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현재 다양한 형태로 시행되고 있는 국내 대학도서관 맞춤형 이용자 교육의 전반적인 운영 현황을 조사하고, 이를 토대로 해당 교육을 활성화하는데 필요요건과 장애요인을 파악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전국 4년제 대학 중앙도서관을 대상으로 전수조사하여 총 206개관의 웹사이트에서 맞춤형 교육의 전반적인 사항을 파악한 후, 설문지법을 통해 교육 운영 현황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설문에 응답한 총 149개관 가운데 94개관(63.1%)에서 맞춤형 교육을 운영하고 있었으며, 55개관(36.9%)에서는 해당 교육을 시행하지 않고 있었다. 국내 대학도서관 맞춤형 교육은 예산, 사서 수 등 도서관의 가용자원이 많을수록 더 활성화되어 있었으며, 사서의 자질 중에서는 학력, 전공 등과 같은 능력보다 봉사정신이 교육 운영 활성화에 더 영향력 있는 요소로 밝혀졌다. 본 연구결과는 대학도서관 실무자들에게 맞춤형 교육 운영과 서비스에 대한 기초정보를 제공하고, 향후 후속 연구의 토대가 되는 기반연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practices of the customized bibliographic instructions (CBI) at four-year academic libraries in Korea. Among the entire 206 academic libraries, a total of 149 libraries participated in the survey. Study result shows that the libraries providing CBI was 63.1%. The findings of the study revealed the overall picture of the CBI operated in Korean academic libraries.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ed useful strategies to apply in adopting and operating the CBI in academic libraries in Korea.
김나원. (2008). 이용자 행태 및 요구 분석을 통한 의학도서관 이용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김성은. (2007). 대학생을 위한 정보활용능력 교육의 효과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8(3), 91-115.
김태경. (2005). 특정주제중심의 도서관 이용자교육 (51-64). 한국비블리아학회 발표논집.
김혜진. (2012). 맞춤형 영양교육이 철결핍성 빈혈환자의 임상 지표 및 영양섭취 상태에 미치는 효과.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18(1), 72-80.
남재연. (2012). 맞춤교육을 중심으로 한 도서관서비스 개발 및 활용 (3-42). 2013년도 대학도서관 학술서비스기획 및 홍보과정 교육자료집.
박성익. (2008). 개별화학습의 전망과 과제. 교육방법연구, 20(1), 1-22.
백항기. (2001). 대학도서관서비스에 대한 고객만족도 분석.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2(1), 43-64.
윤희윤. (2013). 대학도서관경영론:태일사.
이성흠. (2009). 교수방법 및 교육공학 : 의사소통, 교수설계, 그리고 매체활용:교육과학사.
이제환. (2011). 한국 도서관계의 이용자교육 - 현황과 과제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2(1), 3-27.
이현지. (2012). 비만 식습관 개선과 맞춤형 식생활 교육 (-). 한국식품조리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정미정. (2014). 대학도서관 이용자 맞춤형 교육의 효과적 도입과 운영 방안 연구.
최승현. (2012). 초등 수학 학습 부진아 지도를 위한 맞춤형 학습 자료 개발 연구. 초등수학교육, 15(2), 135-145.
최은주. (2005). 대학생의 정보활용능력에 미치는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정규 교과목 정보이용교육 수강생을 중심으로 -. 정보관리학회지, 22(4), 153-172.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2). 2012 대학도서관 통계분석 자료집:한국교육학술정보원.
Department for Children, Schools and Families. Personalised learning: A practice guide.
Fleming, H.. (1990). User education in academic libraries:Library Association Publish.
Ivey, R.. (2003). Information literacy: How do librarians and academics work in partnership to deliver effective learning programs?. Australian Academic & Research Libraries, 34(2), 100-113.
Kappus, T.. (2011). Can you meet with me on friday? : Personalized library instruction by appointment. Alki, 27(3), 8-.
Keller, J. M.. (1979). Motivation and instructional design : A theoretical perspective. Journal of Instructional Development, 2(4), 26-34.
Kirk, Thomas G.. (1999). Course-related bibliographic instruction in the 1990s. Reference Services Review, 27(3), 235-242.
Mitchell, M. S.. (2011). Paradigm shift in reference services at the Oberlin College Library : a case study. Journal of Library Administration, 51(4), 359-374.
Oberman, C.. (1998). Why we need a national information literacy institute (1-7). Theory & Practice, Twenty-Fifth National LOEX Library Instruction Conference. Pierian Press.
Rader, H.. (1995). Information literacy and the undergraduate curriculum. Library Trends, 44(Summer), 270-271.
Tomlinson, C. A.. (2005). Grading and differentiation : Paradox or good practice?. Theory into Practice, 44(3), 262-269.
Winner, M. C.. (1998). Librarians as partners in the classroom : an increasing imperative. Reference Services Review, 26(1), 25-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