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013-0799
  • E-ISSN2586-2073
  • KCI

대학생을 위한 정보활용교육 교과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the Curriculum of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s

정보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P)1013-0799; (E)2586-2073
2015, v.32 no.3, pp.1-20
https://doi.org/10.3743/KOSIM.2015.32.3.001
정재영 (서강대학교)

초록

대학에서 효과적인 연구와 학습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정보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찾아내고 평가하며,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포함한 정보활용교육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국내․외 단체와 학자들에 의해 제시된 정보활용능력 기준 및 모형과 정보활용교육 사례를 기초로 대학생을 위한 정보활용교육 교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정보활용교육은 1회성 교육이 갖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정규교과목으로 운영되어야 하며, 대학도서관 정보와의 연계 및 효과적인 활용을 위해 그리고, 대학도서관 및 사서의 역할에 대한 전략적 측면의 고려를 위해 도서관 전문사서의 주도적 또는 협력적 역할이 필수적이다. 또한, 현 세대의 성향과 요구를 반영한 내용구성의 변화와 학생들의 주체적이고 자발적인 참여를 이끌어내기 위한 방법적 측면의 고려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keywords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user education, curriculum development, university library, 정보활용교육, 이용자교육, 교과과정개발, 대학도서관

Abstract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which deals with the ability for recognizing the necessity of information, finding, evaluating, and using the information effectively is essential for the college members to do research or learn effectively. This study intended to suggest the lecture program for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s based on information literacy standards and models suggested by the organizations and scholars domestic and foreign as well as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cases.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should be adopted as a regular curriculum to overcome one time event’s limit. Besides, the professional librarians must involve as a role either leading or cooperative in running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in order to relate the library resources with the education and use them effectively. Finally, when it comes to the strategic aspect of the college library and the librarians’ role, the professional librarians’ leading or cooperative role is also essential. Additionally, analysis shows that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needs to be reorganized in contents so that it reflects the college students’ patterns to use information and their needs. Lastly, it needs to be thought over in how to lead the students to participate in the course independently and voluntarily.

keywords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user education, curriculum development, university library, 정보활용교육, 이용자교육, 교과과정개발, 대학도서관

참고문헌

1.

고영만. (2004). 대학생을 위한 정보문해 교수 - 학습 모형 개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1(4), 67-88.

2.

김성은. (2006). 대학생의 정보활용능력 교수학습모형 개발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7(2), 177-200.

3.

김지은. (2011). Kuhlthau의 ISP모델에 기반한 대학의 정보활용능력 교육과정 모델 개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2(2), 101-122.

4.

김태경. (2013). 대학도서관의 지역사회 서비스 실태조사 및 협력방안 연구. 국립중앙도서관 도서관연구소.

5.

남영준. (2010). 디지털정보 활용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방안에 대한 연구. 국립중앙도서관.

6.

배경재. (2012). 정보활용교육 운영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국립중앙도서관.

7.

(2015). 서강대학교 교수학습센터 주요 사업 안내. http://ctl.sogang.ac.kr/ctl/ur/ctl_center_business.acl.

8.

손동현. (2009). 교양교육의 새로운 위상과 그 강화 방책. 교양교육연구, 3(2), 5-22.

9.

이시영. (2010). 대학도서관 사서의 위기와 대처.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1(3), 47-67.

10.

이정연. (2006). 정보활용능력 교육의 효용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0(1), 315-334.

11.

이지영. (2015). 대학도서관 정보활용교육 프로그램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12.

장덕현. (2002). 대학도서관 이용교육 연구의 동향과 논점.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3(1), 57-76.

13.

정민화. (2011). 대학도서관의 정보활용교육(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실시 사례. 사대도협회지, 12, 21-39.

14.

정은숙. (2002). 대학에서의 정보소양교육이 정보문제 해결과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15.

정재영. (2015). 대학도서관 정보활용교육의 전략적 분석: 현재적 진단과 미래적 방향을 중심으로. 사대도협회지, 16, 53-79.

16.

한만성. (2011). 대학생을 위한 정보 활용능력과 글쓰기 교육의 연계·협력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2(1), 117-133.

17.

ACRL. (2010). Futures thinking for academic librarians: higher education in 2025. http://www.ala.org/acrl/sites/ala.org.acrl/files/content/issues/value/futures2025.pdf.

18.

ACRL. Information literacy standards for higher education. http://www.ala.org/acrl/standards/informationliteracycompetency.

20.

ALA. (1989). Presidential committee of information literacy: final report. ALA.

21.

ALA. (2000). Information literacy competency standards for higher education. http://www.ala.org/acrl/sites/ala.org.acrl/files/content/standards/standards.pdf.

22.

Bowles-Terry, M.. (2010). ‘Writing information literacy’ Revised: From theory to practice in the classroom. Reference & User Services Quarterly, 49(3), 225-230.

23.

Elrod, R. E.. (2012). Teaching information literacy: a review of 100 syllabi. The Southeastern Librarian, 60(3), 7-15.

24.

IFLA. Guideline on information literacy for lifelong learning. http://www.ifla.org/files/assets/information-literacy/publications/ifla-guidelines-en.pdf.

25.

Jacobs, H. L.. (2009). Transforming the one-Shot library session into pedagogical collaboration: iInformation literacy and the english composition class. Reference & User Services Quarterly, 49(1), 72-82.

26.

Meulemans, Y. N.. (2001). Educating instruction librarians. Research Strategies, 18(4), 253-264.

27.

Oblinger, D.. (2003). Boomers, gen-xers, and millennials: understanding the new students. https://net.educause.edu/ir/library/pdf/erm0342.pdf.

28.

SCONUL. (1999). Briefing paper: information skills in higher education. http://www.sconul.ac.uk/sites/default/files/documents/Seven_pillars2.pdf.

29.

Shapiro, J. J.. (1996). Information literacy as a liberal art. Educom Review, 31(2), 31-36.

정보관리학회지