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development, 검색결과: 427
초록보기
초록

주제명은 이용자가 어린이 그림책을 효과적으로 접근하도록 지원한다. 그러나 어린이 그림책은 다른 자료에 비해 표제나 목차와 같이 자료 자체에서 주제명을 선정하기가 어렵다. 또한 텍스트 외에 그림이 주는 정보량이 큰 편이다. 따라서 그림책의 주제접근을 위해서는 별도의 주제명 목록을 작성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어린이 그림책에 일반 도서용으로 개발된 주제명을 그대로 사용하기는 적절하지 않을 수 있다. 주제명의 유형과 수준이 상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 그림책에 적합한 주제명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기본 주제명의 선정을 위해서는 영미권에서 발행된 그림책 주제명표를 참고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우리 문화와 언어에 맞도록 기존의 표목을 수정․추가하였다. 또한 그림책의 주요 독자층인 어린이에게 적합한 표목을 선정하기 위해 초등국어사전과 같은 참고자료도 활용하였다. 그리고 시범적으로 구축된 주제명표를 어린이 그림책을 대상으로 한 권장도서 목록에 적용하여, 주제검색이나 브라우징, 도서 추천 등에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Subject headings support the effective access of children's picture books. However, it is difficult to select subject terms from titles or table of contents in children's picture books because of their relatively little textual inform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ssign subject terms to each picture book. However, it is not adequate to use general subject headings because the types and levels of general subject headings are different from special subject headings for the children's materials. For this reason, this study aims to develop subject headings for children's picture books. The subject terms in A to Zoo were selected, and the selected terms were translated into Korean and modified for the Korean culture and language. Other reference books, such as Elementary Korean Dictionary, were also used to determine adequate terms for children. The resulting subject headings were assigned to the recommended picture books for children and used to search by subject, browse, and recommend books.

72
오상훈(명지대학교) ; 최영선(한국디지털콘텐츠산업협회) 2008, Vol.25, No.4, pp.5-23 https://doi.org/10.3743/KOSIM.2008.25.4.005
초록보기
초록

국립중앙도서관에서 인쇄 출판물을 대상으로 운영 중인 납본체계와는 달리 웹 아카이빙인 OASIS (Online Archiving & Searching Internet Sources)는 웹 사이트, 웹 자원 등의 온라인 디지털 자원을 대상으로 자원 수집, 관리 및 보존하기 위한 과정이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웹 아카이빙을 위한 디지털 자원 납본 프로세스를 개발하기 위해 디지털 자원 납본 주체와 대상을 정의하였고, 납본 프로세스를 위한 단계별 정의와 기능을 명시하였다. 또한 디지털 납본 시스템 구성을 위한 업무 흐름도와 단위 업무에 따른 기능 정의와 정보 흐름을 위한 구조를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is administering a legal deposit system for the printed- publications. Whereas, OASIS(Online Archiving & Searching Internet Sources) has to design a system to collect, manage and preserve web sites and web resources for Web Archiv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digital deposit process for digital resources. As a result, this study defines the subjects and objects for digital deposits, and describes the definitions and the functions according to digital deposit steps. Also, this study designs the data flow diagram and proposes the function definitions on unit works and the structure for the flow of information.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의 연구 성과에 기초하여 웹정보의 신뢰성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포괄적으로 추출한 다음, 이를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지표적합도 조사를 통해 웹 사이트의 신뢰성 평가지표의 개발을 시도하였다. 선행 연구에서 제시된 국외 54개, 국내 49개의 웹 신뢰성 평가요인을 부분적으로 축소하거나 통합하였으며, 아울러 웹 사이트의 신뢰성을 높이거나 떨어뜨리는 요인을 일부 분석에 추가한 다음, 웹정보 신뢰성 평가지표 적합성 조사를 통해 웹정보 신뢰성 평가지표를 선정하고 계층화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웹 신뢰성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1차 지표로서 웹사이트 신뢰성의 평가영역을 진실성 요인과 전문성 요인, 그리고 안전성 요인으로 나누었으며, 2차 지표로 진실성 요인을 믿음성과 명성으로, 전문성 요인을 유용성과 시의성, 그리고 경쟁력으로, 안전성 요인을 보안성과 안정성으로 나누었으며, 최종적으로 각 하위 요인별 네 개씩 모두 28개의 세부 요인을 추출하였다. 이렇게 개발된 평가지표를 소수의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자기 분야의 웹 사이트를 중심으로 한 지표 적합도 조사를 통한 검증과정을 거쳤다.

