 연구 신청과 같은 특정 사안에 대해서는 한국인의 경험이 필요했으며, 외국인 네트워크 유무에 따라 정착 기간에 차이가 있었다. 셋째, 언어 장벽, 웹사이트 문제, 직장 문화 등이 정보탐색의 장애요소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외국인 교원의 정보요구와 정보추구 행위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이들을 위한 정보서비스 개선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nformation needs and information-seeking behavior of foreign faculty members at Korean universities across different settlement stages. The research employed semi-structured interviews using the Critical Incident Technique(CIT) with eight foreign faculty members. Through interviews, the researcher examined information needs and information source utilization by dividing the settlement process into three stages: pre-departure, initial settlement, and current stage focusing on significant or challenging incidents at each stage. The findings revealed three key points. First, participants’ information needs evolved from general information about Korean culture, workplace, and daily life during pre-departure to more specific and personal needs based on individual interests in the current stage. Second, while foreign friends and colleagues served as crucial information sources, Korean experiences were necessary for specific matters such as children’s education and research grant applications. The presence of foreign networks also influenced the length of settlement periods. Third, language barriers, website accessibility issues, and workplace culture emerged as major obstacles in information seeking.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provides an in-depth analysis of foreign faculty members’ information needs and information-seeking behavior, suggesting improvements for information services dedicated to this group.

김수경(창원문성대학교 문헌정보과) ; 박세당(난독과 문해력 연구소) ; 제갈선희(대구광역시립북부도서관) ; 이운우(창원문성대학교 문헌정보과) ; 박세호(난독과 문해력 연구소) pp.123-150 https://doi.org/10.3743/KOSIM.2024.41.4.123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문해력 저하 특성을 보이는 초등학생 4~6학년을 대상으로 실험군(수퍼북반)과 대조군(종이책반)으로 나누어 어휘력과 유창성 증진에 대한 효과성을 비교하고, 이를 토대로 도서관 기반 문해력 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대구 소재 B공공도서관에서 40명의 초등학생을 모집하여 시선추적기반 읽기테스트와 어휘력테스트를 실시하여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나누어 20시간 독서지도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완독횟수에 있어 수퍼북반은 평균 6회, 종이책반은 평균 1회로 수퍼북반 완독율이 높았다. 2) 시선추적 사전/사후 검사 비교결과, 수퍼북반이 종이책반에 비해 유창성, 정독성 개선이 더 많이 이루어졌다. 3) 어휘력테스트 사전/사후 비교결과, 수퍼북반이 종이책반에 비해 어휘력 점수가 더 많이 상승되었다. 4) 읽기태도 사전/사후 비교 결과, 종이책반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수퍼북반은 ‘효능감’과 ‘불안’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effectiveness of improving vocabulary and fluency by dividing it into an experimental group (Superbook class) and a control group (paper book) for 4th to 6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show poor literacy characteristic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library-based literacy promotion programs based on this. For this purpose, 40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recruited from Public Library B in Daegu, and an eye-tracking-based reading test and vocabulary test were conducted. They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and a 20-hour reading instruction program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In terms of the number of times the Superbook class was read to completion, the average was six times, while the paper book class was read to completion once on average, showing that the Superbook class had a higher rate of reading completion. 2)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of eye tracking-based reading test pre/post tests, the Superbookboard improved fluency and readability more than the paperboard. 3) As a result of the pre/post comparison of the vocabulary test, the Superbook increased the vocabulary score more than the paper bookshelf. 4) As a result of pre/post comparison of reading attitude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aperboards, bu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efficacy’ and ‘anxiety’ factors in Superbook boards.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휘발성 소셜미디어인 인스타그램 스토리에서 나타나는 Z세대의 정보 공유 행태와 그 특성을 탐색적으로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Z세대에 속하는 1996년부터 2004년생 13명을 대상으로 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하고, 근거이론을 통해 면담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Z세대는 영구적 게시물에 대한 부담감을 피하기 위해 일시적이고 암시적인 방식으로 정보를 공유하며 이를 곧 퍼스널 브랜딩 및 타인과의 소통 수단으로 활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들은 주로 일상적이고 긍정적인 이미지를 강조하며 구체적이고 적확한 감정 표현을 최소화하였고, 특히 Z세대 내에서도 비교적 어린 연령대는 ‘친한 친구’ 공개 기능과 비공개 계정을 통해 정보 공유를 다층적으로 관리하였다. 이 연구는 휘발성 소셜미디어에서의 정보 공유 특성에 대한 초기 연구로서, Z세대의 소셜미디어 정보 공유 행태 및 디지털 자아 관리 방식에 대한 학문적 이해를 증진하며, 연구 결과는 Z세대의 정보 공유 특성을 고려한 소셜미디어 서비스의 차별화된 전략 개발에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ploratively analyze the information sharing behaviors and characteristics of Generation Z on ephemeral social media, specifically Instagram Stories. Thirteen participants born between 1996 and 2004, representing Generation Z, were interviewed in-depth,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grounded theory. The results revealed that Generation Z tends to share information in a temporary and implicit manner to avoid the pressure associated with permanent posts, utilizing this as a means of personal branding and social interaction. They primarily emphasized everyday and positive images, minimizing explicit and precise emotional expression. Notably, younger individuals within Generation Z employed layered information sharing management through features like “close friends” lists and private accounts. This study, as an initial exploration of information sharing characteristics on ephemeral social media, contributes to a deeper academic understanding of Generation Z’s social media information sharing behaviors and digital self-management strategies. The findings can also inform the development of differentiated strategies for social media services that consider the unique information sharing characteristics of Generation Z.

