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검색어: development, 검색결과: 20
1
황금숙(대림대학교) ; 노영희(건국대학교) 2007, Vol.24, No.4, pp.345-374 https://doi.org/10.3743/KOSIM.2007.24.4.345
초록보기
초록

전문대학은 4년제 대학과 더불어 주요한 고등인력 양성기관임과 동시에 수적으로도 막중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도서관발전 종합계획에는 전문대학도서관만의 열악한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전체 대학도서관을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들만이 제시되고 있어서 전문대학도서관은 여전히 소외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문대학도서관들의 현황을 문헌조사를 통해 조사하여 전문대학도서관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국가차원에서 지원해 주어야 할 정책을 6가지로 나누어 제안하고 있다. 즉, 전문대학 특성에 따른 장서개발, 전문대학 특성화에 따른 주제전문 도서관 구축, 전문대학도서관간 상호협력 강화, 전문대학도서관 서비스 강화, 전문대학도서관 법적 개선 및 평가지표 개발, 수요조사 연구 및 서비스 품질 평가 등이다.

Abstract

Community colleges are key constituents of higher education in Korea, along with four-year universities. The number of community colleges in Korea also holds significance. However, the main focus of the Master Plan for Library Development decisively lies in university libraries, with little consideration to the poor condition of community college librarie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problems of community college libraries by conducting a document research on their current standing and, based on that, to present six policy proposals for government support. They are a) to develop library collections based on the school specialty, b) to build theme-oriented libraries, c) to facilitate cooperation between community college libraries, d) to reinforce capacities for library service, e) to improve legal status of community college libraries and develop an evaluation index, f) and to estimate demand and evaluate service quality.

초록보기
초록

오늘날 정보환경은 정보이용자로 하여금 도서관 장서뿐만 아니라 다양한 디지털 정보자원으로의 접근을 가능하게 하였다. 변화하는 환경에서 이용률이 증가하는 디지털 정보자원으로 웹사이트, 각종 데이터, 홈페이지 등을 들 수 있다. 이 연구는 ISI Web of Knowledge의 Essential Science Indicators에서 제공하는 인용정보를 이용하여 임상의학 분야의 피인용 횟수가 높은 저자들과 이 저자들의 논문을 인용한 저자들의 홈페이지에 수록된 연구 성과물을 추출한 후, 의학대학 디지털 도서관 및 학술포털과 비교 분석하였다. 10,000여명의 저자 중 연구 성과물 정보를 제시하는 146명의 홈페이지 연구정보를 분석하였는데, 홈페이지에서만 제공하는 연구정보는 학술지 논문, 단행본, 학술대회 발표논문, 강의노트를 포함하였다. 이 중 학술지 논문은 약 15%, 단행본은 약 32%, 학술대회 발표논문은 약 48%, 강의노트는 100% 모두 홈페이지를 통해서만 접근할 수 있는 연구 성과물로 분석되었다. 실제로 의학대학 도서관과 학술포털에서 제공하는 연구정보가 대부분 일치했던 점을 고려할 때, 저명한 연구자들의 홈페이지를 통한 연구정보의 확충이 디지털 도서관 장서개발의 양적, 질적 향상을 위한 방안이 될 수 있다.

Abstract

Nowadays the information environment enables users to access the traditional library collection as well as various digital information resources. In this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the use of digital information resources such as web sites, data, and homepages has increased. In this research, highly-cited authors' research outcomes as well as the research outcomes of the people, who cited the highly-cited authors' works, were extracted then compared with information stored in the medical colleges' digital libraries and the academic information portals in the clinical medicine area by using the citation information provided by Essential Science Indicators from ISI Web of Knowledge. Out of 10,000 authors, 146 people's homepages, which present research outcomes, were analyzed. The research outcomes listed in the homepages included journal papers, monographs, conference proceedings, and lecture notes. About 15% of the journal papers, 32% of the monographs, 48% of the conference proceedings, and 100% of lecture notes were accessible only through the homepages. The research outcomes accessible from the homepages were almost analogous to the ones available through the medical college's digital libraries and the academic information portals. Therefore, the digital library collection will be improved and expanded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by collecting and using the information in the homepages of the prestigious researchers.

3
김양우(한성대학교) 2007, Vol.24, No.2, pp.45-69 https://doi.org/10.3743/KOSIM.2007.24.2.045
초록보기
초록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논문의 전반부는 네 개의 정보검색 모형을 다루고 있는데 이는 전통적 정보검색 모형과 보다 최근에 나온 세 연구자의 이용자 중심 인터액티브 모형을 포함한다. 인터액티브 정보검색 모형은 Belkin, Ingwersen, 그리고 Saracevic 에 의하여 제시된 것인데, 전통적 정보검색 모형을 포함한 각 모형의 장점과 한계점이 기술된다. 논문의 후반부에서 저자는 이상과 같은 모형들의 분석을 토대로 그 자신의 인터액티브 모형, 즉 빙산모형(Iceberg Model)을 제시하고 있다. 빙산모형의 타당성으로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사항을 강조하고 있는데, 즉, 보다 구체화된 시스템 특성의 포함, 보다 명확한 인터액티브 정보검색 요소간의 상호작용, 그리고 정보매개자의 증가된 역할 등이 그것이다. 요약하면, 빙산모형은 변화하는 정보추구환경에서 진화할 수 있는 틀을 제시하고 있다.

