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use analysis, 검색결과: 280
251
곽철완(강남대학교) 2018, Vol.35, No.4, pp.37-50 https://doi.org/10.3743/KOSIM.2018.35.4.037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브라운의 주제분류법 초판을 분석하여 오늘의 분류법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906년에 발표한 주제분류법 초판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류체계의 구성에서 주제분류법의 주류는 크게 11가지로 구분되며, 각 주류는 000에서 999로 세분되어 열거식으로 나열되었다. 둘째, 분류기호 합성 방법은 크게 3가지가 있다. 셋째, 새로운 주제 처리 방법으로 본표에 없는 새로운 주제가 나타나면 적절한 위치에 새로운 분류기호를 삽입할 수 있는 유연성이 있었다. 분류법 연구에 대한 시사점은 크게 네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이전의 분류법에는 없었던 혁신적인 방법인 복합 주제에 대한 분류기호 합성 방법을 제시하였다. 둘째, 패싯을 지원하는 보조표 운영을 통하여 주제를 다양한 측면에서 설명하였다. 셋째, 자관별로 유연한 분류체계를 가질 수 있도록 한 분류법으로 분류체계에 새로운 주제를 쉽게 삽입할 수 있거나 도서관 장서 규모에 따라 간략한 분류기호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넷째, 디지털 자료에 대한 접근점으로 고려할 수 있는 디렉토리를 제공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irst edition of Brown’s Subject Classification and to understand the implications of today’s library classification. For this purpose, the first edition of the Subject Classification published in 1906 was analyzed. The analysis results are divided into three main areas. First, SC is divided into eleven main classes and each class is subdivided into enumerated subdivisions from 000 to 999. Second, As a method of synthesizing the classification numbers, there were three methods of synthesis. There was a flexibility to insert a new classification number at the appropriate location when a new topic that does not appear in the main table appeared. Implications for classification studies can be divided into four main categories. First, SC proposed a method of classification number synthesis for composite topics, which is an innovative method that was not available in previous library classification. Second, the subject matter was explained in various aspects through the operation of auxiliary tables supporting the facets. Third, it is possible to easily insert a new topic into the classification system by using the SC that can have a flexible classification system for each library, or to use a short classification number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library collection. Fourth, it provided a directory that can be considered as access points for digital materials.

초록보기
초록

디지털 도서관을 통해 제공되는 정보 자원의 형태와 종류가 다양화됨에 따라 자료의 유형별로 적정 수준의 메타데이터를 정의하고 제공하는 것이 또 다른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일반 텍스트 자료와 달리 수치로 표현된 데이터에 대한 해석을 필요로 하는 통계 자료의 특성상, 통계 도메인에서 메타데이터는 통계 자료의 검색뿐 아니라 검색된 자료의 정확한 이해와 활용을 위한 필수적인 도구로 인식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통계 메타데이터 연구는 통계 작성 기관이나 분석 기관의 전문적인 요구에 중점을 두고 있어, 인터넷을 통해 통계 자료에 접근하는 일반 이용자들의 관점에서의 논의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일반 이용자를 위한 통계 메타데이터에 대한 논의의 단초로서, 본 연구는 미국의 연방 통계 기관인 the Bureau of Labor Statistics (BLS, HYPERLINK "http://www.bls.gov/" http://www.bls.gov/) 및 the 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 (EIA, HYPERLINK "http://www.eia.doe.gov/" http://www.eia.doe.gov/)의 웹사이트에 대한 내용 분석을 통해, 현재 인터넷을 통해 통계 자료에 접근하는 이용자들에게 제공되고 있는 메타데이터의 현황을 평가하였다. 본 사례 연구의 결과는 이들 웹사이트를 통해 제공되는 방대한 양의 자료에도 불구하고 메타데이터의 제공 수준은 국제 기구에 의해 정의된 최소 수준에 미치지 못함을 나타내고 있어,이용자 중심의 메타데이터 설계의 필요성을 재확인 하고 있다.

