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서비스, 검색결과: 402
291
김지현(이화여자대학교) ; 정은경(이화여자대학교) ; 윤정원(University of South Florida) ; 이재윤(명지대학교) 2017, Vol.34, No.1, pp.7-29 https://doi.org/10.3743/KOSIM.2017.34.1.007
초록보기
초록

학술 커뮤니티 내에서 논문의 인용은 보편적인 규범으로 자리 잡은 데 비해 데이터의 인용은 아직 초보적인 단계에 머물러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제기되고 있는 데이터 인용의 필요성 및 원칙과 가이드라인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또한 데이터 인용체계 구축 사례에서는 데이터 인용 요소들을 정의하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DataCite, Dataverse Network, Data Citation Index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한국종합사회조사 데이터 인용 분석을 통해 국내 데이터세트 인용/이용 정보 제공 실태를 조사하였다.

Abstract

Data citation remains in its infancy, although providing the citation to a journal article is a typical norm in an academic community. This study examines the need for data citation, its principles and guidelines for improving the issue. In addition, the study investigates cases that established data citation mechanism, including DataCite, Dataverse Network and Data Citation Index that define elements of data citation and provide relevant services. At the end, it explores the current state of data citation in Korea through the analysis of citations to dataset from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292
이홍재(안양대학교) ; 최문형(성균관대학교) ; 박미경(성균관대학교) 2012, Vol.29, No.3, pp.145-167 https://doi.org/10.3743/KOSIM.2012.29.3.14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SNS에 대한 개인적 특성과 사용자 인지요인, 그리고 SNS 재사용 의도 간의 구조적 영향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SNS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SNS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인지된 즐거움과 유용성, 사용 용이성 등의 사용자 인지요인이 SNS 재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가설검증 결과, 자기효능감이 인지된 사용 용이성과 유용성, 그리고 인지된 즐거움에 각각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용자 인지요인 간의 관계에서는 인지된 즐거움과 인지된 사용 용이성 모두 인지된 유용성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SNS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인지된 즐거움, 그리고 인지된 유용성은 SNS 재사용 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SNS 재사용 의도에 관한 이론적․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self-efficacy,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playfulness, and reuse intention of SNS.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by structured equation model(SEM) indicate that self-efficacy significantly influences individual's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playfulness. Both perceived play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affects perceived usefulness on SNS. Individual's self-efficacy, perceived playfulness and perceived usefulness affect reuse intention of SNS. Based on the result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293
심원식(성균관대학교) ; 김성환(성균관대학교) 2007, Vol.24, No.4, pp.153-171 https://doi.org/10.3743/KOSIM.2007.24.4.15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이용이 매우 활발한 국내 학위논문의 원문 검색 서비스를 개선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이 개발한 커리어넷의 학과정보 분류체계를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 운영하는 RISS에 포함된 학위논문 정보에 적용한 것이다. 연구 결과 커리어넷의 학과정보 분류체계는 최근 3년간 국내에서 생산되거나 이용된 학위논문을 분류하는데 비교적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3개년 동안의 학과분류별 논문생산량과 논문이용량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학과분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고 활용방안을 모색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suggests that improvement of theses and dissertations retrieval can be made by applying appropriate academic department classification. We applied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KRIVET)'s department classification to these and dissertations being serviced by Korea Education & Research Information Service(KERIS). The results show that the chosen classification appropriately represents diverse academic department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theses and dissertations either published or used within the recent three year period. The study also makes a number of suggestions that will facilitate the application of an academic department classification to a live system.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도서관의 상호운영성 및 통합 관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호운영성을 위한 핵심 기술 및 디지털 도서관의 기능, 서비스를 분석하여 정보기술아키텍처의 기술참조모델을 설계하였다. 제시된 디지털 도서관의 정보기술아키텍처의 영역은 1)Metadata Management, 2)Library Services, 3)Service Integration 4)Service Management, 5)Open Interface, 6)Network, 7)Architecture 등 총 7개의 영역으로 구분되며, 20개의 세부 기술 영역으로 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정보시스템간의 상호운영성 및 호환성을 확보하기 위한 핵심 기술을 식별함으로서 디지털 도서관의 체계적인 구축과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한 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digital library's Interoperability and integrated management, we analyzed core technologies for interoperability in digital library in terms of information creation, organization, service. And then we proposed information technology reference model that is composed of 7 scopes. The proposed scope included 1)Metadata Management, 2)Library Services, 3)Service Integration 4)Service Management, 5)Open Interface, 6)Network, 7)Architecture. Those results can be used as a framework for developing interoperable digital library system.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다양한 유형의 시각예술자원을 소장 기관이나 관리 주체에 관계없이 통합적으로 접근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통합검색의 필요성을 파악하고, 그 실현을 위한 기반 논의와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하여 국내 시각예술자원 관리 기관의 자원 관리 및 검색 서비스 현황을 파악하고, 국외의 관련 사례 분석을 통해 시각예술자원의 통합 검색 유형과 특성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향후 국내 시각예술자원의 통합검색의 적용을 위해 필요한 환경적 측면과 메타데이터와 시스템적인 측면의 기반조성 및 적용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veal a necessity of and a strategy for the integrated use and the single search across the visual arts resources. For this purpose, at first, analysis was made on the current situation of Korean visual art resource management and retrieval systems. Secondly, the single search methods and its related technological foundation in foreign art resource institutions were categorized and analysed. As a result, this study suggested foundation for creating a sustainable environment for collaboration and single search that enhance access to and use of art resources.