Abstract

This paper is divided into two parts. The first part elaborates on four Information Retrieval (IR) models: a traditional IR model and three more recent, user-oriented models of IR interaction presented by Belkin, Ingwersen, and Saracevic. The strengths and limitations of each model are discussed. The second part, based on an analysis of the previous models, presents the author's interactive model, namely, the Iceberg Model. The rationales that are given to explain the design of this model are associated with the following: a greater specificity of system attributes; more concrete interplays among different components of IR interaction; and, the increased role of the Human Information Intermediary (HII). In sum, the new model presents a framework that can evolve in varying information-seeking contexts.

4
김희정(한성대학교) ; 이혜원(서울여자대학교) 2007, Vol.24, No.2, pp.143-160 https://doi.org/10.3743/KOSIM.2007.24.2.143
초록보기
초록

다지털 보존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면서 웹 아카이빙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웹 아카이빙은 수집형태나 운영형태, 또는 아카이빙 대상 컬렉션 범위와 포괄정도에 따라서 설계지침이 달라지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 중 선택적 아카이빙을 중심으로 아카이빙을 수행하고자 할 때에 고려해야 할 메타에이터 요소들을 분석하였다. 선택적 아카이빙을 수행한 선행 프로젝트에서 제안한 메타데이터를 기반으로 필요한 요소들을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 더블린코어의 기본적인 요소들과 함께 관리적인 요소에 해당하는 메타데이터 내용들의 확충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s digital preservation becomes increasingly important, interest in web archiving has correspondingly increased. The processes of web archiving depend on the types of acquisition methods employed, the organization and storage of data, their completeness, and their scope. This study develops metadata for intensive web archiving. Several web archiving projects are reviewed and analyzed. As a result, administrative metadata has been suggested in addition to the basic elements from the Dublin Core.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어린이전자책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를 통해 전자적인 형태의 아동 도서에 대한 주도권을 포털사이트에서 도서관으로 이동시키고 도서관의 정보서비스를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A대학도서관에서 서비스 중인 어린이전자책사이트 이용현황을 주 분석대상으로 정하였으며, 도서관 어린이전자책서비스의 활성화를 위한 바람직한 수서정책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move the initiative of children's electronic books from portal sites to libraries and to help improving libraries' information services through their systematic study. The present use state of an e-book site for children that is currently serviced by A-academic library was mainly analyzed for the study. The desirable acquisition policies were also suggested for the activation of the juvenile e-book services for libraries.

6
박용재(한국전자통신연구원) ; 곽승진(충남대학교) ; 이상환(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007, Vol.24, No.4, pp.173-189 https://doi.org/10.3743/KOSIM.2007.24.4.173
초록보기
초록

정보시스템을 사용하는 이용자들의 만족지수를 측정함으로써 시스템 투자 대비 효과를 정성적으로 측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향후 시스템의 효율성 및 시스템 개선노력을 위한 방안도 도출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시스템의 이용자만족지수 모델을 제안하고 대표적인 정보시스템들의 이용자만족지수를 측정함으로써 이들 시스템 운영자 및 관리자들에게 시스템 만족도 제고 및 효율성 향상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수행을 위해 대표적인 정보시스템들을 대상으로 웹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만족지수를 산출하고 Matrix 분석을 통해 시스템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Abstract

By measuring satisfaction index of the users of Information System, it is possible not only to estimate ROI(Return on Investment) but also to draw the device for the efficiency and improvement of the System. This study tries to give User Satisfaction Index Model for the System, and present operators and managers of the system with the method for improving satisfaction and efficiency by measuring the User Satisfaction Index of representative information systems. For this, the survey was carried out for the representative information systems.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Satisfaction Index was drawn and through Matrix Analysis, the strategy for system improvement was derived.

7
이지연(연세대학교) ; 민지연(연세대학교) ; 주수형(연세대학교) 2007, Vol.24, No.3, pp.299-319 https://doi.org/10.3743/KOSIM.2007.24.3.299
초록보기
초록

최근 국가지식정보가 전문성과 신뢰성 측면에서 우수한 콘텐츠로 인식되면서, 질 높은 콘텐츠를 확보하려는 검색포털과 국가기관 및 종합정보센터 간의 연계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지금까지의 연계는 이용자의 접근성과 지식정보 이용 편리성을 제고하기 위한 것으로서, 현재 우리나라는 국가지식정보 유통의 초기 단계에 놓여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식정보 제공기관, 검색포털, 국가지식포털을 중심으로 해외 및 국내의 국가지식정보 유통 현황을 파악하였다. 또한 학계, 도서관전문정보센터, 민간 업계 전문가 6명을 대상으로 심층적인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효율적인 국가지식정보 유통을 위한 각 정보제공 서비스 간의 연계 방안에 대하여 검토, 제시하였다.

