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서비스, 검색결과: 402
161
유현경(전북대학교 기록관리학과) ; 육혜인(전북대학교) ; 한희정(전북대학교) ; 김용(전북대학교) 2015, Vol.32, No.1, pp.109-134 https://doi.org/10.3743/KOSIM.2015.32.1.109
초록보기
초록

한류3.0 시대를 맞이하여 기존 미디어 중심의 한류문화에서 벗어나 다양한 한류문화콘텐츠 개발을 통해 한국문화의 세계화와 지속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전략적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LOD기반의 음식문화콘텐츠 서비스 제공을 통해 음식문화 관련 정보뿐만 아니라 다른 문화콘텐츠들과도 망라적으로 연결시켜 다양한 한류문화콘텐츠들이 발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 및 사례분석을 통해 음식문화의 개념을 정립하고 분류하였으며, LOD기반의 음식문화콘텐츠 서비스의 적용가능성을 분석하였다. 나아가 음식문화 LOD 구축 프로세스 및 서비스 모형을 제안함으로써 LOD기반의 한류문화서비스 확장에 관한 기초 연구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Abstract

In the Korean wave 3.0 age, it is needed to prepare how to globalize and hold Korean culture through development of various Korean wave culture contents from existing contents focused on media.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foundation for developing the various Korean wave culture contents as linking information about other culture contents as well as food culture by extending Korean culture contents service based on LOD.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stablished and assorted the concept of food culture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y and analyzed the applicability of the services of food culture contents based on LOD. Futhermore, this study provides the basis on extension of Korean wave culture service and suggests the process of implementation of food culture LOD and service model.

162
권현정(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대학원) ; 이지연(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2021, Vol.38, No.3, pp.101-140 https://doi.org/10.3743/KOSIM.2021.38.3.101
초록보기
초록

인공지능 기술이 결제 서비스 분야에도 적극 도입됨에 따라 말로 하는 결제 서비스 ‘음성결제(Voice Payments)’가 언택트 결제 서비스의 트렌드로 주목받고 있다. 음성결제 서비스는 인간의 가장 자연스러운 소통 수단인 ‘목소리’를 통해 결제를 더 빠르고 직관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공지능 에이전트와의 신뢰 형성을 위한 요인으로 ‘구체성’, ‘친밀감’, ‘자율성’을 선정하였으며, 각 특성들이 음성결제 상황의 음성 인터페이스에 적용되었을 때 이용자의 신뢰가 형성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 음성결제 인터페이스의 구체성과 자율성은 높을수록, 친밀감은 낮을수록 신뢰가 높아졌다. 또한 구체성과 자율성의 이원상호작용효과가 유의하였다. 수집된 주관식 답변들을 분석 및 종합하여 이용자들이 음성결제 서비스를 접할 때 느끼는 불안 요인들을 파악하고, 음성결제에 대한 신뢰를 높일 수 있는 음성 인터페이스 디자인 방안들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s the payment service sector actively embraces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Voice Payments” is becoming a trend in contactless payment services. Voice payment services can execute payments faster and more intuitively through “voice,” the most natural means of communication for humans. In this study, we selected richness, intimacy, and autonomy as factors for building trust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agents. We wanted to determine whether the trust will be formed if the factors were applied to the voice payment services. The experiment results showed that the higher the richness and autonomy of the voice payment interface and the lower the intimacy, the higher the trust. In addition, the two-way interaction effects of richness and autonomy were significant. We analyzed and synthesized the collected short-answer system to identify users’ anxiety when using voice payment services and proposed speech interface design ideas to increase their trust in the voice payment.

초록보기
초록

도서관과 정보센터를 둘러싼 환경적인 변화와 함께, 다양한 관리 기법을 개발하고 이를 도서관 업무와 서비스에 적용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관점하에서 새로운 경영 및 품질개선 기법으로서 6시그마를 도서관에 적용한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는 6시그마 기법을 도서관에서 해외 학술정보를 입수하는 과정에 실제 적용하여 나타나는 문제점과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제조업 분야에서 주로 적용되었던 6시그마 기법의 하나인 DMAIC 방법을 이용하였다. 결과적으로 6시그마 기법을 본 연구에서 목표하는 분야에 있어서 높은 개선 효과를 거둘 수 있었다.