Abstract

As increasingly diverse kinds of information materials are available on the Internet, it becomes a challenge to define an adequate level of metadata provision for each different type of material in the context of digital libraries. This study explores issues of metadata provision for a particular type of material, statistical tables. Statistical data always involves numbers and numeric values which should be interpreted with an understanding of underlying concepts and constructs. Because of the unique data characteristics, metadata in the statistical domain is essential not only for finding and discovering relevant data, but also for understanding and using the data found. However, in statistical metadata research, more emphasis has been put on the question of what metadata is necessary for processing the data and less on what metadata should be presented to users.In this study, a case study was conducted to gauge the status of metadata provision for statistical tables on the Internet. The websites of two federal statistical agencies in the United States were selected and a content analysis method was used for that purpose. The result showing insufficient and inconsistent provision of metadata demonstrate the need for more discussions on statistical metadata from the ordinary web users’ perspective.

253
권범중(충남대학교) ; 곽승진(충남대학교) 2007, Vol.24, No.3, pp.219-244 https://doi.org/10.3743/KOSIM.2007.24.3.21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참고정보원 관리도구를 데스크탑 기반, 웹 기반, 웹 2.0 기반의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고, 각 유형에 대한 대표적인 도구를 선정하여 각 도구의 제공기능에 대한 비교ㆍ분석과 이용자 중심에서 사용성을 비교ㆍ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도구의 제공기능에 대한 조사를 위해 먼저 각 도구의 제공기능에 대한 비교분석을 수행하였다. 유형별 도구에 대한 사용성 평가는 실험 후 각 참고정보원 관리도구의 만족도, 이해 편리성, 적합성, 효율성에 대한 비교 연구로 진행하였으며, 정량적 연구방법과 정성적 연구방법을 병행하였다. 정량적 연구의 데이터 수집을 위한 조사도구로 설문조사를 사용하였으며, 정성적 연구는 각각의 실험자에 대한 면담을 통하여 그 내용을 분석하였다. 유형별 참고정보원 관리도구에 대한 사용성 비교 평가를 통해 얻어진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용자 만족도의 평균값은 도구 B(웹 기반)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도구 A(데스크탑 기반), 도구 C(웹 2.0기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해 편리성은 도구 B, 도구 C, 도구 A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적합성은 도구 A, 도구 B, 도구 C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효율성은 도구 B, 도구 A, 도구 C 순으로 나타났다.

Abstract

Reference resources management tools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s: Desktop-based, Web-based, and Web 2.0-based. This study is intend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functions provided by the three types of tools and also to compare and evaluate their usability. Each Tools were chosen to represent each type. For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functions provided by the three types of tools, we divided the process of using reference resources management tools into four steps and then compared and analyzed sub items in each step. Satisfaction, understandability, conformance and efficiency that items for comparison and evaluation of the usability were compared using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pproaches. We surveyed the participants to collect data for quantitative research; and interviewed them and analyzed the results for qualitative research. Here are the results from evaluating the usability of Tool A(Desktop-based), B(Web-based), C(Web 2.0 based). First, Tool B had the highest mean user satisfaction, followed by Tool A and Tool C. Secondly, Tool B had the lead in understandability, followed by Tool A and Tool C. Thirdly, Tool A had the highest mean conformance, followed by Tool B and Tool C. Fourth, Tool B had the highest mean efficiency, followed by Tool A and Tool C.