Abstract

Recently, information portals, national institutions, and integrated information centers, which are eager to acquire quality contents, actively share contents. Korean national knowledge is recognized to be superior in terms of its specialty and reliability. Currently, the distribution of national knowledge in Korea is at the beginning stage as the content sharing was intended to enhance the users' accessibility to the information and ease of information use. In this study, we identified the national knowledge distribution status in Korea and abroad by analyzing the roles of the information providers, information search portals, and Korea Knowledge Portal. We also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six experts, who represent academic institutions, libraries, specialized information centers, and commercial ventures. To enable effective Korean national knowledge distribution, we generated suggestions for the respective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s to share and cooperate based on the analysis and the interviews.

8
이혜원(서울여자대학교) ; 김태수(연세대학교) 2007, Vol.24, No.1, pp.273-300 https://doi.org/10.3743/KOSIM.2007.24.1.273
초록보기
초록

In this study it is intended to develop the ontology which can express the relation between objects with emphasis on the structural representation of semantics. Its interoperability with other kinds of previous ontology and metadata was also considered so that the developed ontology may be applicable to the real situation. The ABC Ontology can get extended into another field where the application of the concept of event is possible, for ABC Ontology provides the fundamental framework on the axis of event. In this study it is Music where ABC Ontology can be applied properly, which results in creating Music Ontology. Music Ontology provides the infrastructure of knowledge for reasoning of potential meaning as well as the simple semantic connection of terms. The extended model of ABC Ontology has been developed by applying Music Ontology, which is the domain ontology and conveys meaning, to ABC Ontology that represents the whole framework. The representation of conceptual relation in ABC Ontology turns into the association of the framework and meaning in the extended model of ABC Ontology, with reasoning rules which are typical in ontology. Also, interoperability of the extended model of ABC Ontology is examined in consideration of co-operating with metadata different from those in it. 핵심되는 말: ABC 온톨로지, 이벤트, 메타데이터 상호운용성, 음악 온톨로지, 온톨로지 통합, OWL

Abstract

초록보기
초록

과학기술분야 전문학술지의 학술논문 투고와 심사처리 전과정에 대한 영문전용의 웹기반 시스템을 설계하기 위하여 국내외의 대표적인 사례로 Elsevier Editorial System과 KISTI-ACOMS를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해양과학기술분야 전문학술지 Ocean Science Journal에 적용할 수 있는 웹기반 논문투고심사시스템이 구현되었다. 웹기반 시스템은 기존의 오프라인 논문심사과정에서 발생하는 원고관리, 심사기간의 지연과 원고분실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e-journal 전자출판의 기반이 자연스럽게 조성되어 효율적이고 신속한 학술정보 유통환경이 구축된다. 이러한 시스템의 개발과 활용은 과학기술분야 전문학술지의 수준제고 및 국제화 과정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Abstract

In order to design a web-based English Article Submission & Management System for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papers, Elsevier Editorial System and KISTI-ACOMS, international and domestic models--respectively--are studied and analysed. Through this analysis, a web-based paper submission and review system which can be applied to Ocean Science Journal, a research journal in the field of Oceanography, is developed. The web-based system is not only able to solve problems such as complex manuscript management, delays in the reviewing process, and loss of manuscripts that occur often in off-line paper review processes, but also is able to construct the basis for e-journal electronic publication. As a result, an effective and rapid scholarly communication environment can be made. Th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this system can improve the reputation and the globaliz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journals.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도서관의 상호운영성 및 통합 관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호운영성을 위한 핵심 기술 및 디지털 도서관의 기능, 서비스를 분석하여 정보기술아키텍처의 기술참조모델을 설계하였다. 제시된 디지털 도서관의 정보기술아키텍처의 영역은 1)Metadata Management, 2)Library Services, 3)Service Integration 4)Service Management, 5)Open Interface, 6)Network, 7)Architecture 등 총 7개의 영역으로 구분되며, 20개의 세부 기술 영역으로 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정보시스템간의 상호운영성 및 호환성을 확보하기 위한 핵심 기술을 식별함으로서 디지털 도서관의 체계적인 구축과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한 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digital library's Interoperability and integrated management, we analyzed core technologies for interoperability in digital library in terms of information creation, organization, service. And then we proposed information technology reference model that is composed of 7 scopes. The proposed scope included 1)Metadata Management, 2)Library Services, 3)Service Integration 4)Service Management, 5)Open Interface, 6)Network, 7)Architecture. Those results can be used as a framework for developing interoperable digital library system.

정보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