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서직 분야의 인적자원개발이 실효성 있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도서관 및 관련 산업분야를 중심으로 한 인적자원 현황 파악을 토대로 향후 예상되는 인적자원의 양성 및 활용과 관련된 인력수급 전략과 법적 뒷받침이 있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력 고도화를 위한 기초 취업 현황, 취업 환경 및 관련 이슈의 종합적 분석 등 정책수립을 위한 기초연구를 수행하였다. 사회적 환경과 관련 제도 및 법을 포함하는 정책적 환경, 인적자원 양성 측면에서 현황을 분석할 뿐만 아니라 도서관 현장의 사서직 수요조사를 통하여 현장의 요구사항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첫째, 사서직의 두드러진 특징은 사서직의 여성에 편중된 성별 불균형 현상, 비정규직 증가, 그리고 도서관 분야 진출에 대한 높은 기대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둘째, 정규직과 비정규직이 수행하고 있는 업무의 차이가 크지 않으나 임금이나 복지 측면에서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현장사서의 사서직 교육 요구사항으로 현장 전문가 멘토링, 단기인턴십, 사서실습 등을 제시하고 있었고, 취업요건으로 인턴이나 실습, 어학능력, 각종 자격증 취득, 경력관리 등을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관기관의 사서자격증 보유자는 20%나 더 많은 사서자격증 보유자를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order to achieve effective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 LIS fields, it is essential to have strategies to nurture and utilize those human resources, in relation to supply and demand as well a sound legal foundation supporting those strategies. Such strategies and legal foundation can only be developed from a complete knowledge of the current status of human resources in the LIS and related industries. This study, therefore, conducted research on the basic employment status, employment environment, and an overall analysis of related issues, in order to address policy implications on the effectiveness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 the LIS field. This research included the current status of policy environments that involve social environment, and related institutions and laws,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s as well as the current requirements of librarians in the field, based on a demand survey of LIS employment. It was found that first, there are three distinguishable factors in LIS employment: a feminization of librarianship, an increase in temporary posts, and a high entering ratio into the library workplace. Second, while there were only little differences in the given tasks between full-time and temporary employees, the differences in salary and welfare were considerably larger. Third, field requirements for librarian education included a mentoring system with field experts, short-term internships, and librarian apprenticeships, while job requirements included internship or apprenticeship, language skills, various license acquisition, and career management. Fourth, librarians with licenses for related organizations held 20% more librarian licenses overall.
곽철완. (2012). 공무원 총액인건비제에서 공공도서관 사서직 인력에 대한 고찰.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3(3), 211-230.
도서관운동연구회 대학도서관온라인 소모임. (1999). 긴급진단! 대학도서관의 질적 성장을 모색한다. 디지털도서관, 13(1), 39-47.
문화체육관광부. (2013). 문화가 있는 삶, 행복한 대한민국 : 2013년도 문화체육관광부 업무계획. 문화체육관광부.
(2013). 문화통계포털. http://culturestat.mcst.go.kr.
이지원. (2011). 정보조직 사서직 역량 및 직무 유형 분석. 정보관리학회지, 28(3), 47-64.
정현태. (2010). 사서전문직 인력수급현황 및 고용확충방안 연구 : 도서관 연구소 2010년도 자체연구(도서관연구소 연구보고서 4). 국립중앙도서관 도서관연구소.
한국고용정보원 직업연구센터. (2012). 2013 한국직업전망. 고용노동부.
(2011).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연구센터. http://cesi.kedi.re.kr/index.jsp.
한국도서관협회. (2012). 2012 한국도서관연감:한국도서관협회.
한상근. (2010). KRIVET 직업전망 지표 개발(2010). 한국직업능력개발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