초록보기
초록

세계에는 수많은 도서관이 있지만 어떤 시스템도 이 모든 도서관에 대한 정보를 총체적으로 제공하는 기관은 없다는 인식에서, 본 연구에서는 위키원리 기반 도서관지도정보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또한 구글지도서비스를 매쉬업함으로써 도서관위치정보서비스도 제공하고자 하였다. 새로운 서비스 시스템이 개발됨에 따라, 이 시스템을 통해 제공될 정보의 효과적 조직 및 관리를 위해 새로운 메타데이터를 개발할 필요가 있었으며, 이를 위해 델파이 연구기법을 적용하였다. 델파이 전문위원으로 대학, 전문, 학교, 공공, 국가도서관의 사서를 포함하여 도서관 지도정보의 전문가인 연구소의 연구원 및 대학의 교수진 등 총 13명을 위촉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한 제 3차에 걸친 델파이 설문분석과정을 통해, 초기 메타데이터 항목에 대한 추가, 수정, 삭제가 이루어졌으며, 도서관 위치정보, 도서관 정보, 장서정보, 행사정보로 구성된, 4개 부문 49개 항목의 메타데이터가 최종적으로 제안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construct the Library Map Information System(LMIS) based on the Wiki theory of Web 2.0. We built this system because there was no collective source of information about every library in the world. Also, this system was developed to provide a library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by mashing-up with the Google Map. Through this study, the metadata applied to the newly constructed system was developed by using the Delphi method. A total of 13 experts including librarians of schools, public, academic, special, and national libraries as well as LIS faculty members and researchers, were commissioned as Delphi experts. Through three rounds of a Delphi survey analysis, the addition, modification, and deletion of the initial metadata elements was accomplished, and then the library contact/location information, library information, collection information, and event information was proposed. The metadata for LMIS was organized into four sectors and then 49 elements, each assigned to a sector.

255
유재복(한국원자력연구원) ; 정영미(연세대학교) 2010, Vol.27, No.4, pp.239-258 https://doi.org/10.3743/KOSIM.2010.27.4.239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에서는 특허의 인용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들을 토대로 특허의 피인용횟수를 예측하기 위한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미국특허를 대상으로 5개 주제분야에 걸쳐 특허의 피인용횟수와 일정 수준 이상의 상관관계, 즉 5% 이상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밝혀진 페이지 수, 청구항 수, 참고문헌 평균 피인용횟수, 서지결합도, 문헌간유사도 등 5개 변수들을 토대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제시된 5개 주제분야의 특허인용 예측모형의 설명력은 주제분야에 따라 58.3%~89.6%로 나타났으며, 예측변수로 사용된 5개의 독립변수 중 특허 피인용횟수에 가장 영향력이 높은 변수는 ‘문헌간유사도’로 나타났다. 또한 이 연구에서 추정된 주제분야별 예측모형을 토대로 산출한 특허 피인용횟수에 대한 예측값과 실제값을 비교한 결과 이들 예측모형은 5개 주제분야에서 모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rediction model of patent citation counts based on major factors which affect patent citation. To this end, we perform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etween the patent citation counts and five explanatory variables such as the number of pages, the number of claims, the reference-average-citation rate, the strength of bibliographic coupling, and the document similarity proved as having 5% or more standardized variances(r2) with patent citation counts, with a test dataset of U.S. patents in five subject fields. As a result, our prediction models showed 58.3% to 89.6% predictability depending on subject fields and revealed the document similarity has the highest impact on citation counts among the five predictive variables in all the subject fields. The result of comparison between the predicted citation counts and the actual ones confirmed the usefulness of the citation prediction models built for each subject field.

256
박옥남(상명대학교) ; 김신영(경일대학교) ; 장경원(경기대학교) ; 차성종(숭의여자대학교) 2017, Vol.34, No.4, pp.173-199 https://doi.org/10.3743/KOSIM.2017.34.4.173
초록보기
초록