Abstract

The Internet is now an integral part of the everyday lives of a majority of people. Web users are demanding web sites that offer credible information. This study tired to comprehensively extract the factors that affect the perception web credibility based on preceding researches and develop of indicators for evaluating the web credibility by goodness-fit analysis. I modified more than 100 factors which presented by preceding researches to 28 factors, and allocated these factors into the hierarchical categories like followings; trustworthiness, expertness, safety are categorized as first level factors, trustfulness and reputation are placed to sub-factors of trustworthiness, usefulness, timeliness and competency to sub-factors of expertness, security and reliability to sub-factors of safety as second level factors. Finally this study developed evaluating indicators for web credibility by goodness-of fit analysis.

74
황금숙(대림대학교) ; 이영숙(상명대학교) 2012, Vol.29, No.4, pp.25-42 https://doi.org/10.3743/KOSIM.2012.29.4.025
초록보기
초록

최근 도서관에서는 실업률 증가와 지역사회 정신보건 문제 등 총체적인 사회적 현상과 맞물려서 도서관 서비스에 불만을 품거나 이상행동을 하는 이용자들이 도서관으로 유입되면서 많은 문제행동을 일으키고 있다. 일부 이용자의 문제행동은 다른 이용자의 이용만족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도서관직원에게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이는 결국 서비스의 불만족과 이로 인한 도서관 조직에 악영향을 끼치며 전반적인 도서관 서비스의 질적 저하를 유발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도서관서비스에 대한 이용자 만족도를 제고하고, 친절하고 품위 있는 공공서비스 문화의 선진화를 촉진하기 위여 국가 및 공공도서관 직원을 대상으로 도서관 응대서비스 문제점 및 문제이용자 현황과 응대서비스 매뉴얼 개발에 관련된 요구사항을 분석하여 일반이용자 및 문제이용자 응대서비스 매뉴얼을 개발하였다.

Abstract

Recently libraries are experiencing an increasing number of difficult patrons because of the increase in the unemployment rate and the problem of mental health in their communities. The problem behaviours of difficult patrons have negative influence to other users and staff in the library. This seem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decline in the quality of library services. Therefore,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how-to-do-it manual for library staff to meet the aforementioned challenges and to enhance the overall quality of library services for both general users and difficult patrons.

75
안인자(동원대학교) ; 노영희(건국대학교) ; 박미영(서울여자대학교) ; 이재권(동원대학교) 2011, Vol.28, No.1, pp.195-220 https://doi.org/10.3743/KOSIM.2011.28.1.195
초록보기
초록

최근 도서관 공간과 용품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증대하면서 담당 사서는 관련 업무를 수행하여야 하는 빈도가 늘어나고, 업무 중요도도 증가하였다. 본 연구는 업무 수행을 원활히 하고, 이용자의 만족도도 증가시키기 위하여 공공도서관, 어린이도서관, 학교도서관의 공간구성에 필요한 핵심용품과 비핵심용품을 개발하였다. 공공도서관 공간구성은 장서공간, 열람공간, 문화공간 등 9개 영역으로 구분하고, 용품 80-90개(핵심용품 50-60개, 비핵심용품 20-30개)를 도출하였다. 어린이도서관은 열람공간(서가공간, 진입공간), 특별활동공간 등 4개 공간으로 구분하고, 60-70개(핵심용품 30여개, 비핵심용품 30-40개)를, 학교도서관은 장서공간, 멀티미디어공간, 열람공간, 교수학습공간 등 7개 공간으로 구분하고, 90여개(핵심용품 30-40개, 비핵심용품 50-60개)를 제시하였다. 본 결과는 사서의 구매업무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며, 추가적으로 관리지침 및 기준, 관리매뉴얼 등의 업무도구 개발이 필요하다.