금효진(전북대학교 기록관리학과 석사과정) ; 양동민(전북대학교 기록관리학과 / 문화융복합아카이빙연구소) pp.179-207 https://doi.org/10.3743/KOSIM.2024.41.4.179
초록보기
초록

연구개발 패러다임이 데이터 기반의 과학으로 변화하며 연구데이터의 공유 및 관리 절차의 중요성이 주목받고 있다. 특히 공적자금을 투입한 연구데이터의 경우 행정기관의 직무상 취득된 자료이기 때문에 행정정보 데이터세트로서 기록관리의 중요한 대상이다. 연구데이터는 그 특성상 기존의 기록생애주기 개념을 적용하기 어려우며, 현행 행정정보 데이터세트 기록관리방안(관리기준표)은 이러한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여 연구데이터 관리와 보존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연구데이터 특성을 반영하고, 향후 연구데이터의 활용까지 고려한 기록관리 메타데이터 요소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NAK8, NAK35, ISAD(G), PREMIS, DCAT, DataCite 등의 표준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연구데이터 기록관리를 보다 효과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을 기대한다.

Abstract

As the R&D paradigm shifts to data-driven science, the importance of research data sharing and management procedures is gaining attention. In particular, research data funded by public funds is an important subject of record management as an administrative information dataset because it is acquired in the course of the duties of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Due to the nature of research data, it is difficult to apply the existing concept of record lifecycle, and the current administrative information dataset record management plan does not fully reflect these characteristics, which makes it difficult to manage and preserve research data.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pose record management metadata elements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research data and consider the future utilization of research data. For this purpose, NAK8, NAK35, ISAD(G), and PREMIS data models were utilized. This study is expected to lay the foundation for more effective management of research data records.