교육훈련 평가는 교육프로그램과 관련한 내용을 측정, 관찰하여 품질을 평가하고 이를 통해 교육훈련 변경에 대한 근거를 제공하는 행위이다. 국립중앙도서관은 사서교육 훈련프로그램 교육과정의 성과와 질을 제고할 수 있는 평가방법의 도입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국립중앙도서관의 사서교육훈련 직무교육의 효과성을 객관적이고 복합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평가모형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Kirkpatrick의 4단계 평가모형을 적용하였으며, 선행연구, 국립중앙도서관 사서교육훈련 교육과정 현황조사, 이해관계자 요구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사서교육훈련 평가체계 방향성을 설정하기 위한 평가체계 및 평가도구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실제 국립중앙도서관 사서교육훈련과정의 현실적인 평가체계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Evaluation of education and training is the act of measuring and observing contents related to an educational program and evaluating its quality; and thereby providing the basis for the changes in the curriculum.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NLK) has urgently needed to introduce an evaluation method that can enhance the performance and quality of its continuing education program. Therefore, this study is aimed at developing an evaluation model that can objectively and comprehensively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NLK’s job training program for its librarians. To this end, the study applied Kirkpatrick’s 4-Level Training Evaluation Model and conducted review of preceding researches, investigation of NLK’s librarian continuing education program, along with analysis on the stakeholders’ needs.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suggested evaluation system to establish the directions of the evaluation system.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a practical evaluation system for NLK’s librarian education program.

257
채현수(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박사과정) ; 김예원(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석사과정) ; 김혜영(청주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이지연(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2023, Vol.40, No.4, pp.95-121 https://doi.org/10.3743/KOSIM.2023.40.4.09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 실무자인 사서의 인식을 바탕으로 대학도서관 서비스 범주별로 활용할 수 있는 4차 산업혁명 기술 조합을 탐색하고 효과적인 서비스 전략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문헌조사를 바탕으로 4차 산업혁명 기술의 개념과 유형을 파악하였고, 국내외 도서관 서비스의 기술 활용 사례를 살펴보았다. 국내 대학도서관이 서비스하고 있는 항목들을 조사하고 범주화하여 대학도서관 서비스 분야-범주-항목 체계를 정립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대학도서관 사서들이 인식하고 있는 서비스별 기술 도입 필요성과 적정 서비스 자동화 수준을 파악하였다. 조사 결과 우선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는 대학도서관 서비스-기술 조합 9가지를 선별할 수 있었다. 조사 및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서비스 범주별 서비스-기술 전략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 서비스의 고도화 및 효율화를 위해 신기술 도입 및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고, 실무자들이 공감하고 있는 인식을 통해 서비스-기술 결합을 위해 추진해야 할 방향성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combinations of services and technologies for academic libraries to use based on librarians’ perception and establish effective service strategies accordingly. The literature review facilitated an understanding of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ies impacting the libraries. We discovered how technologies are transforming library services. We analyzed the academic library services to categorize their service structure. The survey revealed the necessity of introducing technology for each service category and the appropriate automation levels of services based on the perception of librarians. The survey results identified nine prioritized combinations of academic library services and technologies. Based on the analysis, we proposed the service-technology strategies for each category.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exploring the potential for introducing and utilizing new technologies to enhance academic library services and exploring ways to combine services and technologies based on the common opinion of librarians.

258
김희섭(경북대학교) ; 박용재(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04, Vol.21, No.4, pp.153-171 https://doi.org/10.3743/KOSIM.2004.21.4.153
초록보기
초록

정보시스템 효과측정은 시스템 운영과 투자에 대한 가치와 효율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것이며, 이를 위한 방법 중의 하나는 이용자 만족지수 측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시스템의 이용자만족지수를 측정하기 위한 적정한 모형을 제안하고 개발된 모형을 사용하여 이용자만족지수를 측정하는 것이다. 마케팅 분야와 정보시스템 분야의 대표적인 이론들과 모형들을 근간으로 정보시스템의 이용자만족지수 측정모형을 제안하고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해 모형을 검증하였다. 이 모형은 정보품질, 서비스품질, 시스템품질, 이용자만족의 네 가지 기본적인 차원과 이용자충성도와 이용자불평의 두 가지 부가적인 차원으로 구성하였다. 제안된 모형을 사용하여 정보통신부 산하 기관인 정보통신연구진흥원(IITA) 기술정책정보단에서 운영되고 있는 ITFIND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이용자만족지수를 직접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토대로 향후의 시스템 개선을 위한 몇몇 전략 및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measurement of information system (IS) effectiveness is critical to understanding of the value and efficacy of IS actions and IS investments.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model of the user satisfaction index for ISs and present the user satisfaction index which is measured by the proposed model. Based on the representative theories and models in the field of marketing and IS, we propose a new user satisfaction index model and verify the new model through the analysi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proposed model consists of four basic dimensions: information quality, service quality, systems quality, and user satisfaction. Also, users' royalty and complaint are adopted as the additional dimension in this model. Data was collected from the ITFIND users to measure their satisfaction index. We, then, suggest some strategic guidelines for the better ITFIND which may useful when the system designers consider upgrading of the system in the future.