296
이혜원(서울여자대학교) ; 윤소영(한성대학교) ; 박지영(한성대학교) ; 황혜경(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김재훈(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이혜림(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019, Vol.36, No.3, pp.203-228 https://doi.org/10.3743/KOSIM.2019.36.3.20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KISTI 콘텐츠 큐레이션 센터의 업무를 중심으로 콘텐츠 라이프 사이클에 맞는 큐레이션 모델인 KISTI CLCM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앞서 개발된 모델 DCC, DCC&U, UC3, DCN 모델 등을 살펴보고, 디지털 큐레이션 센터의 업무와 연결되는 모델들의 장점을 도출하였다. KISTI 콘텐츠 큐레이션 센터의 업무담당자들과의 집단 면담을 통해 센터에서 다루는 콘텐츠의 특징을 파악하고 현 업무의 성취정도를 확인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UC3 모델을 기반으로 KISTI 콘텐츠 큐레이션 웨이브를 개발하여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를 발굴하고 디지털 자원에 새로운 가치를 추가하여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developed KISTI CLCM, a curation model suitable for the content life cycle, focusing on the KISTI Content Curation Center. For developing the KISTI Curation Model, the previously developed models DCC, DCC&U, UC3 and DCN models were reviewed and the advantages of the models connected to the mission and tasks of the digital curation center were derived. Interviews with staffs of the KISTI Content Curation Center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nt and identified the level of achievement of the current task. In addition, this study proposed to enhance usability by developing KISTI content curation waves based on the UC3 model to discover user-centered services and add new values to digital resources.

297
채현수(연세대학교) ; 전정현(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김기영(연세대학교) ; 이지연(연세대학교) 2021, Vol.38, No.4, pp.173-198 https://doi.org/10.3743/KOSIM.2021.38.4.17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대학구성원의 연구데이터 관리 및 공유에 대한 인식과 경험을 파악하고, 대학구성원을 위한 효과적인 연구데이터 관리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서 고려해야 할 주요 사항들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문헌조사를 바탕으로 연구데이터 관리 및 공유의 주요 쟁점을 정리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대학구성원을 대상으로 연구데이터 관리․공유에 대한 인식 및 경험을 묻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로부터 얻어낸 결과를 종합하여 연구데이터에 대한 인식, 연구데이터 관리에 대한 인식 및 경험, 연구데이터 공유․공개에 대한 인식 및 경험 측면의 시사점을 정리하였다. 본 연구는 장기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연구데이터 관리 정책 및 서비스 개발 연구의 초석을 다졌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Abstract

The study aims to understand university constituent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research data management and sharing then explore the critical factors for establishing effective research data management plans. The literature review enabled summarization of the significant issues regarding research data management and sharing. In addition, the follow-up survey revealed the university constituent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about research data management and sharing. This study has significance because it laid the foundation for long-term research data management policies and services development.