Abstract

With the environmental changes around libraries and information center, they need to develop various management techniques and apply them to library works and services. In this research, a case study was conducted in a special library of IT company. This study was aimed for reducing ineffective components and unnecessary processes in library works and services. This study applied the Six sigma technique to improve the process of purchasing overseas academic and strategic information and users' a degree of satisfaction on information service. Specifically, this study used the five-step DMAIC(Define, Measure, Analyze, Improve, Control) method, mainly used in the manufacturing sector.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could get epoch-making improvement.

초록보기
초록

DLS(Digital Library System)는 학교도서관 관리자(사서교사)와 최종 이용자(일반교사 및 학생)에게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교육인적자원부에서 개발한 학교도서관 정보시스템이다. DLS는 현재 15개 시도교육청에 설치되어 있으며, 시도교육청 관내의 초중등학교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DLS는 서비스를 개시한지 2년 이상이 지났기 때문에 이용 실태와 현황을 분석하여 향후 학교도서관 관리자, 학생 및 교사를 대상으로 이용실태와 요구사항을 조사하여 향후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Abstract

DLS(Digital Library System) have ben established by Ministry o Resources Development for providing the application services to each school library managers(teacher librarian) and front end users such as student s and teachers. DLS's are separately operated by 15 major metropolitan or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to cover all elementary, midle and high schols in Korea. There is a necess current status of DLS because it's system after starting a service 2 years passed. This study suggested to improvements strategies of DLS by survey from teac her librarian, subject teacher, students of 308 schools.

165
노영희(건국대학교) ; 신영지(건국대학교) ; 곽우정(건국대학교) 2019, Vol.36, No.2, pp.7-29 https://doi.org/10.3743/KOSIM.2019.36.2.00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특화도서관 이용자를 대상으로 특화서비스 현황, 이용경험 및 전반적인 만족도 등을 조사하고, ISA 기법을 기반으로 특화 주제 자료, 특화서비스 장소, 특화프로그램, 특화 주제 분야 시설 및 환경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를 비교하여, 특화도서관 운영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첫째, 특화도서관의 주제 선정 시, 해당 도서관의 지역적 특징과 역사, 인구분포 등을 반영하여 주제를 선정해야 하며, 지역 주민 및 도서관 이용자의 수요조사가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특화도서관은 특화프로그램의 기획 시, 프로그램의 질적 향상을 위해 전문성을 갖춘 프로그램 진행자를 기반으로 하여 차별성 있는 프로그램의 운영을 고려하여야 할 것이며, 또한 충분한 주제 관련 장서와 공간을 확보하고, 더 나아가 장서와 연계하여 프로그램을 기획하여야 한다. 셋째, 특화도서관은 공간은 이용자에게 특화장서와 서비스, 정보서비스 등을 제공하기 위해 자관이 제공하는 특화주제를 서비스하기 적합한 구조여야 한다. 또한 공간을 구성함에 있어 이용자의 요구를 반영하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specialized services, user experience, and the overall satisfaction for the specialized library users, and based on the ISA method, compare the specialized theme data, specialized service place, specialized program, specialized theme area facilities and environment, and derive issues of the specialized library operation and improvement measures. Consequently, first, when selecting the theme of the specialized library, the theme ought to be selected to reflect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history and demographics of the library, and the demand survey of the local residents and library users would need to be considered. Second, when planning the specialized program, the specialized library ought to consider operating differentiated programs based on the program operator who has the expertise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program. Furthermore, sufficient theme related books and space must be secured, and moreover, the program must be planned in connection with the book collection. Third, the specialized library should be so structured as to ensure that the space may serve specialized themes provided by the library in order to provide specialized collections, services, and information services for the users. In addition, reflecting the needs of the users in designing the space must be considered.