이성숙(충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이지원(대구가톨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pp.209-234 https://doi.org/10.3743/KOSIM.2024.41.4.20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지속적인 변화와 개선이 필요한 문헌정보학 교육에 관한 연구들의 최근 동향과 지적구조를 2002년 이후 2023년까지 22년간의 논문을 대상으로 정량적 방법, 네트워크 분석, 내용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수행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문헌정보학 교육의 논문 수는 총 169편의 논문이며, 연 평균 논문수는 7.7편이고, 가장 많은 논문을 게재한 학술지는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였다. 둘째, 저자 키워드 분석 결과 상위빈도 키워드는 ‘교과과정’, ‘계속교육’, ‘교육과정’, ‘문헌정보학’, ‘문헌정보학교육’, ‘사서’, ‘사서교사’, ‘학교도서관’, ‘교과목’, ‘주제전문사서’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주제는 4개의 대군집(대학 정규과정 군집, 계속교육 군집, 기록관리직 양성 군집, 사서교사 양성 군집)과 16개의 소군집을 형성하였다. 넷째, 성장지수와 표준 성과지수 분석 결과, 문헌정보학의 전반적인 교과과정에 관한 연구가 전 기간에 걸쳐 가장 많이 출현하였고, 3개의 소군집(교과과정 군집, 계속교육 군집, 교육과정 군집)이 약한 성장세를 나타냈다. 다섯째, 삼각매개중심성이 높은 연구주제는 ‘교과과정’, ‘문헌정보학’, ‘사서’, ‘문헌정보학교육’, ‘정보전문가’ 등이며, 다른 주제들과의 관련성이 평균적으로 높은 연구주제는 ‘교과과정’, ‘문헌정보학’, ‘사서’, ‘교육과정’, ‘기록관리학’ 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향후 국내 대학의 교육기관 및 계속교육 기관에서의 문헌정보학 교육의 방향성을 고민하고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recent trends and intellectual structure of research o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education, which needs continuous change and improvement, using quantitative, network analysis, and content analysis methods on articles published over a 22 years from 2002 to 2023. The main finding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articles on LIS education in Korea totaled 169 articles, with an average of 7.7 articles per year, and the journal that published the most articles was the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Second, the author keyword analysis showed that the most frequent keywords were ‘curriculum’, ‘continuing education’, ‘education course’, ‘LIS’, ‘LIS education’, ‘librarian’, ‘librarian teacher’, ‘school library’, ‘course’, and ‘subject librarian’. Third, the research topics formed four large clusters(Higher education cluster, Continuing education cluster, Archivist training cluster, Teacher librarians training cluster) and 16 small clusters. Fourth, the analysis of the growth index and the standard performance index showed that research on the general curriculum of LIS was the most common throughout the period, and three small clusters(curriculum cluster, continuing education cluster, education course cluster) showed a growth trend, but these clusters also showed weak growth. Fifth, the research topics with high triangle betweenness centrality are ‘curriculum’, ‘LIS’, ‘librarian’, ‘LIS education’, and ‘information professionals’, and the research topics with high average relevance to other topics are ‘curriculum’, ‘LIS’, ‘librarian’, ‘education course’, and ‘records managemen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can be used as a basis for considering the direction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education in Korean universities and continuing education institutions in the future.

김누리(전북대학교 기록관리학과 석사과정) ; 김송(전북대학교 기록관리학과 석사과정) ; 이정은(전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양동민(전북대학교 기록관리학과 / 문화융복합아카이빙연구소) pp.235-261 https://doi.org/10.3743/KOSIM.2024.41.4.23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종이기록물의 디지털화 과정에서 기록의 4대 속성인 진본성, 무결성, 신뢰성, 이용가능성을 보장하기 위한 필수보존속성 도입을 제안한 연구이다. 공공기관에서 추진하는 기록물 디지털화 사업은 기록물의 외관과 내용을 재현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주로 스캔이라는 작업을 통해 만들어지는 기록물은 생산 시점부터 디지털로 만들어지는 전자기록과는 다른 특징을 지니므로 외관과 내용 외에도 보존되어야 하는 필수보존속성이 추가적으로 필요하다. 현행 「전자기록물 보존포맷 선정기준(v1.0)」은 디지털 형태로 생산된 기록물을 대상으로 하고 있어, 비전자기록물이 디지털화된 기록물에는 적용하기 어렵다. 한편, 국내 입양기관에 산재되어 있는 대량의 입양기록물은 2025년 「국내입양에 관한 특별법」 시행 이후 아동권리보장원으로 인수되어야 한다. 인수 과정에서 입양기록물의 활용 및 보존을 위해 디지털화가 예상되는바, 이에 외관과 내용은 물론 구조, 맥락, 기능 등의 필수보존속성을 보존하는 입양기록물 디지털화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필수보존속성을 도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보존기간이 영구인 종이기록물 중 입양기록물을 대상으로, 디지털화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보존해야 할 속성을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디지털화 방향성을 제시함으로써 장기보존 전략 수립에 기여하고자 한다.