Abstract

As public interests and demands on the library space and library goods increase, the role of librarians dealing with this issue has become more important. This research develops lists of core and non-core goods in space managements of public libraries, children's libraries, and school libraries. The lists will make the librarian's tasks effective and maximize user satisfaction. For public libraries, the space is divided into nine main areas, and a total of 80-90 goods(50-60 core and 20-30 non-core goods) are identified. The space of children's libraries is divided into four main areas(space for reading, books, entry, and special activities) with a list of 60-70 library goods(30 core and 30-40 non-core goods). School libraries consist of seven distinctive spaces, including spaces for books, multi-media, reading, and teaching, and it requires 90 goods in total(30-40 core and 50-60 non-core good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in listing up library goods. Further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develop such tools as guidelines, standards and manuals for space management.

76
김지수(한남대학교 정보융합연구소) ; 김성주(한남대학교 정보융합연구소) ; 박신이(한남대학교 정보융합연구소) ; 신지원(한남대학교 정보융합연구소) ; 권선영(한남대학교) 2021, Vol.38, No.2, pp.87-112 https://doi.org/10.3743/KOSIM.2021.38.2.087
초록보기
초록

최근 들어 다양한 분야에서 VR 기술을 활용한 콘텐츠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기술 또한 급속도로 보급되는 추세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공공도서관 또한 시대의 흐름에 따라 VR 기술을 활용한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교육적, 문화적 기능을 고려한 VR 기반 교육문화프로그램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VR 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있는 국내․외 공공도서관 및 산업군 사례 조사 그리고 선행연구, 이론분석을 통해 적용점 및 시사점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종합, 검토하여 공공도서관에서의 VR 기반 교육문화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VR 기반 교육문화프로그램은 향후 공공도서관에서 VR 기반 교육문화프로그램 기획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Recently, content using VR technology in various fields is gradually increasing, and the technology is also rapidly spreading. Against this background, public libraries also need to provide services using VR technology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times. Therefore, this study drew application points through the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domestic and foreign public libraries where VR programs are underway. And based on this, a final proposal is prepared after planning and reviewing VR-based educational and cultural programs in public libraries. VR-based educational and cultural programs introduced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planning VR-based cultural programs in public library.

77
최윤경(이화여자대학교) ; 정연경(이화여자대학교) 2014, Vol.31, No.1, pp.7-29 https://doi.org/10.3743/KOSIM.2014.31.1.00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 독서프로그램의 효과를 측정할 수 있는 성과 측정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먼저, 어린이 독서프로그램 효과를 고찰하고 성과측정 도구 적용 사례를 분석하여 도서관 어린이 독서프로그램의 기능 및 효과를 조사하였다. 측정 대상인 독립 변인, 종속 변인, 통제 변인에 대한 개념을 도출하고 각각의 내용을 제시하였으며 국내외 독서 성과 측정 도구의 사례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어린이의 독서 성과 영역과 척도를 조사 분석하였으며 독립 변인과 종속 변인, 통제 변인에 관한 척도를 세분화하고 성과 측정 도구로 활용될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2013 도서관과 함께 책읽기’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공공도서관 중 지방권역별로 10개관을 선정하여 조사 대상 도서관의 프로그램에 참여 어린이를 대상으로 프로그램 초반과 후반에 설문지로 개발된 성과 측정 도구를 적용하였다. 또한 조사대상 도서관의 프로그램 담당 사서, 기관 담당자와 강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이상과 같이 수집된 데이터를 모두 분석하여 독서프로그램의 성과를 측정하고 분석하였으며 측정 도구의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valuate a measuring scale for the effect of reading programs for children. First, in literature review, the effects and children’s reading programs performance scales were analyzed, and then independent variables, dependent variables, and control variables for children’s reading achievements were defined. Second, survey questionnaires for children, librarians, program instructors, and heads of child centers were designed to measure dependent variables and control variables on the scale. Third, the questionnaires for children were distributed to 10 public libraries participating in <2013 The Reading with Library> programs for two times in the early and the late time of the programs. Also, the survey questionnaires of 30 librarians, program instructors, and heads of the child centers were carried. Finally, all of the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in time series, and the improvements for the scale were proposed.