166
박성은(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연구데이터공유센터 선임기술원) ; 이미경(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연구데이터공유센터 책임연구원) ; 조민희(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연구데이터공유센터 책임연구원) ; 송사광(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연구데이터공유센터 책임연구원, UST 응용AI학과 교수) ; 김다솔(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연구데이터공유센터 기술원) ; 임형준(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연구데이터공유센터 센터장) 2024, Vol.41, No.1, pp.465-486 https://doi.org/10.3743/KOSIM.2024.41.1.46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에서 개발하고 있는 국가연구데이터커먼즈(KRDC)를 실제 이용할 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 산하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연구데이터 관리자를 대상으로 연구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한 인프라와 서비스의 현황을 파악하고, KRDC 체계 구축과 관련한 연구데이터 관리자들의 인식을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KISTI를 제외한 24개의 정부출연연구기관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설문조사에 응답한 15개 기관 중 후속 인터뷰에 동의한 9개 기관의 연구데이터 관리자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설문 결과, 대부분의 기관들이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었으며, 연구데이터 활용을 위한 통합 분석 프레임워크의 도입과 외부에 공개된 분석 SW를 사용할 수 있는 체제에 대한 제공 의향 역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후속 인터뷰를 통해 각 기관별로 제공하는 분석 서비스의 외부 공개 현황을 파악해보았을 때, 매우 소수의 기관만이 이를 외부에 공개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분석해보면, 프레임워크를 통해 분석 인프라와 서비스가 제공될 경우 활용하고자 하는 수요가 있으나, 각 기관에서 보유하고 있는 분석 자원을 공개 및 공유하기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다. KRDC 체계 구축을 위해서는 연구 현장에서의 분석 인프라와 분석 서비스의 공유가 필수적인 만큼 연구 현장에서의 인식 전환, 나아가 제도적 변화가 필요하며, 후속 인터뷰에서 제시된 시스템의 편리성, 보안, 보상체계 등을 잘 고려하는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infrastructure and services for analyzing research data for research data managers at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ions under the National Research Council for Science and Technology (NST) who will actually use the Korea Research Data Commons (KRDC), which is being developed by the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KISTI) and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of research data managers related to the establishment of KRDC system. For the study, we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24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excluding KISTI, and interviewed research data managers from 9 of the 15 institutions surveyed who agreed to follow-up interviews. As a result of the survey, most institutions were providing related services, and their willingness to introduce an integrated analysis framework for the use of research data and provide a system for using externally released analysis software was also high. Meanwhile, when we investigated the external disclosure status of each institution’s analysis services through follow-up interviews, only a minimal number of institutions were disclosing them to the outside world. The findings reveal that there is a demand to utilize analysis infrastructure and services when provided through the framework. However, it is difficult to disclose and share the analysis resources held by each organization. In order to establish the KRDC system, it is essential to share research sites’ analysis infrastructure and services, and in addition,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research sites and institutional changes are necessary. Furthermore, there is a need to establish policies that consider the system’s convenience, security, and compensation system raised in the follow-up interviews.

167
김윤명(경희대학교) ; 정준민(전남대학교) 2002, Vol.19, No.2, pp.181-201 https://doi.org/10.3743/KOSIM.2002.19.2.181
초록보기
초록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에 따라 디지털도서관은 자료의 디지털화 등을 통하여, 디지털환경에 맞는 정보서비스를 위한 역할의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저작권법은 도서관이 비영리적 기관으로서 사회의 공익에 기여하는 점이 많기 때문에 저작권법이 예외적으로 적용되어 자유로운 정보서비스를 허용하고 있다. 그렇지만 디지털환경에서는 디지털 복제와 전송이 쉽기 때문에 권리자와 이용자와의 균형관계를 형성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이러한 변화에 적응하고자 개정된 저작권법은 취지와는 달리 인터넷을 통한 디지털도서관에의 접근을 제한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현행 저작권법 및 개정안의 문제점을 고찰함과 아울러 디지털도서관의 이용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Abstract

As Information Technology has developed, digital library has an opportunity to change the paradigm of role of library to adjust in digital environment. Digital library has promote information services with digitization of materials. In library fare use is allowed to the public for information services. However, digital copy and transmission is simple in digital environment, to balance between owner and user is not easy but important things. Therefor, current copyright act is revised to adjust these environment but the act restrict the users′accessing digital library through interned, not complied with the motive of revision. Moreover, proposed act which is proposed to facilitate digital library services also extremely limits information services. In this monograph, I will review the copyright act related library and seek for the improved means.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도서관에서 제공하는 적극적 정보제공 서비스로서의 테마전시 이용행태를 조사하고, 그 효과로서 이용자의 도서관 이용행태 변화와 인식변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테마전시를 제공하는 3개 도서관의 7명의 사서와 8명의 이용자 심층인터뷰를 통해 연구 질문 및 설문지를 개발하고, 232명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 및 통계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테마전시 서비스가 이용자들의 다양한 자료이용을 도울 뿐 아니라, 사서에 대한 인식 및 도서관 평가에 긍정적인 변화를 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각 도서관의 환경과 이용자층에 맞춰 테마전시를 적극적으로 수행할 것을 제안하였다.