Abstract

This study proposes the introduction of significant properties to ensure the four major attributes of records: authenticity, integrity, reliability, and usability during the digitization process of paper records. Records digitization projects promoted by public institutions focus on reproducing the appearance and content of records. Records created mainly through scanning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electronic records created digitally from the time of production, so they require additional significant properties that must be preserved in addition to appearance and content. The current 「Selection Criteria for Preservation Format of Digital Records (v1.0)」 targets records created in electronic form, making it difficult to apply to records that are digitized from analogue records. With the enforcement of the 「Special Act on Domestic Adoption」 in 2025, a large number of adoption records scattered across domestic adoption agencies will have to be acquired by the National Center for the Rights of the Child. In the acquisition process, adoption records are expected to be digitized for utilization and preservation, so adoption record digitization that preserves significant properties such as appearance, content, structure, context, and function is necessary.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a long-term preservation strategy by deriving the attributes that are essential to be preserved during the digitization process for the adoption records among paper records with a permanent retention period and suggesting a direction for digitization based on these.

윤명희(연세대학교 대학도서관발전연구소) ; 김혜영(청주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이지연(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pp.263-294 https://doi.org/10.3743/KOSIM.2024.41.4.26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2021년 도서관법 개정을 계기로 광역대표도서관의 역할과 운영체계를 정립하고자 수행되었다. 관련 법령과 자치법규를 검토하고, 전국 17개 시․도 및 광역대표도서관 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광역대표도서관의 가장 중요한 역할에 대해서는 광역단위 도서관 정책 수립․시행의 역할이라고 인식하였고, 가장 큰 성과로는 지역도서관 지원 협력의 역할이라고 인식하였다. 시․도 본청과 광역대표도서관의 관계에 대해서는 광역대표도서관이 설립․운영되더라도 본청에 도서관 정책 부서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우세했다. 그러나 업무 중복으로 인한 비효율성과 현장의 요구가 반영되지 못한 정책 생산의 한계가 지적되었다. 본 연구는 대표도서관을 운영 상태에 따라 분류하여, 시․도 본청과 대표도서관의 현실적 상황과 조건을 파악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광역대표도서관이 균형발전과 지역 간 정보격차 해소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the roles and operational systems of regional representative libraries in light of the 2021 Library Act revision in South Korea. The research methodology involved a comprehensive review of relevant legislation and local ordinances, coupled with surveys and interviews conducted with officials from 17 metropolitan and provincial governments and regional representative libraries nationwide.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formulation and implementation of regional library policies were perceived as the most critical role of regional representative libraries, while their support and cooperation with local libraries were recognized as their most significant operational achievement.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rovincial/metropolitan governments and regional representative libraries, the prevailing opinion suggested the necessity of maintaining library policy departments within main government offices, even after the establishment of regional representative libraries. However, concerns were raised about potential inefficiencies due to task duplication and limitations in policy-making that may not adequately reflect field requirement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its systematic classification of representative libraries based on their operational status and its in-depth analysis of the practical situations and conditions faced by both government offices and representative libraries. Through this approach, the research explores strategies for regional representative libraries to contribute effectively to balanced development and the reduction of information disparities between regions.

김민주(숙명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박사과정) ; 신동희(숙명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pp.295-320 https://doi.org/10.3743/KOSIM.2024.41.4.295
초록보기
초록

오늘날의 도서관은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여러 학문 분야에서 도서관을 연구의 대상으로 삼고 있다. 분야마다 도서관을 바라보는 관점과 연구 방법이 다르므로, 본 연구에서는 학문 분야 전반에 걸쳐 수행되는 도서관 관련 연구의 주제 분야 간 연관 관계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2개 이상 분야의 도서관 관련 연구가 인용된 논문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고, 논문의 참고문헌 중 도서관 관련 연구가 수행된 분야를 연관 관계 분석 기법인 Apriori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28개 주제 분야에서 3개 군집과 2개의 독립군집이 추출되었다. 군집을 이루고 있는 학문 분야는 중간 노드로 연결되어 있으며, 중간 노드의 수에 따라 소수의 분야만을 인용하는 ‘전문형’, 다수의 인접한 분야를 인용하는 ‘일반형’, 군집의 중심에서 학문 분야 전반을 인용하는 ‘확대형’으로 분류되었다. 문헌정보학은 확대형으로 여러 학문 분야와 함께 인용되고 있었으나, 전문형인 중국어와문학, 대기과학과 같은 분야와는 연관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도서관을 연구하는 연구자들이 문헌정보학 연구자 또는 사서와의 공동 연구 수요를 시사하며, 문헌정보학 연구자들이 연관 관계가 없는 전문형 주제 분야와의 협업을 통한 연구 범위의 확장을 모색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Abstract