초록보기
초록

북아이오와주립 대학도서관은 우수한 교양 커리큘럼을 지원하는 개별화 학습 환경과 다양한 지적, 문화적 커뮤니티를 지원하는 것을 사명으로 하고 있다. 1987년부터 전략적 계획을 수립하기 시작하여 현재 5년 단위로 전략적 계획을 수립하고 있으며, 최근 전략이 어느 정도 달성되고 있는가에 대한 성과측정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북아이오와주립 대학도서관의 최근 전략적 계획 2004-2009의 내용을 분석하여 전략을 균형성과표의 네 관점으로 전환하는 BSC 모형과 전략지도를 개발하였다. 이와 함께 각 관점별 전략적 목적을 측정하는 핵심성과측정지표와 이를 이끄는 동인들의 인과관계 모형을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University of Northern Iowa Rod Library has mission statement that a personalized learning environment founded on the strong liberal arts curriculum and to supporting an intellectually and culturally diverse community. The Rod Library has been developing the strategic plans by 5 years since 1987. Recently, the strategy has been faced need to measure of performance how much does make it up. This study developed the BSC model and the strategy map that analyze the strategic plan 2004-2009 of the University of Northern Iowa Rod library and transfer the strategy into the four perspectives of BSC. In addition, this study presented the success performance indicators measuring the strategic goals of each perspectives and the cause-effect model driving the lead indicators of performance.

79
최예진(이화여자대학교 이화사회과학원 비상임연구원) ; 정연경(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교수) 2020, Vol.37, No.1, pp.23-49 https://doi.org/10.3743/KOSIM.2020.37.1.02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문헌정보학 정규교육과정에서 중점적으로 다뤄야 하는 정보조직분야의 주요 영역을 도출하고, 영역별 내용요소를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 내용분석, 설문조사 및 전문가평가를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정보조직분야를 정보조직일반, 분류, 목록, 실습이라는 4영역으로 구성하고, 총 31개의 영역별 내용요소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영역별로 도출된 내용요소들은 정보조직분야 교과목에 대한 강의계획안이나 교수 요목을 설계할 때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 사용한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정보조직분야의 주요 영역별 내용요소를 확장할 수 있기 때문에, 정보조직분야 교육내용을 설계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is study derives the main areas of information organization that should be covered in the formal curriculum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nd suggests content elements for each area. Literature research, content analysis, survey and expert evaluation were conducted. Based upon these, information organization field was composed of four areas: information organization in general, classification, inventory, and practice, and a total of 31 content elements were presented. The content elements derived from each area through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and helpful data when designing syllabus or teaching subjects in the fiel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xpand the content elements of each area of the information organization field through the research method used in this study. Fin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materials when conducting the educational contents of information organization field.

80
박용재(한국전자통신연구원) ; 곽승진(충남대학교) ; 이상환(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007, Vol.24, No.4, pp.173-189 https://doi.org/10.3743/KOSIM.2007.24.4.173
초록보기
초록

정보시스템을 사용하는 이용자들의 만족지수를 측정함으로써 시스템 투자 대비 효과를 정성적으로 측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향후 시스템의 효율성 및 시스템 개선노력을 위한 방안도 도출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시스템의 이용자만족지수 모델을 제안하고 대표적인 정보시스템들의 이용자만족지수를 측정함으로써 이들 시스템 운영자 및 관리자들에게 시스템 만족도 제고 및 효율성 향상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수행을 위해 대표적인 정보시스템들을 대상으로 웹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만족지수를 산출하고 Matrix 분석을 통해 시스템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Abstract

By measuring satisfaction index of the users of Information System, it is possible not only to estimate ROI(Return on Investment) but also to draw the device for the efficiency and improvement of the System. This study tries to give User Satisfaction Index Model for the System, and present operators and managers of the system with the method for improving satisfaction and efficiency by measuring the User Satisfaction Index of representative information systems. For this, the survey was carried out for the representative information systems.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Satisfaction Index was drawn and through Matrix Analysis, the strategy for system improvement was derived.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