Abstract

We investigated the user behavior of the theme display provided by the public libraries as an active information service. Specifically, we wanted to study the library patrons’ library use behavior and perception. There were in-depth interviews with seven librarians and eight patrons to develop a set of research questions and the questionnaire. We conducted the survey with 232 patrons then the statistical analysis. The analysis result revealed that the theme display helped the patrons’ wider use of the library resources and also positively affected patrons’ perception on the librarians as well as the evaluation of the library services. Based on the findings, we recommended the active incorporation of the theme display within the limitation of the libraries’ facility and patrons’ interests.

169
박현모(대외경제정책연구원) ; 이지연(연세대학교) 2013, Vol.30, No.1, pp.71-92 https://doi.org/10.3743/KOSIM.2013.30.1.07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도시와 농어촌 각 청소년 집단의 정보 요구를 충족시키는 학교도서관 정보 서비스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두 청소년 집단의 일상 정보 행태를 비교하였다. 특히, 두 청소년 집단의 일상에서의 정보 추구 행태뿐만 아니라 정보의 장의 종류와 정보의 장 형성을 방해하는 요인도 함께 비교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정보 활용 일지와 반구조적 심층 인터뷰를 이용하여 두 청소년 집단의 일상 정보 행태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정보 서비스 방안들은 추후에 도시와 농어촌의 학교도서관에서 정보 서비스를 기획하는데 활용될 것이라 기대된다.

Abstract

This study compared the everyday-life information behaviors of urban and rural adolescents to suggest ways that school library information services can better meet the information needs of each of these groups. It focused its comparison not only on the everyday-life information-seeking behaviors but also on kinds of information grounds and barriers forming information grounds. Two qualitative methods, written activity logs and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were used to examine everyday-life information behaviors of adolescents. It is expected that the proposed strategies will be used in planning actual school library information services for urban or rural youths.

170
곽승진(충남대학교) ; 노영희(건국대학교) ; 강봉숙(청주대학교) ; 고재민(수원과학대학교 융합디자인학부 실내건축디자인학과) ; 김정택(배재대학교 학술정보팀) ; 곽우정(건국대학교 GLOCAL(글로컬)캠퍼스 지식콘텐츠연구소) 2022, Vol.39, No.2, pp.87-110 https://doi.org/10.3743/KOSIM.2022.39.2.08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옥천군 생활문화체육센터 도서관 건립 이후 운영 방안을 수립할 필요성을 기반으로 하며, 옥천군 내의 공공도서관 이용자를 대상으로 옥천군 도서관의 기능․역할 및 장서 운영방향, 이용자 서비스 활성화 및 이용현황 조사, 향후 이용 의사 등에 대한 선호도 조사, 희망 서비스에 대한 인식 등을 조사하였다. 인식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옥천군민이 도서관에 요구하는 방향성을 파악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 결과, 첫째, 장서 계획 수립 시 이용자의 요구도를 반영하여 자료 유형은 인쇄자료 및 멀티미디어 자료를 기반으로 하고, 문학, 예술, 역사, 기술과학 등의 주제분야를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수집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다양한 정보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전반적인 정보서비스 계획 수립이 필요하며, 이와 함께 이용자 선호도에 따른 다양한 정보서비스 개발과 협력형 서비스 제공이 필요할 것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옥천군민들의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도가 높은 것을 고려하여 향후 다양한 주제 및 각 연령층에 적합한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확대해야 할 것으로 파악되었다. 넷째, 신규건립 및 공간 개선이 필요하며, 전반적으로 열린 공간에 대한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문화공간의 경우 청소년 문화시설, 주민편의시설, 무한상상실, (체험)전시관 등에 대한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the need to establish an operational plan following the establishment of the Okcheon-gun Daily Life Culture and Sports Center Library, and for the users of public libraries in Okcheon-gun, the functions and roles of the Okcheon-gun Library, collection related to operational direction, user service related activation, library usage related status survey, preference for the future use and perception of desired services were survey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erception survey, the direction required by the Okcheon-gun residents for the Library was identified, an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when establishing a collection plan, the data types ought to be based on the printed materials and the multi-media materials to reflect the needs of the users, and it may also be necessary to collect them in consideration of the subject areas including literature, art, history, and technical sciences. Second, to provide various information services, it would be necessary to establish an overall information service plan, and it was identified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information services according to the user preferences and provide cooperative services. Third, it was determined that the programs appropriate for the various subjects and age groups should be continuously expanded moving forward in consideration of the larges demand for programs by the residents of Okcheon-gun. Fourth, new constructions and spatial improvements are needed, and the overall preference for open spaces was significant. In the case of cultural space, the preference for youth cultural facilities, convenience facilities for residents, infinite loss of imagination, and the (experiential) exhibition halls turned out to be large.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