Nowadays, libraries perform variety roles. It causes libraries to be the subject of research across various academic disciplin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associations among disciplines. Because each of the academic disciplines has its own perspectives and research methods. The subject of analysis is research that co-cites articles related to the library. The Apriori algorithm one of the association rule mining was applied in the research field to analyze the rules of association. As a result, 28 academic disciplines were made three clusters and two independent clusters. All the academic disciplines are linked by intermediate nodes. Academic disciplines classification ‘professional type’ citing a few fields, ‘general type’ citing a number of adjacent fields, and ‘expanded type’ citing the entire discipline at the center of the cluster, based on the frequency of intermediate nodes.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re categorized into expanded types. But professional types like Chineses Language and Culture or Atmospheric Science don’t have association rules with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his suggests a demand for researchers who are collaborative in studying libraries like co-research is existing. And the researcher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can expand academic disciplines, through collaboration with unrelated to professional type.

임성은(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사서교육전공 석사) ; 강봉숙(전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pp.321-340 https://doi.org/10.3743/KOSIM.2024.41.4.32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사서교사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역량에 대한 중요도 및 수행도 인식을 조사․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사서교사가 효과적으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역량을 함양하기 위한 실질적인 방법들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의 사서교사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100개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사서교사 응답자 전체는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역량에 대한 중요도 인식 정도에 비해 실제 수행도 인식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교급, 미디어 리터러시 관련 연수 경험, 미디어 리터러시 수업 경험에 따라 역량의 중요도와 수행도 인식의 차이가 나타났으며, 각각의 중점적 관심이 필요한 역량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사서교사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구체적이고 다양한 지원 방안을 제언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perception of media literacy education competencies of teacher librarians, and to propose practical methods for teacher librarians to effectively cultivate media literacy education competencies based on this. To this en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teacher librarians nationwide, and finally, 100 response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all respondents of teacher librarians had insufficient recognition of actual performance compared to the degree of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media literacy education competencies. Additionally,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hese competencies were observed based on school level, media literacy training experience, and media literacy teaching experience. And competencies that require intensive attention were derived. This study suggested specific and diverse support measures to strengthen the media literacy education competencies of teacher librarians.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온라인 서점 리뷰에 드러난 독자의 도서이용 경험에 기반해 도서 선택 및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도서 관련 어필 요소(appeal factor)를 식별하였다. 다양한 주제, 장르/포맷으로 구성된 도서 187건에 대한 국내와 영미권 리뷰 1,094건을 대상으로 내용분석을 수행한 결과, 독자와 저자, 도서의 일반적 요소(언어/형식, 주제/소재), 소설, 비소설 구분에 따른 어필 요소를 파악하였다. 기존 독자자문 서비스의 어필 요소를 세분화한 본 연구결과는 독자의 도서탐색 및 이용을 돕기 위한 도서관 서비스의 개선뿐만 아니라 독서자료시스템 패싯 설계 개선을 위한 자료로 유용할 것이다.

Abstract

This study identified the book-related appeal factors influencing the selection and use of books based on readers’ experiences revealed in online bookstore reviews. As a result of content analysis on 1,094 Korean and English reviews of 187 books with various topics and genres/formats, the appeal factors were identified by dividing them into readers, authors, general elements of books(language/format, topic/subject), fiction, and non-fi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hich segmented the appeal factors of existing readers’ advisory services, will be useful not only for improving library services to help readers search for and use books but also as data for enhancing the design of facets in reading material systems.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