초록보기
초록

도서관 상호대차에 의한 원문복사서비스는 정보를 공동 이용하여 이용자의 정보요구를 충족시켜 주기 위한 진보된 형태의 서비스이다. 현재 상호대차에 의한 원문복사서비스의 면책 적용에 관해서는 해석이 분분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Fax 및 Ariel 시스템을 이용한 원문복사의 저작권 문제에 관한 법적 해결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상호대차에 의한 원문복사서비스에 관한 국제적인 면책 적용의 동향을 검토하였다. 우리 현행저작권법에 입각한 원문복사서비스의 면책 적용에 대한 해석들을 분석하였고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기초로 하여, 원문복사서비스와 관련한 현행 저작권법상의 도서관 면책 규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법적 개정방안과 그 조문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가 제시한 법적 개정 방안은 2005년 또는 향후 도서관 면책 규정의 개정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e document delivery service is an advanced service to satisfy information need of end-user by the cooperative utilization of information. At present there are various interpretation on library exemption of the document delivery service by interlibrary loan.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uggest a legal plan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library exemption dealing with the document delivery service by Fax and Ariel system. The study examined the international trends on library exemption related to the document delivery service in foreign copyright laws, analyzed the library exemption related to the document delivery service in the present Korean copyright law, and pointed out the problems of the present library exemption. As the result of this analysis, the study suggested a revised plan of the present Korean copyright law in order to provide regulation of library exemption dealing with the document delivery service by interlibrary loan. Thus the revised plan can be used as a basic data for providing the regulation for the future of library exemption in Korea.

260
권난주(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석사과정) ; 이지연(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2022, Vol.39, No.1, pp.351-374 https://doi.org/10.3743/KOSIM.2022.39.1.35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외국인 난민의 한국 체류와 관련된 정보상황을 이해하고, 요구되는 정보와 정보원을 파악하여, 정보행태 관점에서 외국인 난민과 한국사회에 필요한 변화, 국제사회 속에서 한국의 역할, 도서관계의 정보 전문가적 대응 방안을 제시하였다. Dervin의 의미형성이론과 Chatman의 정보빈곤 이론을 바탕으로 연구설계가 진행되었다. 한국에 합법적으로 체류 중인 외국인 난민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고, 인식, 상황, 행태를 조사하기 위한 반구조화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외국인 난민, 한국 공공 및 민간기관, 도서관계에 적용 가능한 정보서비스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는 관련된 실증적 연구를 보완할 수 있고, 실제 정보 문제 해결을 위한 정보서비스의 가치를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include i) to understand the circumstances of exposure to information during foreign refugees’ stay in South Korea, ii) to investigate their information needs and the use of information sources, and iii) to propose the change needed in the Korean society, the role of South Korea in the global community, and the service direction of libraries and information professionals. To this end, legally recognized refugees who have stayed in South Korea were recruited for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and observations on their perception, situation, and active behavior. The discussions were transcribed for coding. The codes were analyzed by content analysis technics based on relevant previous studies and factors of Dervin’s Sense-making theory and Chatman’s Information Poverty theory. Based on these analyses, this study proposed strategies for foreign refugees and individuals and public organizations, including libraries and NGOs, from an information service perspective. It is expected that the proposed strategies will supplement related empirical quantitative research and add value to information services for solving information problems.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