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정보활용능력의 여러 영역 중에서 대학생이 과제를 해결하는 상황에서 정보의 적합성을 판단하고 평가해나가는 과정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중요 문제를 규명함으로써 정보활용교육에 반영할 개선사항을 도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대학생 9명을 대상으로 과제해결과정에서 적합성 판단이 어떻게 이루어지는 지에 대해 심층면담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연구참여자의 의견과 부합되는 내용 정보 판단의 어려움, 신문기사의 신뢰성에 대한 판단의 어려움, 과제의 특성상 적합성 판단 시간 확보의 어려움, 적합한 정보원 판단과 과제평가결과 연관의 어려움이 주요 문제로서 분석되었다. 따라서 권장사항으로서 객관적인 적합성 판단기준의 교육, 신뢰성 있는 정보원 안내, 교수자의 참고 정보원 활용 가이드라인 제시, Big 6 4.1단계 교육의 강조 등이 제시되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relevance judgement of college students’ problem solving process and suggest improvements for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in higher education. Th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9 subjects to identify relevance judgement processes and problems. As a result, the main problems during relevance judgement processes were judgement about content of document aligned with subject’s opinion, judgement about reliability of newspaper articles, shortage of relevance judgement time due to deadline of an assignment and judgement of relationship of documents and evaluation result. The recommendations for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are as follows: objective relevance judgement education, guidance of reliable information source, showing guideline of using reference information by professor and emphasis of engaging in information (4.1 stage of Big 6).
고영만. (2010). 정보문해론:한국도서관협회.
고영만. (2000). 문제극복모형의 적합성과 정보화교육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17(4), 7-26.
김성원. (2011). 정보활용능력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간 상관관계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8(3), 31-46. http://dx.doi.org/10.3743/KOSIM.2011.28.3.031.
김성은. (2006). 대학생의 정보활용능력 교수학습모형 개발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7(2), 177-200.
김지은. (2011). Kuhlthau의 ISP모델에 기반한 대학의 정보활용능력 교육과정 모델 개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2(2), 101-122.
김태훈. (2010). 대학생의 정보활용능력 평가에 관한 연구: C신학대학교 재학생을 중심으로 (253-266). 한국도서관․정보학회 하계 학술발표회.
박정아. (2010). 정보 검색에서의 사용자 중심 적합성 판단 모형 개발 및 평가.
배경재. (2012). 대학생의 과제 중심 정보문제 해결과정 분석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9(3), 215-234. http://dx.doi.org/10.3743/KOSIM.2012.29.3.215.
윤정옥. (2004). 맥락에 따르는 정보추구 : 대학생의 과제 관련 정보탐색의 내용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5(2), 199-218.
이정연. (2005). 대학생의 정보활용능력 평가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2(4), 39-59. http://dx.doi.org/10.3743/KOSIM.2005.22.4.039.
이지수. (2013). 그룹 연구 과제에서의 협동적 정보행태 연구 - 온라인 토론 게시판의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7(3), 97-117. http://dx.doi.org/10.4275/KSLIS.2013.47.3.097.
장덕현. (2008). 대학도서관 정보활용교육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9(1), 37-60.
Barry, C. L.. (1998). Users' criteria for relevance evaluation : A cross-situational comparison. Information Processing & Management, 34, 219-236.
Borlund, P.. (2003). The concept of relevance in IR.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54, 913-925.
Fitzgerald, M. A.. (1999). Evaluating information: An information literacy challenge. School Library Media Research, 2, -.
Hirsh, S. G.. (1999). Children's relevance criteria and information seeking on electronic resources.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50, 1265-1283.
Huang, X.. (2013). Relevance: An improved framework for explicating the notion. J. Am. Soc. Inf. Sci, 64, 18-35.
Neely, T. Y.. (2000). Aspects of Information Literacy: A Sociological and Psychological Study.
Saracevic, T.. (1996). Relevance reconsidered ’96 (201-218). Seco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ception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CoLIS2). Royal School of Librarianshi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