초록보기
초록

COVID-19 펜데믹의 장기화로 인해 미래의 서비스 제공 수단으로 메타버스가 관심을 받기 시작하면서 그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며 여러 기관에서 메타버스 플랫폼들이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도서관에서 또한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하는 사례들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하고 있는 국내외 도서관 사례를 조사하여, 메타버스 플랫폼 활용 방식에 따른 플랫폼별 특징 및 콘텐츠 유형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분석 결과가 시사하는 바를 바탕으로, 향후 도서관에서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하고자 할 때의 그 방향성을 제언하였다.

Abstract

Due to the prolonged COVID-19 pandemic, metaverse has begun to receive attention as a means of providing future services. The importance of metaverse was further emphasized and metaverse platforms are being used by various institutions. Against this background, cases of using the metaverse platform in libraries are increasing.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domestic and foreign library cases using the metaverse platform and analyze each platform’s characteristics and content types according to the metaverse platform’s method. Based on the findings, the implication of the current study suggests the future direction of using the metaverse platform in the library.

299
한지윤(숙명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이혜은(숙명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2023, Vol.40, No.1, pp.149-173 https://doi.org/10.3743/KOSIM.2023.40.1.14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의 이메일 기록관리 행태와 대학 이메일 정책에 관한 인식을 파악한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317명을 대상으로 이메일 기록관리의 필수요소인 이메일 공통사항, 작성, 관리, 보존, 인식, 총 5가지 항목으로 구성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대학의 이메일 서비스 제공 방법에 따라 구글을 이용하는 대학, 마이크로소프트를 이용하는 대학, 자체 웹메일을 이용하는 대학, 총 3가지 유형으로 나눠 6명을 심층 면담하였다. 조사 결과 대학생은 이메일을 주소록, 클라우드 스토리지, 파일 저장, 협업 도구로 사용하고 있었고 기록생애주기에 따라 이메일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데에는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또한 모바일 서비스 및 첨부파일 보존에 한계가 있는 대학 자체 웹메일보다 부가기능의 사용이 가능한 외부 이메일 플랫폼 이용을 선호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러한 대학생의 이메일 기록관리를 지원하기 위해 졸업생 이메일 계정 유지, 충분한 이메일 저장 공간 제공, 대학생 대상 이메일 기록관리 교육 및 가이드라인 제공 등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email records management patterns of undergraduate students and their perceptions of university email policy. The research collected data from 317 undergraduate students using a survey based on the five essential elements of email records management: common elements, email creation, email management, email preservation, and perception. Also, an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6 undergraduate students, according to the method of university email service: Google, Microsoft, and in-house webmail. As a result, undergraduate students used email as an address book, cloud storage, file storage, and collaboration tool, and they had difficulties in systematically managing the email records according to the records lifecycle. Also, there was a tendency to prefer using an external email platform that can use additional functions to in-house webmail that has limitations in mobile service and preservation of attachments. Thus, this study suggests ways to help undergraduate students manage their email records, including maintaining graduates’ email accounts, providing sufficient email storage, and providing email records management training and guidelines for undergraduate students.

300
최일영(경희대학교) ; 이용성(경희대학교) ; 김재경(경희대학교) 2010, Vol.27, No.1, pp.25-40 https://doi.org/10.3743/KOSIM.2010.27.1.02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사회 네트워크 분석 기법을 통하여 K대학도서관의 학술DB 이용현황을 분석하고 이용자의 요구에 적합한 서비스를 개발 및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K대학 도서관의 학술DB 로그 데이터를 이용하여 학문분야별, 신분별, 학문분야 및 신분별 학술DB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실증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전임교원의 학술DB 네트워크와 박사과정의 학술DB 네트워크는 특화된 학술DB를 중심으로 강한 결속력을 보이고 있으며 다른 신분의 학술DB 네트워크보다 밀도, 연결정도 집중도 및 연결정도 중심성이 높게 나타났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usage pattern between each academic database through social network analysis, and to support the academic database for users's needs. For this purpose, we have extracted log data to construct the academic database networks in the proxy server of K university library and have analyzed the usage pattern among each research area and among each social position. Our results indicate that the specialized academic database for the research area has more cohesion than the generalized academic database in the full-time professors' network and the doctoral students' network, and the density, degree centrality and degree centralization of the full-time professors' network and the doctoral students' network are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social position networks.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